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국가경쟁력을 살리자-세계의 싱크탱크] 세계61개국 경쟁력 평가 국제투자자 참고자료로

鶴山 徐 仁 2006. 7. 18. 09:26

 

|로잔(스위스) 함혜리특파원|매년 5월이면 세계 각국은 스위스 로잔에 있는 국제 비즈니스 스쿨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발표하는 국가 경쟁력 순위에 촉각을 세운다.IMD 산하 세계경쟁력연구소(WCC)가 세계경쟁력 연감을 발행한다.IMD는 제네바에 있던 IMI와 로잔의 IMEDE를 합쳐 1990년 설립됐다. 이 학교의 스테판 가렐리 교수가 1987년 WCC를 만들었다.1989년 이후 연감을 발행하고 있다.
▲ 세계경쟁력연구소(WCC)가 매년 5월 발간하는 경쟁력연감은 각국 정부가 국가발전과 번영을 위한 효율적인 도구로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권위와 명성을 자랑한다.WCC가 속해 있는 스위스 로잔의 비즈니스 스쿨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캠퍼스.

경쟁력 연감은 61개 국가 및 경제권을 대상으로 국가경쟁력 순위와 국가별로 분야별 성과를 수치로 비교한 것이다. 경제 운용성, 정부 효율성, 기업 효율성, 인프라의 4대 지표별로 성적표를 제시한다. 각국 정부의 정책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전세계 투자자들이 투자처를 고를 때 기본 자료로 삼을 정도로 권위와 명성이 높다.

WCC의 연구인력은 간판스타인 가렐리 교수를 포함해 10명. 이중 절반 정도가 통계전문가와 컴퓨터 프로그래머이기 때문에 실제 연구원을 꼽으라면 다섯 손가락을 넘지 않는다.700쪽이 넘는 방대한 경쟁력 연감을 최신 통계자료와 함께 정확하게 분석·비교해 가장 빠르게 경쟁력 관련 자료시장에 선보이는 노하우는 어디에 있을까?

가렐리 교수는 수년간의 연구를 거쳐 312개의 평가항목을 마련했다. 전세계 58개 연구소와 네트워크를 형성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로 경쟁력을 평가한다. 전체 평가에서 계량화된 데이터의 비중은 약 3분의2이며,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나머지 재료로 사용해 하드데이터의 허점을 보완한다.

로잔 대학의 경영대학원 교수를 겸하고 있는 가렐리 교수는 국가경쟁력 분야의 선구자이자, 세계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로잔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다보스 심포지엄 의장(1980∼1987년), 월드이코노미 포럼 의장(1974∼1987년)을 지냈다. 휼렛 패커드 유럽경영본부 자문역(1988∼2000년)도 거쳤다.

현재는 중국기업경영협회, 유럽발전을 위한 장 모네 기금, 스위스 기술·과학아카데미, 예술·상공업 진흥회, 멕시코 경쟁력 강화 위원회 등 전략 연구소의 이사회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20년간 쌓은 방법론과 이론을 담아 최근 ‘톱클라스 경쟁자들’을 출간했다.

lotus@seoul.co.kr

기사일자 : 2006-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