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은 대선과 후계 구도를 염두에 둔 이명박 대통령의 심모원려 내지 정치적 속내를 읽는 일이다. 김태호 총리 지명이 당사자보다 더 큰 관심과 주목을 끄는 것은 바로 이 점 때문이다. 이 대통령의 정치공학과 복합방정식이 알 듯 모를 듯 궁금하고 흥미롭다. 다만 이 대통령의 김 총리 지명의 정치적 포석과 회심의 미소는 김 내정자가 종래의 총리처럼 단순히 의전 총리에 머물지 않고 앞으로 전개될 정치 상황 속에서 독립변수로 그 기능과 역할을 다할 때 의미를 지니지만, 자생력과 파괴력 없이 대통령의 종속변수에 지나지 않을 때 40대 총리론은 실패한 실험이 될 수도 있다.
가장 흥미로운 것은 유력한 차기 대선 후보군, 소위 잠룡들 간 경쟁구도의 변화와 격화이다. 40대 총리가 부각되면서 이미 어떤 쪽은 고사의 밀명을 띤 인물로, 어떤 이는 밤새 자고 나니 느닷없이 돌출한 마땅찮은 인물로, 또 어떤 이는 화살통의 또 하나의 화살로, 어떤 이는 더도 덜도 아닌 같은 경쟁자로 비유하면서 노골적인 시비와 견제 그리고 응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마디로 시샘과 당황으로 모두가 뜨악한 심정일 것이다. 바야흐로 한 마리 승천할 용이 되기 위한 이무기들 간에 물 밑 싸움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 점은 크게 염려할 바가 아니다. 대선 후보군이 넓어지고 미리부터 검증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상호 간의 경쟁과 절차탁마를 통해 미래 국가 지도자의 경쟁력 강화에 큰 보탬이 되기 때문이다. 경쟁이 가장 강한 경쟁력이 된다.
마지막으로 40대 총리의 등장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차별화된 시각이다. 우선 총리 지명자와 같은 연령대인 40대나 그 이하에서는 신선한 충격과 호기심으로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그들은 새삼스러워지는 자신들의 무게감에 왠지 어깨가 으쓱해지며 이 시대의 새로운 주역으로 등장하는 심정일 것이고, 반면 총리보다 윗세대에서는 김 전 지사의 등장 무대가 장관이 아닌 총리라는 점에 일견 놀라고 대견해하면서도 까닭 모르게 밀려나는 듯한 씁쓸한 은퇴감으로 선뜻 수긍과 동의가 가지 않는 엉거주춤한 마음일 것이다.
건국 초기도, 군사정권도 아닌 이 시대에 40대의 김 총리 지명자가 새별(新星)에는 틀림없으나 소위 새벽 하늘에 빛나는 샛별(晨星)이 될지 혹은 갑자기 나타나 두각을 드러내는 혜성(彗星)이 될 것인지 아니면 종래의 총리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사라져 가는 또 하나의 유성(流星)이 될 것인지를 애정 어린 기대와 함께 호기심을 가지고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