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단독]“서울대 로스쿨 해외연수 가산점”

鶴山 徐 仁 2008. 4. 16. 20:40

 

호문혁 법대 학장 밝혀

서울대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입시 과정에서 해외 연수 경력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호문혁 법대 학장은 16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서울대 로스쿨의 특화 분야 가운데 하나가 ‘국제법무’인 만큼 외국에서 학습한 경력이 있는 지원자에게 서류 평가에서 공식적인 가산점을 주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외국에서 교육과정을 수료하거나 교환학생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학점을 이수한 경우가 대상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가산점을 부여할지는 추후 논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 호문혁 서울대 법대 학장
호 학장은 “아직 구체적인 입시안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정확한 점수는 말하기 어렵다.”면서 “더욱이 입시 세부안이 결정되더라도 대학 선발과정의 내부 방침을 공개하는 것도 문제이기 때문에 확답은 어렵다.”고 밝혔다.

호 학장은 또 전형 과정에서 학부시절 전공을 얼마나 성실히 수행했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호 학장은 “학부시절 전공이 법학이든 비법학이든 전공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성실히 공부했는지를 전형 과정에서 측정할 예정”이라면서 “지금까지는 판단의 기준이 학부 시절 학점밖에는 없지만 다른 기준을 검토해 전형 과정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학부성적도 ‘석차백분율’과 ‘평량평균’ 가운데 어떤 것을 적용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울대는 1단계 전형 300점 가운데 100점을 학부성적으로 반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세간에 떠돌고 있는 ‘학부성적 반영에 대학별 등급제를 적용한다.’는 얘기에 대해서는 “대학 등급제를 적용하면 여론의 비판도 거세질뿐더러 어느 대학이 좋고 나쁜지 객관적인 기준도 모호해 불가능하다.”고 가능성을 일축했다.

호 학장은 심층면접에 대해서도 법학에 대한 기본지식을 묻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호 학장은 “심층면접은 지원자가 얼마나 법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는지 측정하는 것”이라면서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키워야 심층면접이 가능하므로 책을 많이 읽고, 신문을 꾸준히 정독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기사일자 : 2008-04-17    10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