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南北美洲.濠洲

[스크랩] [유적] Machu Picchu (Peru)

鶴山 徐 仁 2006. 2. 4. 15:54

Machu Picchu

 

 

 

 

마츄피츄는 1911년 7월 24일에 미국 Yale대학 교수인 Hiram Bingham에 의해

발견되어 세상에 알려 지게 되었다.

이 서양 학자에 의해 발견 되기 전까지는 수풀에 묻힌 채 그 존재를 몰랐기 때문에

마츄피츄를 "잃어버린 도시" 또는 "공중 도시" 라고 불리는데, 공중도시라고 불리는

이유는 산과 절벽, 밀림에 가려 밑에서는 전혀 볼 수 없고, 오직 공중에서만 존재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츄피츄는 총 면적이 5㎢로 도시의 절반 가량이 경사면에 세워져 있고, 유적 주위는

성벽으로 견고하게 둘러 싸여 완전한 요새의 모양을 갖추고 있다.

마츄피츄(2,280m)는 옛 잉카제국의 수도였던 쿠스코(3,360m)에서 산악열차를 타고

안데스 산맥의 협곡을 따라 3시간 거리에 있다.

또한 마츄피츄는 산꼭대기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산 위에서는 계곡이 다 내려다 보이지만

계곡에서는 어디에서 올려다 보아도 그 존재를 알 수 없고,  접근조차 어렵다.

마츄피츄에는 약 1만여명이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산정과 가파른

경사면에 들어서 있어 스페인 정복자들의 손길이 닿지 않은 유일한 잉카의 위대한 유산이다.

정확한 건설 연대는 알 수없으나 대략 2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이곳에 태양신전과

생계유지를 위한 산비탈의 계단식 밭, 훼손되었을 법한 지붕없는 집, 농사를 짓는 데

이용한 태양시계, 콘돌 모양의 바위, 그리고 제단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측되는 거대한

피라미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츄피츄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수준 높은 건축기술이라 할 수 있다.

커다란 돌을 다듬는 기술이 대단히 정교하며 다듬어진 돌의 각변의 길이가  몇m나 되고

모양도 제각각인 돌들을 정확하게 잘라 붙여서 성벽과 건물을 세웠다.

종이 한장도 들어갈 틈이 없이 단단하고 치밀하게 붙였으며, 젖은 모래를 표면 처리에

이용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했으며, 가파른 산비탈을 개간하여 계단식 밭을 만들고

여기에 배수시설까지 완벽하게 갖추게 했으며, 모든 이용 시설에 필요한 자재로 돌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불리는 불후의 유적으로 꼽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1911년 Bingham이 왕궁과 기타 부속건물을 복원한 뒤로 1956년 부터 대규모 발굴과

복원이 이루어졌으며, 1974년에 일반적인 복원이 마무리 됨으로써 마츄피츄는 세계에

공개되었으며, 아메리카 최고의 관광 유산으로 손꼽히는 고대 유적지가 되었다.

잉카인들은 통용의 글자와 쇠, 화약, 바퀴를 몰랐지만 찬란한 문화를 꽃피우고

강한 군대를 유지했다.

제국은 태평양 연안과 안데스 산맥을 따라 남북을 관통하는 두 갈래 길(잉카로드)을

2만 km나 만들어 광대한 영토를 통제했다.

황제의 명령은 국민 한사람 한사람에게까지 고루 미쳐 새 한마리도 황제의 명령 없이는

날지 못하였다고 전해진다.

 

 

 

잉카인들의 돌다루는 기술은 신기(神技)에 가까웠으며 그들이 만들고 세운 돌은 20t이나

나가는 엄청난 크기와 무게의 돌을 바위산에서 잘라내어 수십km 떨어진 산위로 날라다

신전과 집을 지었으며, 면도날도 들어갈 틈이 없어 석조건축물 구성에 필요한 재주는

남다른 데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이 사용한 가장 큰 돌은 크기가 무려 8.53m 높이에 361t이 나가는 엄청난 큰 돌을

마치 가벼운 물건 다루듯 한 데서 현대 건축가들도 혀를 내두른다.

 

 

 

평야가 적었지만  산비탈을 계단처럼 깍아 옥수수를 경작함으로써 그들은 넉넉히 먹고

살았으며 철의 대용품으로 구리를 단단하게 제련하여 사용하였는데 그 방법은 지금도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이렇듯 강성했던 잉카제국은 겨우 100여년 만에 스페인 군대에 의해 허망하게 무너졌고

그들의 패망과 저항에 얽힌 수많은 사연을 집약해 주는 최대의 유적이 바로 안데스 산맥

밀림 속 해발 2280m에 자리 잡고 있는 바위산 꼭대기의 공중도시 마츄피츄이다.

"우리는 비탈에 납작 붙어서 아래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땅에 손가락을 찔어 꽃은 뒤

미끄러 지지 않도록 한 뒤 미끄러운 풀을 헤치면서 몸을 위쪽으로 끌어 올렸다.

아득한 낭떠러지 저 아래에서는 우리가 밧줄을 잡고 건너온 우루밤바강의 성난 급류가

하얀 거품을 일으키며 누군가의 희생을 강요하고 있었다.

 

 

 

안내인은 이 근처에서 사냥감을 뒤에서 공격하는 페루드란스 독사가 많다고 귀띔을

해주었는데 밑에는 천길 낭떠러지며 뒤에는 맹독의 독사가 달려든다는 절규처럼

안내인의 목소리는 신음에 가까웠다."

이 내용은 미국 Yale대학에서 라틴 아메리카 역사를 가르치던 서른 다섯살난 Hiram

Bingham이 마츄피츄를 발견한 1911년 7월 24일의 일을 기록한 글이다.

탐험대는 Bingham과 그의 대학 동료 두 사람, 통역과 안내를 맡은 페루 하사관 1명,

거기에 노새 몇마리.

 

 

 

그들은 잉카제국의 마지막 수도였던 빌카밤바를 찾으려고 들끊는 모기, 지독한 더위,

그리고 위험한 급류를 무릅쓰고 우루밤바강을 따라 페허들을 모조리 조사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그들의 일행이 빌카밤바 계곡에서 야영을 할 때  한 인디언이 나타나 그들의

바로 앞에 깍아 지른듯이 솟아있는 바위산 정상에 거대한 페허가 있다고 알려 주었으며

Bingham의 일행은 그 산을 오르는 과정에서 죽음보다 더 두려움을 느낄만큼 소름끼치는

협곡을 기어올라 마지막 돌로 된 관문을 지날 때 자신들의 눈을 의심했다고 한다.

 

 

 

 

 

 

 

[From : http://tong.nate.com/shin1075/5686639 ]

 

 



 
출처 : 블로그 > impressionistically | 글쓴이 : Impressed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