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최초 국립현충원 장충단

鶴山 徐 仁 2013. 11. 8. 15:39

 

 

장충단터에 문화재밀매꾼의 비석을 세운 문화재청과 서울시 (10부)
서울 장충단공원에는 '장충단비'(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호)가 남아 있다. 광무 4년 ... / 역사복원신문
장충단이 대한민국 최초 국립현충원이라는 근거 (9부)
장충단은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현충원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불과 60여년이 지났 ... / 역사복원신문
고발! 서울시의 한심한 장충단 관리실태 (8부)
항일과 민족정기의 상징인 옛 장충단 부지에는 장충단을 파괴한 장본인인 이승만대 ... / 역사복원신문
제2의 박문사 신라호텔 건설에 참여한 일본자본 (7부)
신라호텔을 건설하면서 자금이 부족하자 이번에는 해외에서 자본을 끌어들이게 되 ... / 역사복원신문
삼성의 신라호텔은 제2의 (이등)박문사인가? (6부)
삼성은 그곳에 외국인 접대를 위한 위락시설인 신라호텔을 지으면서 공사를 일본기 ... / 역사복원신문
최초 국립현충원(=장충단)에 서있는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 동상 (5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인 삼성그룹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가지고 무엇이 진정으 ... / 역사복원신문
장충단 파괴범은 3共과 삼성의 정경유착 (4부)
일제의 만행 때문에 생겨났고 일제에 의해 철저히 유린된 원조 국립현충원인 장충 ... / 역사복원신문
국립현충원 장충단을 짓밟은 이등박문의 망령 (3부)
일제는 조선인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하여 경복궁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으면 ... / 역사복원신문
국립현충원 장충단을 놀이공원으로 바꾼 일제 (2부)
상해사변 때 결사대로 죽은 일본군 <육탄3용사>의 동상을 세웠으며, 조선 식민지화 ... / 역사복원신문
일제가 훼손한 장충단의 슬픈 사연 (1부)
이 나라가 해방 후 친일청산을 하지 못하여 그렇게 되어버린 것이다. 바로 장충단 ... / 편집부

'歷史. 文化參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日本人의 역사 왜곡 (1)  (0) 2013.11.15
朝鮮王陵의 10가지 秘密  (0) 2013.11.13
高句麗(고구리)  (0) 2013.11.08
오늘의 역사 (11월 1일)  (0) 2013.11.01
6·25   (0) 201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