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식품을 들라면 제일 먼저 손꼽게 되는 것이 김치이고 우리에게 있어
김치없는 상차림을 생각하기란쉬운 일이 아니다
예나 지금이나 우리의 생활과 정서 속에 너무도 익숙하게 자리잡고 있는 김치지만 그러면서도 김치는 어떻게 생겨났고 어떤 종류와 장점이 있는 지, 더욱이 최근 건강식품으로까지 각광을 받으며 국내외에서의 연구가 활발하기까지한 김치에 대해 우리는 올바르게 잘 알고 있지 못하는 것같다
이러한 궁급중을 풀어주는 곳이 서울 시내 한복판에 있다 서대문 네거리에 있는 농협중앙회의 구내별관에 위치한 김치 홍보관은 농협이 김치의 세계 식품화를 홍보하고 김치 종주죽으로서의 위상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만든 곳으로 김치의 유래에서부터 종류, 과학적인 효능 등 지방별 특미 김치 속에 이르기까지 김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갖추고 있다
그중 먼저 김치의 영양성분과 효능을 소개하고자 한다
1) 김치의 영양 성분은 식이섬유소로서 아미노산, 텝타이드 등의 단백질 구성분과 칼슘, 철, 인, 마그네슘 등 무기질을 비롯하여 비타민 B1,B2,C가 포함되어 있으며 카로신, 나이아신, 알리신, 켑사이신, 디아스타제 등을 함유하고 있다
2) 김치는 식이섬유소의 좋은 공급원으로서 심장병, 당뇨병, 장암, 변비, 동맥경화증 등에 예방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소화작용을 도와주기도 하며 잘익은 김치에는 항암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스트레스와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산성화된우리 몸의 체액을 정화시켜주기도 한다고 한다.
그러면 김치의 역사는 얼마나 됐을까?
우리나라에서느니 김치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없으나 3000년 전부터 중국에서 '저(疽)'라는 이름으로 타타났으며, 이것이 삼국시대에 전래돼 통일신라,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재료와 한국인의 기호에 맞도록 그 종류와 제조방법이 변천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에 먹는 통배추와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한 깈치는 조선시대 중엽 이후에 배추와 고추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널리 보급보급됐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김치는 계절이나 지방에 따라 그때그때 얻을 수 있는 갖가지 채소들이 재료로 사용됐기에 그 종류는 너무도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팔도의 별미 김치로는 평안도- 백김치, 함경도-가자미 식혜와 콩나물김치, 황해도-호박김치, 서울경기- 배추통김치, 강원도-해물김치, 전라도-고들빼기 김치, 충청도-굴깍두기, 경상도-쑥갓김치와 씀바귀 김치, 제주도-톳김치, 갓물깈치 등이 있다
김치는 이제 한국사람만의 식탁에 오는 반찬이 아니다 '86 아시안 게임과 '88 올림픽을 계기고 세계인이 즐겨 찾는 국제적인 식품으로서 세계화의 바람을 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김치가 명실상부하게 우리의 전통식품으로 알려지고, 일분의 '기무치'가 아닌 한국의 '김치'로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인기식품으로 자리잡으려면, 위생처리, 용기개발, 가공식품의 개발 등 상품화와 관련한 각종 연구와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우리의 생활과 정서 속에 너무도 익숙하게 자리잡고 있는 김치지만 그러면서도 김치는 어떻게 생겨났고 어떤 종류와 장점이 있는 지, 더욱이 최근 건강식품으로까지 각광을 받으며 국내외에서의 연구가 활발하기까지한 김치에 대해 우리는 올바르게 잘 알고 있지 못하는 것같다
이러한 궁급중을 풀어주는 곳이 서울 시내 한복판에 있다 서대문 네거리에 있는 농협중앙회의 구내별관에 위치한 김치 홍보관은 농협이 김치의 세계 식품화를 홍보하고 김치 종주죽으로서의 위상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만든 곳으로 김치의 유래에서부터 종류, 과학적인 효능 등 지방별 특미 김치 속에 이르기까지 김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갖추고 있다
그중 먼저 김치의 영양성분과 효능을 소개하고자 한다
1) 김치의 영양 성분은 식이섬유소로서 아미노산, 텝타이드 등의 단백질 구성분과 칼슘, 철, 인, 마그네슘 등 무기질을 비롯하여 비타민 B1,B2,C가 포함되어 있으며 카로신, 나이아신, 알리신, 켑사이신, 디아스타제 등을 함유하고 있다
2) 김치는 식이섬유소의 좋은 공급원으로서 심장병, 당뇨병, 장암, 변비, 동맥경화증 등에 예방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소화작용을 도와주기도 하며 잘익은 김치에는 항암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스트레스와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산성화된우리 몸의 체액을 정화시켜주기도 한다고 한다.
그러면 김치의 역사는 얼마나 됐을까?
우리나라에서느니 김치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없으나 3000년 전부터 중국에서 '저(疽)'라는 이름으로 타타났으며, 이것이 삼국시대에 전래돼 통일신라,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재료와 한국인의 기호에 맞도록 그 종류와 제조방법이 변천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에 먹는 통배추와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한 깈치는 조선시대 중엽 이후에 배추와 고추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널리 보급보급됐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김치는 계절이나 지방에 따라 그때그때 얻을 수 있는 갖가지 채소들이 재료로 사용됐기에 그 종류는 너무도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팔도의 별미 김치로는 평안도- 백김치, 함경도-가자미 식혜와 콩나물김치, 황해도-호박김치, 서울경기- 배추통김치, 강원도-해물김치, 전라도-고들빼기 김치, 충청도-굴깍두기, 경상도-쑥갓김치와 씀바귀 김치, 제주도-톳김치, 갓물깈치 등이 있다
김치는 이제 한국사람만의 식탁에 오는 반찬이 아니다 '86 아시안 게임과 '88 올림픽을 계기고 세계인이 즐겨 찾는 국제적인 식품으로서 세계화의 바람을 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김치가 명실상부하게 우리의 전통식품으로 알려지고, 일분의 '기무치'가 아닌 한국의 '김치'로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인기식품으로 자리잡으려면, 위생처리, 용기개발, 가공식품의 개발 등 상품화와 관련한 각종 연구와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가져온 곳: [나노식품/나노푸드 (Nanofood)]  글쓴이: Truescience 바로 가기
'科學. 硏究分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약-BT "상생의 시대" 이제 마침표? (0) | 2005.08.31 |
---|---|
[스크랩] 국회보 6월호 (0) | 2005.08.31 |
[스크랩] 김동명교수 홈페이지 (0) | 2005.08.31 |
[스크랩] 21세기 과학기술의 전망 (0) | 2005.08.31 |
[스크랩] 분자 생물학에서 영감을 받은 나노테크놀러지 (0) | 2005.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