일본도 취업시즌이 다가왔다. (정규신입사원 입사는 보통 4월1일) 따라서 대학-고교졸업생들의 취업열기가 뜨겁다. 경기가 조금은 풀려 취업시장이 활발한 편이다. 11월 중순 현재 상당수 대학들의 취업내정률이 60%를 넘었을 정도로 호조다. 최종취업률은 90%를 넘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런 수치와는 달리 취업시장에 나서면 이른바 ‘좋은 직장’ 찾기는 여전히 어렵다고 한다. 일본 경제가 1991년 거품붕괴로 시작된 장기불황에서 벗어났다고 하지만 여전히 ‘아랫목은 따뜻한데 윗목은 아직…’인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정규직 취업도 많다.
실제로 자동차나 철강 등 수출위주의 기업은 올해 실적이 매우 좋다. 하지만 백화점이나 슈퍼 등 유통업은 여전히 어렵다. 전기-전자업체도 가격인하 경쟁으로 고전하고 있다. 소니가 빙하기이고, 산요전기가 최악의 경영위기를 맞는 등 전기-전자업계도 좋지 않다.
대기업이 이럴진대 중소기업은 알짜-우량기업을 빼고는 “아직”이라고 말한다. 일반 국민들, 이른바 서민들의 가계도 여전히 햇볕이 들지 않고 있다. 실적이 좋은 대기업 직원들이 ‘15년만의 최고 겨울보너스’를 받게됐다며 희색인 것과는 선명하게 대비된다.
문제는 내년 이후다. 일본 정부는 1999년부터 장기불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 시중에, 국민들에게 좀 더 많은 돈이 돌아갈 수 있도록 감세정책을 실시했다. 소득세와 주민세를 경감해주는 정률감세제를 도입했고, 법인세율은 34.5%에서 30%로 낮춰 주었다.
고액소득자의 소득세율도 50%에서 37%로 낮추었다. 기업들이 세금을 적게 내면 세후 이익이 증대되게 되고, 이 이익을 종업원들에게 돌려주어 소비가 진작되게 하려는 취지였다. 소비세율은 5%로 여전히 구미(歐美)의 15%이상 보다는 낮다. 스웨덴(25%)의 5분1수준이다.
중앙은행을 통해서는 돈도 풀었다. 2001년 3월부터 이른바 제로금리로 대표되는 ‘양적완화정책’을 구사했다. 시중에 돈이 좀 더 많이 돌게 해, 물가가 내리면서 경기가 좋지 않은 디플레이션에서 탈출하려는 고육지책을 써 온 것이다.
그런데 이런 정책적인 노력에 따른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중앙-지방 정부의 부채가 이 기간 중 무려 200조엔 정도 급팽창, 총부채가 800조엔에 육박한다. 돈을 푸는 정책을 장기간 실시, 부분적인 재거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세금을 더 거두고, 금리도 올릴 조짐인 것이다.
‘돈 푸는 정책’ 부작용 심각
이런 분위기이기 때문에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증세기조로 정책기조가 전환될 기류다. 소비세율도 올리고, 감세정책도 폐지할 움직임이다. 각종 공제조치도 축소-폐지된다. 노인들의 의료비, 장애인의 보조비 등도 축소되는 등 세출축소 노력이 가시화된다. 이와 관련한 논란도 뜨거워지고 있다.
![](http://www.seoul.co.kr/img/upload/2005/11/25/SSI_20051125145231_V.jpg) |
▲ 일본 국회의사당 일본은 내각제이기 때문에 총리나 장관 등 공직의 최고위직은 대부분 국회의원들의 차지다. 아울러 공무원들의 영향력이 강해 급여가 높은 수준이다. 그래서 우리식으로 하면 행정고시나 지방공무원 시험 등은 매우 인기가 높다. | 이처럼 내년 이후 월급쟁이, 전문직들의 지갑이 세금문제로 얇아질 조짐을 보이면서 현재 일본에서 구직전선에 나선 대졸-고졸 예정자들은 ‘누가, 어떤 직종이 얼마나 벌고 있는지’에 대해 어느 때 보다 관심이 높다. 그래서 잡지들은 ‘전직종 급료비교’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우선 급료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른바 ‘승리조’ ‘패배조’의 연수입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후지TV처럼 사원들(1367명)의 평균 연봉이 지난해말 기준 1567만엔(100엔=870원 정도)인 기업이 있지만, 200만엔대 기업도 적지 않다.
현재 일본에서는 각 방송사들이나 중앙신문사 직원들의 연수입이 다른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방송사가 1300만엔 안팎이고, 신문사들이 규모에 따라 1000만엔 안팎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래서 이들 직종은 여전히 ‘기자-PD고시’라고 할 정도로 인기다.
반면 3000개가 넘는 상장기업 가운데도 소매업이나 서비스업, 영세 의약품회사 등의 종업원 평균연수입이 최저 150만엔대도 있고, 200~300만엔인 기업도 적지 않다. 이런 기업은 종업원의 근속연수가 짧고, 정사원의 비율이 낮은 것도 특징으로 꼽힌다.
업종별 편차도 크다. 격주간인 프레지던트 최신호 조사에 따르면 증권업은 지난해 기준 평균연수입이 722만엔이다. 광업 644만엔, 철강 595만엔, 수산-농림 509만엔, 기계 586만엔, 해운업 798만엔, 비철금속 573만엔, 전기기기 604만엔, 정밀기기 594만엔, 부동산 630만엔, 섬유 550만엔, 고무제품 550만엔이었다. 이 업종들은 향후 경기전망도 좋은 편이다.
반면 전망이 좋지 않은 보험업은 679만엔, 의약품 696만엔, 서비스업 514만엔, 육상운송업 514만엔, 소매업 461만엔, 펄프종이 583만엔 등이었다. 화학, 식료품, 은행업, 정보-통신업 등의 업종은 경기전망이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취업희망자들은 이런 업종별 경기전망도 중시한다.
급여의 양극화 갈수록 심화
위에서 제시한 업종별 평균 연수입이 높은 것은 상장기업들을 상대로 했기 때문이다. 대부분 중소기업이 위주인 주식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들의 종업원 평균연수입은 이 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으로, 일본 월급쟁이들의 평균 연수입은 400만엔 대이다.
의사, 변호사, 회계사, 프로야구선수 등 업종별 급여도 편차가 매우 크다. 일본에서는 여전히 공무원들의 연수입이 회사원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고, 직업의 안정성도 보장되는 측면이 강하다. 5년간 5%의 공무원을 줄이겠다고 하지만 해고는 없고, 신규채용만 줄이는 식이다.
이런 공무원의 최고봉 내각총리는 추정 연수입이 4165만엔이다. 프로야구선수는 평균 연수입이 3743만엔(752명 평균), 장관 3041만엔(17명), 사무차관 2432만엔(12명), 국회의원 2228만엔(720여명), 변호사 2101만엔(2만1185명), 도-도-부-현지사 2100만엔(47명) 등이다.
6만9000여명의 개업의사 평균연수입은 2086만엔, 조종사는 1713만엔(2920명), 공인회계사 1426만엔(2만94명), 치과의사 1329만엔(9만여명), 고용의사 1227만엔(26만여명), 대학교수 1153만엔(4만4000여명), 대학조교수 917만엔(1만8000여명), 사법서사 890만엔(1만7800여명), 경찰관 840만엔(23만7900여명), 변리사 827만엔(6000여명) 등으로 비교적 고소득자다.
반면 연수입이 초라한 직종들. 417만명으로 추정되는 프리터(아르바이트 위주로 생활하는 사람)는 평균연수입이 불과 106만엔으로 조사됐다. 빌딩청소원들은 233만엔(9만2000여명),이-미용사 295만엔(3만1500명), 가정건강보조원 299만엔(3만2000여명) 등으로 나타났다.
28만7000여명으로 추산된 택시운전수의 경우도 추정연수입이 306만엔으로 낮은 편이다. 이들은 “고이즈미 정부가 택시업 참여 규제를 풀어, 택시가 크게 늘어나 수입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푸념하는 경우가 많다. 15만여명의 경비원도 315만엔 정도로 낮다.
6만2000여명 유치원교사의 연수입도 328만엔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40만여명의 개호복지사도 333만엔, 보험외판원 337만엔(17만9000여명), 보육사 340만엔(1만6000여명), 영양사 349만엔(4만5000여명), 조리사 352만엔(22만여명) 등으로 비교적 저소득에 속한다.
아울러 자동차정비공(평균연수입 387만엔, 15만8000여명),백화점점원(390만엔, 10만여명),보일러공(403만엔, 1만5000여명), 프로그래머(412만엔, 13만6700여명) 등도 월급쟁이(4453만명) 평균 439만엔을 밑도는 직업군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밖에 간호사는 연수입 464만엔(43만여명), 시의회의원 528만엔(1만9563명), 소방사 572만엔(15만3000여명), 전차차장 586만엔(2만1000여명), 국가공무원 628만엔(110만9000명), 지방공무원 728만엔(314만여명), 고등학교교사 741만엔(7만9000여명) 등으로 추정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