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김미라 교수의 부모들을 위한 교육특강] (37) 아이의 동조행동

鶴山 徐 仁 2008. 3. 25. 09:36

 

미숙한 집단 따라하기땐 규범 보여줘야

여러분이 엘리베이터를 탔습니다. 보통은 문 쪽을 향해 서있게 되지요. 문을 향해 서 있는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이 타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 사람들이 한결같이 문과 반대쪽을 바라보고 서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 닥치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꿋꿋하게 앞 쪽을 바라보고 서 있겠습니까. 다른 사람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유는 잘 모르지만 그 사람들을 따라서 뒤쪽을 바라보고 서있겠습니까. 아마 여러분은 내가 왜 우스꽝스럽게 뒤쪽을 바라보겠느냐고,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행동해도 나는 그렇게 하지 않을 자신이 있노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실험을 해보면 대부분의 사람은 처음에는 앞을 바라보며 서있지만 곧 이어 머뭇거리며 어색한 표정으로 뒤를 보면서 서있게 됩니다.

‘엘리베이터 행동’은 심리학자 펀트(Allen Funt)가 처음 실험한 몰래카메라의 한 장면입니다. 펀트는 사람이 흔히 어떤 사회적 행동을 할 때 무엇이 그런 행동을 하게 만드는지 밝히고자 이런 실험을 고안했습니다. 그리고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의견을 의외로 쉽게 따라한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심리학에서는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의견을 따라 하려는 경향성을 동조(confirmity)라고 합니다.

우리가 사는 사회를 돌아보면 뚜렷한 목적의식 없이 그냥 남을 따라 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다른 사람의 행동에 동조할 때에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습니다.

동조행동을 보이는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특정 상황에서 행동하는 방식을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과 서양식 레스토랑에서 격식 있는 식사를 해야만 할 때 식탁에 놓인 여러 개의 포크 중에서 어떤 포크를 언제 사용해야 될지 잘 모른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다른 사람은 어떻게 하는지 주위를 둘러보고 그대로 따라하는 것이 적합한 행동일 가능성이 높겠지요. 즉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올바른지 정보가 부족할 때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하는 것입니다. 정보의 부족 말고도 모델이 높은 신뢰도와 호감도를 지닌 사람일 때 동조 행동이 많이 일어납니다. 모델이 한 명일 때보다는 여러 명일 때 더 많은 동조행동을 보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요.

동조행동을 보이는 또 다른 이유는 자신이 속한 집단의 규범을 따르려는 경향성 때문입니다. 집단의 규범을 따르면 인정을 받고 호감을 얻을 수 있지만 집단의 규범을 따르지 않으면 집단 따돌림을 당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설사 대다수가 따르는 집단 규범이 옳지 않다하더라도 그 규범을 준수하지 않을 때에는 그 집단에 내몰림을 당할 가능성이 큽니다. 가뭄이 들어 집단 구성원이 다 같이 기우제를 지내는데 미신이라며 자신만 동참하지 않으면 비가 계속해서 오지 않았을 때 속죄양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동조행동을 강요하는 집단 압력이 거세어도 각 개인이 뚜렷한 주관이 있을 때는 마지못해 따라하는 행동이 줄어듭니다.

아이가 자라면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그 행동의 원인이 ‘친구 따라 강남 가는 행동’일 때가 있지요. 만일 동조 행동이 어떤 상황에서 잘 발생할지 알 수 있다면 바람직하지 않은 동조행동을 미리 예방할 수도 있고 바람직한 동조행동은 장려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또래끼리 모여서 엉뚱한 행동을 저질러 놓고 어쩔 수 없이 따돌림 당할까봐 그런 행동을 했다는 변명을 줄일 수 있겠지요. 나아가 또래집단끼리 함께 모여서 그 나이에 적절한 학습활동을 하도록 지도할 수도 있겠지요.

혼자서도 잘 크는 어린시기를 지나서 또래가 필요한 시기가 되었을 때 부모는 아이의 동조행동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또래 집단행동의 많은 부분은 동조행동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또래 동조행동의 특성은 아이들 서로가 상호작용하면서 ‘따라하기’를 한다는 점입니다.‘내 아이는 착한데 친구를 잘 못 만나서’ 이기도 하지만 그 아이 역시 내 아이를 친구로 잘못 만났을 수도 있습니다.

미숙한 또래집단 시기에 부모의 역할은 올곧은 규범을 위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더불어 아이가 또래 집단 속에서 보이는 동조행동의 원형은 부모가 사회적 소속 집단에서 보이는 동조행동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남들이 장에 간다고 거름지게 메고 장에 가는 사람은 장에는 거름지게를 메고 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정보를 제공받지 못했거나, 그 부모 역시 거름 지게를 메고 장에 갔을 가능성이 큽니다.

기사일자 : 2008-02-12    17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