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열린세상] 높이 나는 새가 좌우를 다 본다/강지원 변호사

鶴山 徐 仁 2006. 10. 5. 17:50

한가위다. 휘영청 밝은 달을 쳐다보며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소원을 빌어보기도 하고 사랑하는 이들을 떠올리며 그리워하기도 할 것이다. 불현듯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이 쪽에서 쳐다보는 달은 저러한데 저 쪽에서 내려다 보는 이 쪽은 어떠할까. 얼마나 커 보일까.

아마도 그리 커 보일 것 같진 않다. 그저 쟁반같이 둥근 달처럼 한 눈에 보일 것이다. 작다. 손바닥만 하다 해도 그만일 것이다.

그런데 이 손바닥만 한 지구 안에서 또 무슨 쪼갤 일이 있어 쪼개고 또 쪼갤까. 핏줄이 다르다 하여 따로 살고, 나라도 달리 하여 경계선을 긋고, 한반도도 반으로 쪼개져 산다. 또 그들간에 오순도순 함께 살아갈 수 있을 법도 한데, 왜 이리도 허구한 날 싸움박질에 아귀다툼일까.

한반도만 해도 그렇다. 최근세사 수십년만 하더라도 별의별 희한한 일들이 다 있었다. 반쪽으로 쪼개져 한 쪽은 극좌적색독재가, 한쪽은 극우백색독재가 횡행했다. 이 나라 백성이 무슨 죄가 그리도 많은지 남북에서 온통 독재탄압이 판을 쳤다. 북쪽은 아직도 저 모양이지만 남쪽은 산업화도, 민주화도 앞섰다. 그래서인지 남쪽은 지금 새로운 노선투쟁이 한창이다. 신물이 나도록 좌파, 우파, 진보, 보수 논쟁에 영일이 없다.

그런데 이 논쟁에서 가장 개탄스러운 것은 자신의 본색을 드러내지 않은 위장세력이 설쳐댄다는 것이다. 먼저 좌파부터 보자.

한국의 좌파에는 북한정권 추종자에서부터 사민주의자와 민사주의자에 이르기까지 스펙트럼이 넓다. 문제는 친북독재파다. 이들은 대체로 드러내놓고 북한정권을 두둔하지 않는다. 우회적으로 ‘한민족은 하나’라든가 ‘평화 공존’이라든가 하는 등등의 고상한 언어들을 구사한다. 속이는 것이다. 이런 이들 때문에 보통의 좌파들까지 색깔논쟁에 휘말린다. 모조리 빨갱이로 매도되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의 좌파들도 좌파라는 용어를 싫어하는 기색이다.

우리 국민은 극좌독재파에게 요구해야 한다. 회개하라고, 그리고 생각을 바꾸라고. 왜냐하면 그것은 독재이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말살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번엔 우파를 보자. 한국의 우파에도 과거의 개발독재추종자로부터 자민주의자에 이르기까지 그 스펙트럼이 넓다. 문제는 역시 과거독재찬양파다. 이들은 가급적 독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그저 ‘경제성장’이라든가 ‘한강변의 기적’이라든가 하는 유의 유혹적인 언어들을 구사한다. 솔직하지 않은 것이다.

이들 때문에 보통 우파들까지 과거신봉자로 매도된다. 그래서 그냥 우파라고 하기 싫어 신우파라는 말을 만들어냈다.

요즘 좌파의 실패를 보고 우파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 와중에는 이런 극우독재찬양자들도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우리 국민들은 그들에게도 촉구해야 한다. 어디 과거의 잘못을 단 한번이라도 회개한다고 말해 본 적이 있느냐고, 그러니 하루바삐 반성대회부터 열고 나서라고.

우리가 극좌파나 극우파를 배척하는 까닭은 그들의 편파적·적대적 속성 때문이다. 좌파도, 우파도 있을 수 있으나 존재양식이 편파적이고 적대적이면 ‘극’자를 면치 못하는 것이다.

건강한 좌파와 우파는 편파성과 적대성에서 벗어나야 한다. 상대를 존중하고 서로에게서 배우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그러러면 높이 올라 멀리 보고 중앙을 향해야 한다.

전라도 새와 경상도 새가 있다고 하자. 전라도 새가 전라도 지방만 날면 전라도밖에 보지 못한다. 그러나 좀더 높이 날아 멀리 바라보면 경상도도 보이고 충청도도 보이고 제주도도 보인다. 경상도 새도 마찬가지다. 경상도 새가 낮게 날아 시야가 좁으면 경상도밖에 보지 못한다. 그러나 좀더 높이 날아 멀리 바라보면 더 넓은 세상이 보인다.

높이 나는 새는 그렇게 멀리 좌우를 다 보고, 그래서 중앙도 향하게 된다. 높이 나는 새처럼 휘영청 밝은 달에서 내려다 보는 지구촌은 그만큼 작지만 아름다울 것이다.

강지원 변호사

기사일자 : 2006-10-05    26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