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9년 닐 암스트롱이 아폴로 우주선을 타고 달에 착륙한 이래로 달 속에 토끼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는 어른도 대보름달을 보며 옥토끼를 이야기합니다. 왜 그럴까요?그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달 표면의 음영이 그림에서처럼 토끼가 방아를 찧는 모습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보름달에 비친 토끼의 모습을 손으로 가리키며 어디가 토끼의 귀이고 어디가 방아인지를 알려줍니다. 달그림자를 토끼 모양으로 이해한 아이는 그 이후로는 달을 볼 때마다 자동적으로 토끼를 보게 됩니다.
그렇다면 달 속에는 토끼 그림만 있을까요? 대보름날에는 전 세계 사람이 다 같이 달 속의 토끼를 볼까요?그렇지 않습니다. 달을 보는 방향과 위치에 따라 달 표면의 모습도 달라지기 때문에 그림자를 해석하는 내용도 달라집니다. 그래서 나라마다 달 속에 살고 있는 대상에 대한 각기 다른 이야기가 전해 내려 옵니다. 나라에 따라서는 달 속에는 두꺼비나 당나귀가 살고 있기도 하고 게가 가위손을 내밀고 있기도 합니다. 귀부인이나 아가씨처럼 사람의 모습을 달그림자에서 보기도 합니다.
나라마다 차이 나는 달과 관련된 전래이야기는 달 표면의 그림자가 어떻게 보이는가와 사람이 그 그림자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자신에게 보여지는 달과 그 달과 관련된 이야기만 듣고 자란 아이는, 다른 나라에서는 달 속에서 또 다른 대상을 볼 수도 있다는 것을 모릅니다. 그래서 토끼를 보는 아이와 당나귀를 보는 아이가 만나서 달 이야기를 하게 되면 서로 답답하다고 오해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현대는 지구가 하나의 촌락처럼 좁아졌다는 지구촌이라는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시대입니다. 특히 지식기반 사회가 도래하면서 전 세계를 하나로 아우르는 새로운 생각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살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습니다. 인류의 역사를 돌아보건대, 생각체계를 바꾸지 않으면 적응하기 어려운 시기가 몇 번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농업혁명의 시기였습니다. 음식을 찾아 유랑하던 삶의 방식이 한 곳에 정착해 농사를 짓게 되면서 획기적으로 변했습니다. 그러면서 수렵시대에는 거의 없었던 빈부격차가 나타났습니다. 농사짓는 사람이 수렵하는 사람에 비해 다섯 배 정도의 부를 소유하게 되고 그 소유에서 권력도 나오게 됩니다. 농업시대에 수렵시대의 생각체계를 가지고 있으면 살아나가기 어렵게 된 것입니다.
18세기 들어 산업혁명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면서 또 한 번의 커다란 변화가 발생합니다. 노동력과 기술을 바탕으로 대량생산과 대량유통을 할 수 있는 사회나 개인이 농경사회에 머물러 있는 사회나 개인에 비해 100배 정도의 부를 더 구축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현대는 세 번째 혁명이 진행되는 시기입니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그 지식을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중요한 시기입니다. 전문가들은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생각의 차이가 390배 정도의 빈부격차를 가져온다고 이야기합니다.
사람의 지식체계는 자신이 보고 들은 것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동일한 대상을 나와는 다르게 보고 들은 사람이 있다는 점을 아는 것은 생각 체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 나아가 다른 문화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확장된 생각체계는 지식기반사회에서 몇 백배의 효율성을 가져올 것입니다.
보름달을 보면서 옥토끼 이야기와 더불어 지구의 다른 곳에서는 다른 것을 볼 것이라는 점을 아이에게 알려 주십시오. 그러면 아이는 지구촌 시대에 적합한 삶을 사는 생각체계를 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