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勞組 왕국' 현대차] [3·끝] "1980년대는 노조가 弱者, 그땐 시민들도 응원… 이젠 노조가 甲인데… 어떤 국민이 용인하겠나"
입력 : 2013.09.14 03:00 | 수정 : 2013.09.14 09:23
[현대車 노조 간부출신인 어느 선배의 고백]
"계파 경쟁 위해 무리하게 公約, 자신들 이익에만 집착한다면 국가 경제에 걸림돌 될 뿐…"
1987년 현대차 노조 출범에도 참여했던 노조 간부 출신의 50대 근로자 A씨는 "강경 노조에 몸담았던 우리조차 노사 관계가 언제까지 소모적이고 대립적인 관계로 가야 하는지 많이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대차 노조가 해마다 파업을 벌이는 이유에 대해 "노조가 집행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임단협에 임하고, 각 계파가 경쟁적으로 대결 수위를 높이다 보니 벌어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조원 사이에서도 '이건 너무한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노조 집행부는 '우리처럼 힘 있는 공장에서 이런 걸 요구해야만 대한민국 중소기업들이 혜택을 본다'는 논리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임단협에서 자녀가 대학에 불합격하더라도 회사가 1000만원을 지급하라는 요구안을 낼 때도 이런 논리를 댔다는 것이다.
현대차 노조는 비슷한 일을 하면서도 처우는 자신들보다 못한 사내하청 정규직화 문제에 대해선 입 다물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A씨는 "사내하청 노조는 전원 정규직화를 주장하고 있는데, 그런 주장이 이 문제를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할 수는 있을지는 몰라도 사내하청 노조원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며 "다만 회사가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근속 연수를 일부분이라도 산입해 주는 방법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2016년까지 3500명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하는 등 단계적으로 정규직화하겠다는 입장이다.
A씨는 회사 측의 사회적 책임도 강조했다. "노조가 무리한 요구안을 내세우면서 그것을 합리화하는 논리 중 하나가 재벌의 부도덕성, 부의 세습입니다. 노조는 '세습한 부를 나눠 갖는 게 뭐가 나쁘냐'고 주장해왔습니다."
A씨는 노동운동이 더 이상 자신들의 이익에만 집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우리가 기업에 사회적인 역할을 요구하는 만큼, 노동자도 지역사회에 봉사도 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합니다. 적어도 국가 경제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되지요."
['勞組 왕국' 현대차] [3·끝] 지난 23년간 405일 파업… "울산, 美디트로이트처럼 쇠락할까 우려"
입력 : 2013.09.14 03:00
- 전문가들 "노조 스스로 못 변해"
노조, 해외공장 보곤 "놀랍다"… 정작 울산서는 얘기도 못 꺼내
- 현대차, 勞使 공멸 피하려면
해외생산 늘어 사측 교섭력 커져… 무너진 근무기강도 바로 잡아야
현대차 노조는 1987년 설립 이후 올해까지 27년 중 23년을 연례행사처럼 파업을 벌였다. 총 파업 일수는 405일에 달한다. 파업을 안 한 해는 1994년과 온건파였던 이경훈 전 노조 지부장이 이끈 2009~2011년 등 4년뿐이었다.
이처럼 파업으로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면서 현대차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2004년 4900만원에서 지난해 9400만원으로 10년 새 2배 가까이 올랐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은 3228만원에서 360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이처럼 파업으로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면서 현대차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2004년 4900만원에서 지난해 9400만원으로 10년 새 2배 가까이 올랐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은 3228만원에서 360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
- 현대자동차 노조가 임·단협 부분 파업에 들어간 지난달 20일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근로자들이 2시간 일찍 퇴근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과정에서 10일간 부분 파업을 벌이고 두 차례 주말 특근을 거부해 노조의 요구 사항을 관철했다. /뉴시스
◇브레이크 고장 난 자동차처럼 내닫기만 하는 노조
올해 임단협 때 현대차 노조가 사측에 제시한 요구는 무려 180여개에 달했다. 각 계파가 경쟁적으로 '포퓰리즘(인기 영합주의)' 공약을 내놨기 때문이다. 김철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달 호소문에서 "(국내) 소득 상위 5%, 세계 자동차업계 최고 수준의 임금을 받는 현대차 노조원들이 올해 교섭에서 2000년대 들어 가장 많은 요구를 한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했을 정도다.
조합원 4만6000명의 현대차 노조는 힘 있는 7개 계파로 쪼개져 있다. 강경 성향 3곳, 중도 3곳, 온건 1곳이다. 이들은 임단협 때마다 노조원들을 대상으로 선명성 경쟁을 벌인다. 그 바람에 협상이 극단으로 치닫는 경우가 많다. 온건파가 1차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해도 결선투표에선 강경파들이 연합해 판을 뒤집는 경우도 있다.
◇"기형 노조 키운 회사 책임도 커"
이런 기형적인 노조는 결국 회사가 키웠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노사·사회정책연구본부장은 "현대차는 2000년대 초 단체교섭에서 노조에 크게 밀렸다"며 "이후 노조가 이를 이용하고 경영진도 노조 비위를 맞춰주면서 적당히 넘어가려고만 해왔다"는 것이다.
최영기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대차 경영진의 잦은 노무 라인 교체도 문제를 악화시키는 데 한몫을 했다고 말했다. 경영진이 조금만 문제가 생겨도 노무 라인을 교체해 노조로 하여금 자기들이 흔들면 마음대로 사람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는 것이다. 최 연구위원은 "파업이 사라진 현대중공업은 20년 넘게 인사·노무 라인에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근로자들을 교육했고, 노조가 서서히 변했다"고 말했다.
◇단번에 해결할 방법은 없지만…
현대차 노사가 변하지 않으면 울산이 미국의 쇠락한 자동차 도시 디트로이트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이미 정치화된 현대차 노조가 스스로 변화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노조 간부들을 생산성 높은 해외 공장으로 데려가 견학시키면 그 자리에선 '놀랍다'고 얘기하면서 막상 귀국해서 노조원들 앞에 서면 '경쟁 업체를 이기기 위해 양보하자'는 얘기를 꺼내지 못하고 투쟁 일변도로 나간다는 것이다.
최영기 연구위원은 "그동안 회사가 환율 효과 등으로 노조의 무리한 요구를 들어줄 수 있었는데, 앞으로는 환율 효과도 없고 결국 노사 관계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대차 노조 문제는 20년 넘게 누적된 것이어서 한 방에 해결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현재 국내 본사와 3개 공장에 6만여명을, 해외 7개 공장에 2만4000여명을 고용하고 있다. 앞으로 중국과 미국에 추가로 공장을 짓는 것을 검토 중이다. 그만큼 해외 일자리가 더 늘어나는 것이다.
유지수 한국자동차산업학회 명예회장은 "현대차 근로자의 임금이 지나치게 높고 생산성이 낮은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회사의 경영 전략을 집행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근무 기강이 무너진 점"이라고 했다. 그는 "힘의 균형에서 해법을 찾아야 하는데, 올해 처음으로 해외 공장 생산량이 국내 공장 생산량을 넘어서 회사 교섭력이 크게 강화됐다"면서 "지금이 노사 관계를 재정립할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기형 노조 키운 회사 책임도 커"
이런 기형적인 노조는 결국 회사가 키웠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노사·사회정책연구본부장은 "현대차는 2000년대 초 단체교섭에서 노조에 크게 밀렸다"며 "이후 노조가 이를 이용하고 경영진도 노조 비위를 맞춰주면서 적당히 넘어가려고만 해왔다"는 것이다.
최영기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대차 경영진의 잦은 노무 라인 교체도 문제를 악화시키는 데 한몫을 했다고 말했다. 경영진이 조금만 문제가 생겨도 노무 라인을 교체해 노조로 하여금 자기들이 흔들면 마음대로 사람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는 것이다. 최 연구위원은 "파업이 사라진 현대중공업은 20년 넘게 인사·노무 라인에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근로자들을 교육했고, 노조가 서서히 변했다"고 말했다.
◇단번에 해결할 방법은 없지만…
현대차 노사가 변하지 않으면 울산이 미국의 쇠락한 자동차 도시 디트로이트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이미 정치화된 현대차 노조가 스스로 변화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노조 간부들을 생산성 높은 해외 공장으로 데려가 견학시키면 그 자리에선 '놀랍다'고 얘기하면서 막상 귀국해서 노조원들 앞에 서면 '경쟁 업체를 이기기 위해 양보하자'는 얘기를 꺼내지 못하고 투쟁 일변도로 나간다는 것이다.
최영기 연구위원은 "그동안 회사가 환율 효과 등으로 노조의 무리한 요구를 들어줄 수 있었는데, 앞으로는 환율 효과도 없고 결국 노사 관계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대차 노조 문제는 20년 넘게 누적된 것이어서 한 방에 해결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현재 국내 본사와 3개 공장에 6만여명을, 해외 7개 공장에 2만4000여명을 고용하고 있다. 앞으로 중국과 미국에 추가로 공장을 짓는 것을 검토 중이다. 그만큼 해외 일자리가 더 늘어나는 것이다.
유지수 한국자동차산업학회 명예회장은 "현대차 근로자의 임금이 지나치게 높고 생산성이 낮은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회사의 경영 전략을 집행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근무 기강이 무너진 점"이라고 했다. 그는 "힘의 균형에서 해법을 찾아야 하는데, 올해 처음으로 해외 공장 생산량이 국내 공장 생산량을 넘어서 회사 교섭력이 크게 강화됐다"면서 "지금이 노사 관계를 재정립할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勞組 왕국' 현대차] [3·끝] "현대車, 인건비 높아 가격은 오르고 경쟁력 하락"
입력 : 2013.09.14 03:00
美미시간주립대 무어 교수
-
- 미시간주립대 노동대학원 제공
무어 교수는 1969년부터 디트로이트 시(市)의 흥망성쇠를 노·사 협력체계 관점에서 연구한 노동문제 전문가다. 1950년대 미국산 자동차가 세계 시장을 석권하면서 디트로이트는 미국 최대의 공업도시로 성장했지만, 미국산 자동차의 쇠퇴와 함께 추락했다. 디트로이트 시는 지난 7월 185억달러(약 20조원)의 부채를 떠안고 파산 신청을 했다.
무어 교수는 본지 이메일 인터뷰에서 "미국 자동차 산업이 세계시장을 독점하자 미국자동차노조(UAW)는 회사가 항상 부유할 것으로 착각하고 회사로부터 더 많은 급여, 더 많은 혜택만 요구하다가 동반 몰락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자동차 산업은 1950년대 역사상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다.
무어 교수는 "이 때문에 당시 UAW는 '앞으로 30년간 자연재해만 없다면 회사에 협조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정도로 미래를 낙관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일본, 독일 등이 자동차 산업에 뛰어들고 공장에 대한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미국산 자동차의 경쟁력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당시 UAW의 노조위원장들은 신흥 산업국의 도전, '탄소 배출권'과 같은 환경 규제가 생기는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노조 안에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애써 모른 척했지요. 20세기 후반 회사가 위기를 맞을 때도 이들은 급여를 올려달라며 파업을 벌여 회사에 결정타를 날렸지요."
무어 교수는 당시의 UAW와 지금의 현대차 노조가 상당 부분 닮았다고 했다. "현대차는 지난 10년간 호황을 누렸지만 높은 인건비와 잦은 파업 등으로 가격이 오르면서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지기 시작했다"며 "현대차 노조가 이 사실을 무시했다가는 (UAW와) 똑같은 일이 반복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미국 소비자들은 현대차 가격이 오르면 대체할 자동차를 사면 그만이지만, 현대차 노조는 회사가 망하면 일자리도 사라진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勞組 왕국' 현대차] [3·끝] "1980년대는 노조가 弱者, 그땐 시민들도 응원… 이젠 노조가 甲인데… 어떤 국민이 용인하겠나"
입력 : 2013.09.14 03:00 | 수정 : 2013.09.14 09:23
[현대車 노조 간부출신인 어느 선배의 고백]
"계파 경쟁 위해 무리하게 公約, 자신들 이익에만 집착한다면 국가 경제에 걸림돌 될 뿐…"
1987년 현대차 노조 출범에도 참여했던 노조 간부 출신의 50대 근로자 A씨는 "강경 노조에 몸담았던 우리조차 노사 관계가 언제까지 소모적이고 대립적인 관계로 가야 하는지 많이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대차 노조가 해마다 파업을 벌이는 이유에 대해 "노조가 집행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임단협에 임하고, 각 계파가 경쟁적으로 대결 수위를 높이다 보니 벌어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조원 사이에서도 '이건 너무한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노조 집행부는 '우리처럼 힘 있는 공장에서 이런 걸 요구해야만 대한민국 중소기업들이 혜택을 본다'는 논리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임단협에서 자녀가 대학에 불합격하더라도 회사가 1000만원을 지급하라는 요구안을 낼 때도 이런 논리를 댔다는 것이다.
현대차 노조는 비슷한 일을 하면서도 처우는 자신들보다 못한 사내하청 정규직화 문제에 대해선 입 다물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A씨는 "사내하청 노조는 전원 정규직화를 주장하고 있는데, 그런 주장이 이 문제를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할 수는 있을지는 몰라도 사내하청 노조원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며 "다만 회사가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근속 연수를 일부분이라도 산입해 주는 방법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2016년까지 3500명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하는 등 단계적으로 정규직화하겠다는 입장이다.
A씨는 회사 측의 사회적 책임도 강조했다. "노조가 무리한 요구안을 내세우면서 그것을 합리화하는 논리 중 하나가 재벌의 부도덕성, 부의 세습입니다. 노조는 '세습한 부를 나눠 갖는 게 뭐가 나쁘냐'고 주장해왔습니다."
A씨는 노동운동이 더 이상 자신들의 이익에만 집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우리가 기업에 사회적인 역할을 요구하는 만큼, 노동자도 지역사회에 봉사도 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합니다. 적어도 국가 경제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되지요."
鶴山 ;
대한민국 국민이 이들의 버릇을 고쳐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향후 1년 간이라도 국내 현대차를 구매하지 않는다면 문제는 풀릴 것이다.
우리국민이 계속해서 일말의 양심도 없는 현대차노조의 봉으로 발목을 잡힐 수는 없다.
'政治.社會 關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보육 대란 속 공무원 ‘눈먼 돈’ 챙기기 / 서울신문 (0) | 2013.09.15 |
---|---|
국민의 武器/ 조갑제닷컴 (0) | 2013.09.15 |
채동욱 검찰총장, 전격 사의표명의 배경은?/ 서울신문 (0) | 2013.09.13 |
[사설] 소비자가 울산 공장 보고서도 國內産 현대차 사겠는가/ 조선일보 (0) | 2013.09.13 |
'490명 수퍼甲' 현대車 대의원… "일 안해도 수당, 공장인력배치 맘대로"/ 조선일보 (0) | 201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