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양에서 도덕사상의 종가는 아무래도 공자의 유교다. 공자의 사상은 여러 다양한 측면을 함의하고 있어서 단순히 도덕주의적이라고 못박기는 어렵다. 그러나 성인 공자는 좋은 공동체사회의 유지를 위하여 선악의 도덕에 남달리 관심을 보였다.‘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가르침 한 토막이다. 공자가 제자 자로에게 배우지 않으면 폐단이 되는 여섯가지를 말한다. 인(仁)을 좋아하면서 배우지 않으면 그 폐단은 어리석음(愚)이고, 알기(知)를 좋아하면서 배우지 않으면 그 폐단은 잘난 척하기(蕩)고, 신(信)을 좋아하면서 배우지 않으면 그 폐단은 남을 해치게(賊) 되고, 곧음(直)을 좋아하면서 배우지 않으면 그 폐단은 남을 숨막히게 함(絞)이고, 용기를 좋아하면서 배우지 않으면 그 폐단은 난폭해짐(亂)이고, 굳세기(剛)를 좋아하면서 배우지 않으면 그 폐단이 광기(狂)다. 공자의 이 가르침은 매우 중요하다. 첫째로 모든 도덕적 가치가 좋은 면만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그 폐단을 필연적으로 함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폐단이 없는 도덕적 가치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로 그런 폐단이 있으나 이성적 도덕공부에 의하여 폐단의 극복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우리의 이 글은 첫째 주장에 동의하나 둘째 주장에 대하여 동의하기를 유보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이 그렇게 강조해왔던 의식 측면에서 당위적으로 배운 도덕가치가 자기의 무의식의 이해관계를 건드리는 측면에 도전을 받으면, 순식간 도덕적 가치는 흔적 없이 날아가고 오직 무의식적 이해관계에 집착하는 행동을 통상적으로 인간이 하기 때문이다. 나는 인간의 이성적 가치가 무의식의 본능적 이해관계 앞에서 얼마나 허약하게 무너지는지 잘 보아왔다. 평소에 진선진미한 도덕가치를 설교하던 사람이 세속적 출세에 지장을 주는 사람에 대하여 본능적 악감을 심한 욕설로 표시하는 경우를 나는 몇 번 보았다. 공자가 말한 바와 같이 폐단으로서의 악은 선으로서의 가치 이면에 운명적으로 깃들어 있는 선의 배설물과 같다고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선이 있는 곳에 필연적으로 악이 같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악은 선에 의하여 청소되지도 않고 사라지지도 않는다. 내가 악을 미워하면서 완전히 뿌리뽑겠다고 결심하는 그 순간에 나의 선행의 결심은 이미 악을 동반하게 된다. 악을 미워하면서 악과 대결하는 그 선행의 마음에 이미 독선의 악은 소리없이 스며들어 있다. 선량한 지킬 박사가 밤이면 괴물인 하이드로 변하는 스티븐슨의 소설은 선악이 별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야누스의 얼굴처럼 이중적이라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 아닌가? 그렇다고 선악이 동일하다고 궤변을 농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선악이 다르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같이 동거한다는 것이다.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구절을 우리가 깊이 성찰할 필요가 있다.“선인(善人)은 불선인(不善人)의 스승(師)이고, 불선인은 선인의 자산(資)이다.” 선인이 불선인을 가르치는 스승이라는 말은 쉽게 납득이 되지만, 불선인이 선인의 자산이라는 말은 생경해서 소화가 잘 안된다. 거기에 두 가지의 뜻이 숨어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로 선인은 불선인을 역설적인 반면교사로 봐서 자신의 입지를 더욱 새롭게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저렇게 생각하고 행동해서는 안 되겠다는 선인의 마음은 불선인이 선인을 더욱 선인으로 키우는 자산이 된다는 뜻이겠다. 둘째로 불선인은 선인의 이면이므로 불선인의 마음이 선인의 마음으로 방향전환을 하면, 그 불선인은 다시 선인으로 되돌아선다는 뜻으로 읽어도 괜찮다는 것이다. 이 말은 선인도 순간적 마음의 착각으로 불선인으로 미끄러질 위험을 늘 지니고 있다는 것과 같다.
지난 주의 글에서 본능의 이기적(利己的) 성향은 본성의 자리적(自利的) 성향과 같은 무의식에 자리잡고 있고, 서로 다르나 유사한 면도 지니고 있다고 말한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무의식의 성향이 이렇게 가기도 하고, 저렇게 가기도 한다는 것이겠다. 인간은 자연적으로 이익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이익은 선악의 구분 이전의 것이다. 그런데 인간이 바깥에 있는 이익을 남들과 싸워 내가 취득해서 소유하려는 본능은 불선인의 배타적인 방향으로 흐르지만, 내가 내 속에서 내가 좋아하는 마음의 기호(嗜好)를 꽃피워 그 열매를 남들에게 나누어주려는 이타행은 선인의 것이다. 그러므로 자리이타의 선인과 이기배타의 불선인은 종이 한 장의 차이로 동거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어떻게 이기배타적 불선인이 자리이타적 선인으로 방향전환을 이룩할 수 있을까? 노자는 여기서 마음의 고요를 들고 있다. 마음의 고요는 무심한 마음이다. 노자는 이것을 허심이라고 말했다.
내가 하루종일 공부에 몰입하면, 나는 선악과 손익계산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그냥 공부가 좋아서 거기에 몰입할 뿐이다. 마음은 한없이 고요하고 어떤 성취감에 젖게 된다. 그 때에 나는 무선무악(無善無惡)의 심경에 있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노래 부르기와 그림 그리기에 열중한 예술인, 어떤 손재주로 무엇을 공작하는 장인, 회사경영에 열중하면서 돈벌이에 몰입해 있는 기업인, 무엇을 열심히 제자들에게 가르치는 선생님, 어떤 운동에 심혈을 기울이는 스포츠맨, 집안 살림을 잘 꾸려 나가는 일에 열중하는 가정주부들…. 호오의 갈등과 선악의 판단과 손익계산을 넘어선 허심의 상태에서 저런 본성의 자발적 욕망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 때의 마음은 악과 대결하면서 악을 씻어내기 위하여 싸우는 도덕적 결의와 다르다. 그 마음은 선악을 넘어서 있다. 그런 허심한 마음은 선인과 불선인을 다 나누기 이전의 마음이다. 노자가 불선인을 악인이라 부르지 않는 까닭을 잘 음미해 봐야 하겠다. 악은 선과 대결적 양상을 짓고 있으나, 불선인은 선인의 그림자, 선인의 배설물로 본다. 배설물을 인간은 더러워하나, 그것도 다른 생물에게 음식물이 된다. 약과 독은 다르다고 사람들은 단순히 생각하나, 독은 약과 다른 데에 있지 않고 약의 이면일 뿐이다.
그러면 저 무심한 무선무악의 심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그것은 선악 이전의 마음이다. 유교의 경전인 ‘대학’에서 저 경지를 지선(至善)이라 읊었다. 지선은 절대적 선이라는 뜻이겠다. 불선의 악을 스스로 분비하는 의지적 선이 아니라, 선악을 넘어서 무선무악의 무심에서 인간의 본성이 자연스럽게 깨어난 그런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겠다. 이런 상태를 불교에서 불성(佛性)이라 하고, 그리스도교에서 신성(神性)이라 부른다.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는 불성으로서 또는 신성으로서 지선이 숨어 있다. 호오와 선악과 시비와 애증으로 마음이 흥분되어 꺼둘리지 않으면, 이 지선이 나타난다. 우리의 마음이 불안하고 사회생활이 괴로운 까닭은 내가 좋아하는 것이 이기고 승리하는 소유자의 자리에 앉기를 탐욕하기 때문이다. 선을 소유하려고 탐욕하면, 그것도 나와 남을 괴롭힌다. 우리의 모든 교육과 정신문화는 마음의 고요를 되찾아 지선이 하고싶은 것을 원대로 하도록 도와주는 데 있겠다. 마음의 고요는 그냥 마음이 잠자듯이 멍청한 상태가 아니라, 어떤 일에 마음이 열심히 몰입했을 때에 생긴다. 그 때에 지선이 우리를 부처로, 하느님의 아이들로 만든다. 그 지선만이 우리를 복락케 하고 우리를 개벽시킬 것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