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위기의 대학들 학장 책임경영 등 단대별 홀로서기 독려

鶴山 徐 仁 2006. 8. 25. 13:30
"흩어져야 산다"

"대학 위기의 탈출구는 단과대학 각개약진."

우리나라 대학들의 경쟁력 저하에 대한 위기감이 심화되는 가운데 그 활로로 단과대에 폭넓은 자율권을 주는 책임경영제를 도입하거나 단과대간 경쟁을 붙이는 방안이 서울대 고려대 등에서 동시에 모색되고 있다.

이는 대학 본부가 예산에서 인사까지 모든 권한을 틀어쥐고 대학 전체가 함께 움직이는 굼뜬 대응으로는 도저히 위기를 벗어날 수 없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한다.

서울대 공대와 자연대는 스스로 자구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공계 위기'라는 안팎의 우려 속에 올 초 사상 처음 외부기관(삼성경제연구소)에 컨설팅을 맡긴 결과 "지금 대로라면 '세계 10대 자연대, 공대'라는 목표는 영원히 불가능하다"는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기 때문이다.

이후 자연대와 공대가 가장 먼저 뽑아 든 카드는 '학장 책임 경영 체제' 도입 등 살아 남기 위해서는 대학 본부와 다른 길을 갈 수도 있다는 선언이다. 학장 임기도 "중장기 전략을 추진하기에는 현행 임기 2년이 짧다"며 4년(연임 가능)으로 늘렸다.

고려대는 대학 본부 차원에서 단과대 홀로서기를 독려하고 있다. 최근에는 각 단과대가 지난해 ▦학생 취업률 ▦교수 1인 당 논문 수 ▦기금 확보 등 13개 항목에 대해 제시한 '자기 목표치'를 1년 동안 얼마나 잘 달성했는지 평가한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특히 순위에 따라 전체 등록금의 일정 비율을 떼주는 인센티브 기법까지 도입, 1위를 차지한 공대에 등록금의 0.5%(1억3,000만원), 2위 생명과학대에 0.35%(9,100만원)를 덤으로 얹어줬다. 학교 관계자는 "기업에서 쓰이는 목표관리경영(MBOㆍManagement By Objective)을 도입해 단과대 나아가 대학 전체의 경쟁력을 키우자는 시도"라고 말했다.

서강대도 손병두 총장이 올 2월 취임하자마자 7개 단과대 학장들을 소집, '1년 목표'를 제출하도록 했다. 1년 뒤 단과대별로 연구 성과를 따져 상위 50% 교수에게 10억원을 차등 지급하겠다는 방침이다.

단과대가 예산 편성과 집행에 대한 자율권을 갖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대학도 늘고 있다. 2003년 출판부를 대상으로 '자율 채산제'를 실시해 흑자 경영이라는 뜻밖의 성공을 거둔 성균관대는 이를 단과대 전체로 확대할 방침이다. 한양대도 내년부터 단과대 독립 채산제 시범 실시에 들어간다. 경희대 등 일부 대학은 한발 더 나아가 교과 과정 편성과 교직원 인사까지 학장에 맡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박상준 기자 buttonpr@hk.co.kr  

입력시간 : 2006/08/17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