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건강관리 마당

백발을 검어지게 하는 자양강장제, 백하수오

鶴山 徐 仁 2006. 2. 25. 00:44

 
 
백하수오는 박주가리과의 다년생 덩굴성 초본 식물이다.  높이가 1~2미터까지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표면은 연한 회자색으로 털이 없다.  홑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가늘고 부드러운 털이 드물게 있다.  잎몸은 삼각모양의 심장형으로서 길이는 3~5.5센티미터이고 너비는 1~2센티미터이며 앞끝은 점차 뾰족해진 모양이다.  산형화서는 잎겨드랑이에서 올라오고 꽃은 작고 연한 황록색이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인데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져 있다.  줄기를 자르면 흰유즙이 나온다.  

골돌 열매는 박주가리열매보다 약간 작은 길이가 약 10센티미터이다.  성숙되면 한쪽면의 배가 갈라지면서 터지는데 생김새가 박주가리열매처럼 은백색의 가늘고 보드라운털이 있으며 길이가 약 3센티미터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결실기는 9~10월에 열매가 열린다.  주로 우리나라 모든 산기슭 풀밭이나 길가, 바닷가의 경사진 곳에 야생하고 보통 다른 식물에 감겨서 올라가는 특성이 있다.  

백하수오의 다른 이름은
하수오(何首烏), 백수오(白首烏: 산동중약), 태산백수오(泰山白首烏: 중약재 품종논술), 화상오(和尙烏: 산동중초약수책), 대근우피소(大根牛皮消: 중약대사전), 이엽우피소(耳葉牛皮消), 격산우피소(隔山牛皮消), 비래학(飛來鶴: 식물명실도고), 큰조롱, 은조롱, 백하오, 새박덩굴, 구진, 새박뿌리, 해숭애, 박죽뿌리, 곱뿌리, 씨조롱, 참새박죽이
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큰조롱(Cynanchum wilfordii(Maxim) Hemsl.)을 적하수오 대용으로 백하수오라고 쓰고 있다.
신장, 간장, 심장을 튼튼하게 한다.

하수오는 옛날부터 자양강장약으로 이름 높은 약초이다.  야합(夜合), 지정(地精), 교등(交藤), 진지백(陳知白), 산옹(山翁), 산정(山精)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우리말로는 흔히 큰조롱, 또는 은조롱이라고 하며 황해도나 경상도 지방에서는 새박덩굴이라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상남북도, 전라남도, 강원도, 충청북도, 평안도, 황해도 등지의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풀밭이나 바닷가의 비탈진 곳 등에 드물게 자란다.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줄기는 1~3미터쯤 자라고 뿌리는 원기둥 혹은 저울추 모양으로 구슬처럼 이어져 달린다.  뿌리는 길이 5~15센티미터, 굵기는 1~3.5센티미터쯤이고 큰 것은 옆으로 갈라지기도 한다.  뿌리는 겉은 누런빛이 도는 갈색이고 속은 흰빛인데 단단하고 약간 특이한 냄새가 난다.  맛은 약간 쓰면서도 떫다.  잘 씹어 보면 밤맛, 고구마맛, 배추뿌리맛이 섞여 있다.

  줄기는 왼쪽 방향으로 주위의 나뭇가지나 풀 같은 것을 감으면서 자라는 성질이 있고 줄기나 잎을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며 심장꼴이고 꽃은 연한 황록색으로 7~8월에 핀다.

  열매는 길이 8센티미터, 지름 1센티미터쯤 되는 피침 모양으로 9월에 연한 갈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익으면 열매껍질이 터지면서 길고 흰 털이 붙은 씨앗이 프로펠러처럼 바람에 날려 사방에 흩어진다.  대개 5~10년쯤 자라다가 죽지만 간혹 수십 년이나 수백 년을 자란 것이 발견되는데 이런 것은 약초꾼들이 산삼보다도 더 귀하게 여긴다.  수십 년이나 수백 년 묵은 하수오 뿌리 중에는 간혹 속이 썩어서 물이 들어 있는 것이 있는데 이 물이 만병통치의 효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하수오뿐만 아니라 더덕이나 지치, 도라지 등 어떤 약초든지 수십 년씩 자란 것은 값을 따질 수 없는 보물이 되는 법이다.

  하수오는 적하수오와 백하수오의 두 종류가 있는데 우리나라에 야생하는 것은 대개 백하수오이고 적하수오는 극히 드물게 발견된다.  적하수오는 대개 중국에서 많이 심어 가꾸고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부지방 일부에서만 난다.

  약초꾼들 사이에 전해지는 말로는 하수오는 암수가 다른 식물로 서로 떨어져 있다가 밤이 되면 서로 엉켜 안고 지낸다고 한다.  그래서 하수오 한 뿌리를 발견하면 반드시 그 주위에 다른 한 뿌리가 있으며 또 밤중에 서로 교합하여 음기(陰氣)를 얻은 것이 약효가 더 높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하수오가 암수 딴 그루식물인 것은 아니다.  다만 약초꾼들은 새박덩굴을 숫하수오로 여긴다.  새박덩굴은 잎이 하수오와 매우 닮았으나 덩이 뿌리가 없다.

  약초꾼들은 늦은 가을이나 이른 봄철에 말라죽은 줄기를 보고 하수오 뿌리를 캐낸다.  예전에는 약초 채취를 직업으로 삼는 약초꾼들이 흔했으나 지금은 거의 사라졌으므로 야생 하수오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재배하거나 중국 같은 데서 수입한 하수오는 야생에 견주어 약효가 형편없이 낮다.  중국산 하수오는 우리나라 야생 하수오와 품종이 전혀 다르다.  또 우리 나라에서 재배하는 것은 대개 중국 품종을 가져다가 심은 것이다.  중국 품종은 뿌리가 굵고 수확량은 많지만 뿌리에 녹말만 많을 뿐 약효는 형편없다.  반드시 우리나라에서 자란 야생 하수오를 구해 약으로 써야 제대로 약효를 기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란 것도 지방에 따라 약효가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경기도 감악산 일대와 경북 소백산 부근에서 난 것이 약효가 가장 높다고 한다.

옛 문헌과 현대 문헌에 나온 기록

<동의보감>에는 하수오에 대해 이렇게 전한다.
  “황해도와 강원도에서 난다.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떫다.  염증을 삭이고 가래와 담을 없앤다.  갖가지 종기, 치질, 만성피로로 몸이 마르는 것, 부인의 산후병, 대하 등을 치료하고 기(氣)와 혈(血)을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충실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까맣게 하고 오래 먹으면 늙지 않는다.”

<본초비요>에는 이렇게 전한다.
  “성질이 평하고 맛은 달고 쓰다.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피를 맑게 한다.  정력을 세게 하고 아이를 낳게 한다.  온갖 풍을 없애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검게 한다.”

'건강관리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령별 운동 상식  (0) 2006.02.25
분꽃  (0) 2006.02.25
눈을 건강하게 해주는 풍경  (0) 2006.02.25
장수 마을의 발효 식품  (0) 2006.02.22
아플땐 ..............여기를 눌러보셔요  (0) 2006.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