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은 중국이 1983년 사회과학원에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을 설립하고 접경지역의 역사·지리·영토 문제를 연구한 것을 공정의 출발점으로 잡고 있다. 1기 서북공정은 1991년 소련의 해체에 영향을 받은 신장(新疆) 위구르 지역의 분리ㆍ독립운동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추진됐다. 티베트와 위구르 지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이후에도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가 이어지는 등 중국 정부의 골머리를 앓아왔으나, 이 공정은 이미 마무리돼 ‘서역 통사’ 등 단행본도 나와 있다. 서북공정은 이후 20조원짜리 초대형 국가사업인 ‘서북대개발’로 이어졌다. 또한 ‘칭짱(靑藏)철도’ ‘서전동송(西電東送)’ ‘서기동수(西氣東輸)’ 등 국책 프로젝트의 근간이 되기도 했다.
서남공정은 인도차이나 지역의 국경 정리와 윈난(云南)성 27개 소수민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이다. 서남공정에도 역시 대대적인 개발사업이 뒤따랐으며, 그 결과로 샹그릴라를 비롯한 서남부 지역은 연 2만명 남짓 찾던 관광객들이 10년여사이 100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관광 명소로 자리잡았다. 동시에 한족(漢族) 자본의 유입과 함께 소수 민족의 자취가 사라지는 결과를 낳았다.
동북공정 역시 출발선과 과정이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동북지역의 안정적 통합과 대(對) 한반도 영향력 확보를 위한 포석이 공정의 목적으로 분석된다. 연구에 이어 그 결과의 일부가 교과서 등 교육 교재에 이미 반영되기 시작됐고,‘동북진흥(東北振興)’이라는 국가적 개발 프로젝트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100여개 사업에 10조원이상의 돈이 투입되는 프로젝트다.
특히 최근 백두산에 대한 대대적인 관광개발지화는 서남공정을 떠올리게 한다. 전례로 볼 때 2년내 백두산 관광객을 현재 30만명에서 80만∼100만명까지 늘리겠다는 목표가 무모해 보이지 않는다. 중국 전역에 한글 표지가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유독 백두산 주변에 한글이 사라져가는 점도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동북공정은 대상 소수 민족이 ‘조선족’으로, 모국(母國)이 접경지역에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북·서남지역 문제와는 성격을 다소 다르게 보기도 한다. 그러나 동시에 서북공정이 ‘티베트’를 중국화하기 위해 수립한 것이라면, 북한의 붕괴를 염두에 둔 전략으로 ‘동북공정’을 바라보는 이들도 있다. 미국의 대북특사를 지낸 찰스 프리처드 등 전문가들은 “북한이 붕괴될 때 중국으로의 흡수 통합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j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