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은 13일 “쓰촨성은 중국 지각판(板)의 내부에 위치해 비교적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는데 강진이 일어났다.”면서 “한국도 같은 지각판의 내륙지역이어서 안심할 수 없다.”고 밝혔다. 주변국에 지진이 일어나면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곤 했지만 쓰촨성 지진은 한반도 지진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어 주목된다.
|
판 구조론에 따르면 지구는 12개의 대륙판(지각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하나의 판이 다른 판과의 마찰력을 잃고 움직이면 그 경계에서 지진이 일어난다. 하지만 이번 쓰촨성 지진은 이와는 다른 게 판 경계에서 일어난 힘이 판의 내륙으로 전달돼 지진을 일으킨 이례적인 사례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서울대 지진학연구실 이준기 교수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면서 에너지가 발생해 한국에 지진이 일어난다.”면서 “한반도가 강진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 점차 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이희일 박사는 이란 남동부 케르만주의 유적도시 밤(Bam)에서 03년 12월에 일어난 지진을 실례로 들었다. 밤은 2000여년 동안 강진이 한 번도 없었지만 규모 6.6의 갑작스러운 강진으로 3만 1000여명이 사망했다. 이 지역은 한국처럼 판의 내륙에 위치해 있다.
이 박사는 “한국의 경우 아직 데이터가 30년밖에 없어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신라 혜공왕 때 지진으로 100여명이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는 등 여진이 계속 일어나는 곳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기상청이 지진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78∼87년까지 163건이던 한반도의 지진 발생 건수는 88∼97년에는 208건,98∼2007년에는 399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유감(체감) 지진’은 51건(78∼87년)에서 91건(98∼2007년)으로 늘었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진을 잡아내는 장비의 발달로 지진발생 횟수가 늘어난 측면도 있지만 유감지진이 늘어난 것을 볼 때 지진발생 횟수가 늘어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평균 6.0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가 의무화돼 있지만 이 기준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이경주 황비웅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