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수하는 추경호 부총리·IMF 수석부총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타 고피나스 IMF(국제통화기금) 수석부총재와 면담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2023.1.31
국제통화기금(IMF)이 31일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2%에서 1.7%로 0.3%포인트 낮췄다. 지난해 7월 ―0.8%포인트, 10월 ―0.1%포인트에 이어 벌써 3번째 연속 하향 조정이다. 그나마 국내외 주요 경제기관들보다 높은 2%대를 유지해왔던 IMF 전망치마저 결국 1%대로 주저앉았다.
한국에 대한 이번 하향 조정은 IMF가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높인 가운데 이뤄졌다는 점에서 심각성의 강도가 다르다. 글로벌 경기침체를 경고해온 IMF는 이번에는 세계 경제성장률을 2.9%로 석 달 전보다 0.2%포인트 상향했다. 예상보다 견고한 내수와 에너지난 완화 등을 이유로 미국과 유로존, 일본 등 대다수 선진국의 전망치는 반등했다. 중국은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 후 경제 활성화 기대감으로 전망치가 5.2%(+0.8%포인트)까지 올랐다. 이런 반등 흐름과는 정반대로 한국의 전망치만 또다시 미끄러진 것이다.
한국 경제의 추락은 그 버팀목인 반도체 시장의 혹한, 주력 업종의 수출 부진, 고금리와 고물가 속 내수 급감 등 대내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그렇다고 해도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 등 역내 주요국들의 호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유독 한국만 거꾸로 간 것은 우려스러운 징후다. IMF 전망치가 하락할 때마다 울려댄 경고음에도 구조적 문제를 들여다보기보다 일시적인 외부 변수 탓으로 돌리며 안일하게 대응한 결과는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더 큰 문제는 한국 경제가 쉽사리 반등 계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7%나 감소했다. 이를 비롯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 10곳 중 7곳이 ‘어닝쇼크’ 수준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올해 수출은 작년보다 4.5% 줄어들 것이란 게 정부 전망이다. 내수까지 동반 침체가 지속되면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2년 반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상태다. 이대로라면 한국은 0%대 저성장의 늪에 빠져들 위험이 있다.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 산업 전반의 성장 엔진을 다시 점화해야 침체의 출구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조개혁을 통한 경제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설비 투자, 수출시장 다변화 등 시도가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경제 주력 엔진인 제조업이 인력난에 허덕이지 않도록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도 하루빨리 해소해야 한다. 하반기부터 경기가 풀릴 것이라는 섣부른 낙관론에 기대고 있기에는 우리 경제가 받아든 숙제가 너무 많다.
한국에 대한 이번 하향 조정은 IMF가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높인 가운데 이뤄졌다는 점에서 심각성의 강도가 다르다. 글로벌 경기침체를 경고해온 IMF는 이번에는 세계 경제성장률을 2.9%로 석 달 전보다 0.2%포인트 상향했다. 예상보다 견고한 내수와 에너지난 완화 등을 이유로 미국과 유로존, 일본 등 대다수 선진국의 전망치는 반등했다. 중국은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 후 경제 활성화 기대감으로 전망치가 5.2%(+0.8%포인트)까지 올랐다. 이런 반등 흐름과는 정반대로 한국의 전망치만 또다시 미끄러진 것이다.
한국 경제의 추락은 그 버팀목인 반도체 시장의 혹한, 주력 업종의 수출 부진, 고금리와 고물가 속 내수 급감 등 대내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그렇다고 해도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 등 역내 주요국들의 호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유독 한국만 거꾸로 간 것은 우려스러운 징후다. IMF 전망치가 하락할 때마다 울려댄 경고음에도 구조적 문제를 들여다보기보다 일시적인 외부 변수 탓으로 돌리며 안일하게 대응한 결과는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더 큰 문제는 한국 경제가 쉽사리 반등 계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7%나 감소했다. 이를 비롯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 10곳 중 7곳이 ‘어닝쇼크’ 수준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올해 수출은 작년보다 4.5% 줄어들 것이란 게 정부 전망이다. 내수까지 동반 침체가 지속되면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2년 반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상태다. 이대로라면 한국은 0%대 저성장의 늪에 빠져들 위험이 있다.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 산업 전반의 성장 엔진을 다시 점화해야 침체의 출구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조개혁을 통한 경제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설비 투자, 수출시장 다변화 등 시도가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경제 주력 엔진인 제조업이 인력난에 허덕이지 않도록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도 하루빨리 해소해야 한다. 하반기부터 경기가 풀릴 것이라는 섣부른 낙관론에 기대고 있기에는 우리 경제가 받아든 숙제가 너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