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조선운동(聖書朝鮮運動) ④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성서조선운동(聖書朝鮮運動) ④ 1927년 1월 김교신, 함석헌 등과 함께 조선성서연구회를 결성하였던 동지들 중에 송두용(1904~1989)이 있었다. 그는 충북 영동에서 부유한 지주 집안에서 출생하였다. 어린 시절 남의 땅을 밟지 않고 살았다고 말할 정도로 부잣집이었다. 그도 우찌무.. 人物情報 參考 2010.04.19
성서조선운동(聖書朝鮮運動) ③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성서조선운동(聖書朝鮮運動) ③ 1927년 동경사범학교를 졸업한 김교신 선생은 이듬해에 서울 양정고등보통학교에 지리선생으로 부임하였다. 선생은 지리과목을 가르치는 시간에 학생들에게 민족혼을 불러일으켰다. 한반도(韓半島)의 지리적 특성을 가르치며 일본인들은 한반.. 人物情報 參考 2010.04.19
성서조선운동(聖書朝鮮運動)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성서조선운동(聖書朝鮮運動) 김교신 선생이 『성서조선』지의 창간호에 쓴 창간사의 마지막 부분을 옮겨 쓴다. “『성서조선』 아, 너는 우선 이스라엘 집으로 가라. 소위 기성 신자의 집을 거치지 말라. 그리스도보다 외국인을 예배하고 ‘성서’ 보다 회당을 중시하는 자의 .. 人物情報 參考 2010.04.18
성서조선운동(聖書朝鮮運動)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성서조선운동(聖書朝鮮運動) 동경 유학 시절에 우찌무라 간조의 문하생들로 그의 영향을 받았던 조선인 유학생들 중에 몇몇이 모여 조선성서연구회를 결성하였다. 1927년 1월이었다. 그들은 매주 모임을 가지고 성서를 함께 공부하며 조국 조선의 희망을 성서 속에서 찾으려 하.. 人物情報 參考 2010.04.18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선생 ⑤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선생 ⑤ 우찌무라 간조 선생이 비국민(非國民)으로 몰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처지에서 자신의 집 여섯평 다다미 방에서 청년들에게 성경을 가르치는 일에 전심을 기울였다. “일본을 성서위에 세우겠다”는 일념을 품고 성경으로 젊은이들의 혼을 깨.. 人物情報 參考 2010.04.18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선생 ④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선생 ④ 우찌무라 간조 선생은 당시에 일본이 조선을 강제합병하고 만주에 이어 중국까지 침략하던 때에 반전운동, 평화운동을 펼쳐 극도의 어려움을 당하였다. 일본군이 전쟁 초기에 연전연승하는 전황이 보도되자 일본 국민들은 모두가 열광적인 박.. 人物情報 參考 2010.04.17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선생 ②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선생 ② 우찌무라 간조는 33세 되던 해에 미국 유학 길에 올랐다. 미국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어느 날 그는 자신이 죽은 후 자신의 묘비에 적혀지기를 원하는 묘비문(墓碑文)을 아래와 같이 적었다. 이 비문은 토꼬의 타마 공동묘지에 있는 그의 묘에 일.. 人物情報 參考 2010.04.17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선생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선생 “나의 형제 곧 골육의 친척을 위하여 내 자신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질지라도 원하는 바로다. 그들은 이스라엘 사람이라.”(로마서 9장 3, 4절) 그제 글에서 일본 삿포로 농학교(札幌農學校) 초대 교장으로 와서 불과 8개월을 일하고 .. 人物情報 參考 2010.04.17
헨리 소로우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간소하게, 단순하게 헨리 소로우(Henry David Thoreau, 1817년 ~ 1862년)는 19세기에 쓰여진 책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책이라 불리울 만큼 중요하고 특이한 책인 《월든》을 쓴 사람이다. 그는 1817년에 태어나 1862년 45세 아까운 나이로 죽었다. 그는 하버드 대학을 졸업한 후 안정된 직.. 人物情報 參考 2010.03.27
“절판된다니 사놓자”…서점가 ‘법정 후폭풍’ 판매량 5배 늘고 1∼3위 점유…출판사들 “유언 어떻게 받아들일지” 2010-03-14 기자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자의 블로그 보기 --> 서울 자양동에 사는 주부 이모(58)씨는 12일 저녁 시내 대형 서점 여러 곳에 전화를 걸어 법정스님의 대표 산문집 ‘무소유’가 있는지 물었지만 “당분간 구할 수 없.. 人物情報 參考 2010.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