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軍事 資料 綜合

로켓엔진에 비춰진 냉전시대 [ 끝 ]

鶴山 徐 仁 2008. 12. 8. 21:46

august 의 軍史世界

 

로켓엔진에 비춰진 냉전시대 [ 끝 ]

 

 

 

치열했던 시절의 자화상

 

미국은 소련의 R-7 이 핵탄두를 미국까지 날려 보낼 수도 있는 강력한 로켓임을 깨달았지만 무기로써 R-7 은 ICBM 이 되기에 미흡한 물건이라는 점까지는 알지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설령 알았어도 문제는 미국이 아직 그에 상응하는 로켓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었습니다.  그것은 마치 소련이 핵폭탄을 개발하기 전까지 소련이 미국에게 느꼈던 두려움과 같았습니다.

 

8-1.jpg

[ 우주개발 초창기 미소의 발사체 능력을 엿볼 수 있는 실측 모형
R-7 과 비교된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발사체 주피터-C 의 모습이 애처롭습니다 ]

 

여담으로 본격적인 ICBM 으로써 실전배치가 이뤄진 소련의 장거리 지대지미사일은 NATO 코드로 SS-7 Saddler 로 명명된 R-16 입니다.  R-16 은 무기로써의 단점을 보였던 R-7 의 성능을 개선하여 연료주입시간 단축과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간단한 발사대를 이용하여 5 MT 의 핵탄두를 11,000 km 까지 날려 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졌는데 1960년대 중반부터 배치가 이뤄졌습니다.

 

8-2_SS-7[1].jpg

[ 본격적인 ICBM 으로 제식화 된 R-16 ( SS-7 Saddler ) ]

 

최초의 ICBM 으로 등극한 R-7 은 NATO 코드로 SS-6 Sapwood 로 불리게 되었으나 전략무기로써의 실전배치는 이뤄지지 못하였고 스푸트니크 시리즈를 비롯한 소련의 인공위성 발사체로써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가장안정적인 우주선 발사체로 평가받는 소유즈 Soyuz 우주선11A511 로켓이나 무인우주선용 프로톤 Proton 로켓도 R-7 에서 발전한 형태입니다.

 

8-3[1].jpg

[ R-7 은 지난 50 여 년 간 개량을 거듭하여 현재도 사용 중입니다 ]

 

이 이야기는 다시 말해 코롤레프가 여러 개의 엔진을 하나로 모아 추력을 높인 로켓의 형태는 현재도 러시아에서 사용하고 있을 만큼 과학적으로 훌륭한 선택이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는데 그 이유는 추력을 늘이기 위해 엔진을 묶는데 결국 한계가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즉, 늘어난 엔진만큼 무한정 로켓의 크기를 크게 만들 수는 없었습니다.

 

8-4_Proton.jpg

[ 다수의 엔진을 장착한 프로톤로켓 ]

 

이에 비해 초기의 굴욕을 감내하며 절치부심하던 미국은 대 추력의 엔진을 개발하여 로켓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일관 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머큐리 Mercury 계획제미니 Gemini 계획 때 이용한 아틀라스 Atlas 로켓타이탄 Titan-II 로켓은 비록 소련의 R-7 시리즈와 비교하면 로켓 전체로써의 추력이 뒤졌을 뿐이지 하나의 엔진만 놓고 본다면 소련엔진보다 오히려 성능이 좋았습니다.

 

8-5[1].jpg

[ 초창기 미국 유인우주선 발사체로 사용된 아틀라스로켓 ]

 

결국 돌쇠 고집으로 연구를 매진하던 미국은 여러 개의 엔진을 다발로 묶은 소련의 편법 (?) 과 달리 엄청난 추력을 내고 또한 그 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대 추력의 엔진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는데, 그것은 지금도 최대의 로켓엔진으로 평가받는 F-1 입니다.  F-1 엔진의 개발주역은 코롤레프처럼 인공위성 발사체로 일평생 로켓을 연구하던 냉전시대 Space Race 시대의 라이벌 폰 브라운이었습니다.

 

8-6_F-1.jpg

[ 성능 시험 중인 강력한 F-1 엔진의 모습 ]

 

F-1 엔진을 장착한 새턴 Saturn-V 로켓은 현재시점까지 지구상에 등장하였던 가장 강력한 로켓이었고 당연히 가장 무거운 화물을 지구궤도에 올릴 수 있는 힘을 가졌습니다.  결국 인간을 달로 보내기 위한 경쟁에서 미국이 승리하여 우주개발의 주도권을 반전시킨 결정적인 계기는 공간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강력한 F-1 엔진을 만들어낸 미국 기술력의 뚝심 때문이었습니다.

 

8-7-1.jpg8-7-2.jpg

[ 냉전시기 두 나라의 기술개발 방향을 알 수 있는 R-7 (左) 와 새턴5호의 모습 ]

 

토인비 ( Arnold J. Toynbee 1889~1975 ) 가 주장하였던 것처럼 인류사는 그래서 '도전과 응전' 인가 봅니다.  지금이야 우주개발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장거리 로켓과 우주개발의 무한 경쟁에서 상대보다 더 강력한 로켓을 개발하기 위한 그 기술적인 방법을 놓고 서로 도전과 응전을 주고받았던 미국과 소련의 지나간 역사를 보면 마치 냉전시대의 치열하였던 대립을 함축적으로 보는 것 같아 흥미롭습니다. [ august 의 軍史世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