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잔(스위스) 함혜리특파원|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올들어 총체적으로 후퇴한 것은 글로벌 환경에 맞는 변화를 제 때에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국가경쟁력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스테판 가렐리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교수가 지적했다.
|
가렐리 교수가 소장으로 있는 세계경쟁력연구소(WCC)의 ‘2006년 세계 경쟁력 연감’은 한국의 경쟁력이 61개 경제권(국가 및 지역) 가운데 38위로 지난해(29위)보다 9단계가 후퇴했다고 지난 5월 평가했다.
가렐리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특별 인터뷰에서 “오늘날 국가경쟁력이란 다른 국가보다 얼마나 잘, 그리고 얼마나 빨리 외부 환경의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면서 “한국은 불행히도 외국 기업들 사이에서는 변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나라로 인식돼 있다.”고 말했다.
가렐리 교수는 “개혁은 힘들고 시간도 많이 걸리지만 그러나 해야 한다.”면서 “주변 국가들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가렐리 교수는 “국가 경쟁력 순위가 높아진 나라와 외국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나라는 우연히도 일치하고 있다.”면서 “행정은 복잡하고, 사회제도는 예측이 불가능하며, 노조가 강경한 한국은 외국 기업들 입장에서 볼 때 아무런 매력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한국은 지난해 4%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기는 했으나 이는 세계 경제가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인 결과일 뿐”이라며 “중국, 인도, 홍콩, 싱가포르 등 글로벌 경제환경에서 변화를 수월하게 받아들인 국가들과의 종합적인 경쟁력 비교에서는 크게 뒤처졌다.”고 평가했다.
월마트, 까르푸 등 외국의 굵직한 투자자들이 한국시장을 포기했던 것은 ‘예사롭지 않은 일’이라고 우려를 표한 가렐리 교수는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고 행정절차를 보다 간소화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으로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은 지리적 이점과 함께 노동생산성이 높고 역동성을 지닌 나라”라면서 “한국이 국가경쟁력을 높이려면 국민이 공감하는 장기 국가비전을 설정한 뒤 이를 달성하도록 내부 개혁을 빨리 이뤄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