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의 軍史世界
왜곡된 전설 [ 3 ]
일본해군의 득세
함재기는 태생적으로 지상기지 운용 항공기와 달리 많은 제약을 가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순간적인 이함이 가능한 강력한 엔진, 충돌 같은 착함시의 충격을 흡수할 튼튼한 강착장치, 공간을 최대한 적게 차지하는 작거나 접는 구조, 되도록 적은 중량이면서도 바닷물이나 해풍에 부식이 되지 않는 기체 재질 등이 필요합니다.
[ 주익이 접힌 모습은 함재기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
이와 같은 이율배반적인 조건을 전제하고 제작되는 것이 함재기들이며 이런 제약 사항 때문에 역설적으로 전투와 관련한 비행능력이나 무장탑재 등이 어쩔 수 없이 축소 될 수밖에 없었고 당연히 함재기의 성능이 육상 이착륙 작전기에 비해 성능이 떨어졌습니다. 사실 이와 같은 고민은 현재도 마찬가지이기는 합니다. ( 관련글 참조 )
[ 함재기는 보편적으로 지상 운용 작전기에 비해 성능이 떨어집니다 ]
비록 1950년대 후반 혜성처럼 등장한 F4H Phantom II 의 등장으로 함재기도 육상기지 운용 전투기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보일 수 있음이 입증되었지만, 그것은 예외로 하고 마지막 프로펠러 전투기로 평가되는 F4U Corsair 가 막상 항모에 탑재되기에는 엄청난 시행착오와 고난이 따랐다는 점과 현재 JSF 개발도 생각만큼 쉽게 이뤄지지 않는 사실을 볼 때 항모탑재용 전투기의 개발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 F-4 는 한마디로 함재기 역사의 이단아이자 선구자가 되었습니다 ]
이런 점은 항모를 해상발진 공격용 플랫폼으로 최초 구상한 1930년대 일본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당시 항모탑재기는 크게 방공용 전투기, 공격용 폭격기, 대함용 뇌격기 등으로 크게 구분 되었는데 일본이 자체 제작하여 보유하였던 기존 함재기들의 성능이 당연히 육상발진용 전투기뿐만 아니라 경쟁국 함재기들과 비교 하였을 때도 오늘날 흔히 말하고는 하는 World's Best 까지는 아니었습니다.
[ 과도기적 모습을 지닌 1930년대 초 일본의 함재기였던 A1N ]
이런 이유는 앞에서도 설명한 당시 일본의 기술력, 함재기로써의 선천적 제한능력 등등을 들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에게 하나의 강점이 있었는데 그것은 그 어느 나라보다 실전 경험이 풍부하였다는 것입니다. 제1차 대전 종전 후 세계는 약간의 평화 시기를 누려 왔는데 일본은 Inter War 라고 불리는 이 기간 동안도 쉼 없는 도발과 침략을 자행하여 왔고 당연히 축적된 경험과 자료가 풍부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일본은 쉼 없는 도발을 계속하여 실전경험이 높았습니다 ( 중일전쟁 당시 일본군 경전차 ) ]
물론 일본의 침략을 받은 나라가 약소국이거나 중국처럼 늙은 호랑이여서 일방적인 일본의 승리가 있었기도 하였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니었습니다. 내몽골 깊숙한 곳에서 소련과 국지적인 대규모 충돌을 벌였던 일본육군은 예상 외의 코피가 터졌는데 한마디로 말하자면 새로운 형태의 전술부재와 더불어 기술력이 미흡한 구조적인 장비의 열세 때문이었습니다.
[ 자신만만하던 일본도 강력한 적을 이기기는 힘들었습니다 ]
반면 중국연안을 따라 침공하는 지상군의 후원전력이 되었던 해군의 경우는 압도적인 전력과 기동력으로 중국의 해상을 봉쇄하고 항공모함을 이용한 지상공격 작전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비록 중국공군이 허접대기의 대명사였지만 이러한 계속적인 승리를 이끌어 온 일본해군은 서서히 자만감에 가득 차게 되었습니다.
[ 중국으로 출동하기 직전인 일본 해군의 상징 대형항모 아까기 ( 개장 전 초기 형태인 3단 갑판의 모습이 잘 보입니다 ) ]
결국 이런 이유 때문에 상대적으로 몸을 사린 육군보다 해군 강경파에 의해 북방이 아닌 남방진공으로 시작 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태평양전쟁의 발발과 관련한 많은 異論이 있지만 팽창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던 제국주의 일본의 결정에는 이순신장군에게 참패를 당한이후 400년간 무적으로 군림하던 해군력에 대한 자만심도 한 몫 하였습니다. ( 계속 ) [ august 의 軍史世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