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특파원 칼럼] 佛 대선과 지식인, 그리고 한국/이종수 파리특파원

鶴山 徐 仁 2007. 2. 24. 17:07

지식인의 정치판 ‘기웃거리기’는 대선 정국이라는 봄을 알리는 아지랑이인가?

한국과 프랑스 모두 올해 대선을 치른다. 일정에는 8개월 정도 시차가 있다. 그러나 정국의 열기는 양쪽 모두 동시 다발적이다. 한국의 진보·보수 진영 지식인은 각각 ‘미래구상’과 뉴라이트라는 이름으로 ‘대선 진지’를 구축하고 나섰다. 상당수 지식인들은 벌써 유력 주자의 캠프에 합류했거나 그 언저리를 얼쩡거리고 있다.

프랑스 지식인의 풍향계도 엇비슷하다. 좌파로 분류되던 지식인들의 우경화 현상이 늘어나는 것도 약간 닮았다. 주간 누벨옵세르바퇴르가 지난주 ‘지식인, 우경화하는가’라는 특집 기사를 낼 정도로 프랑스 지식인들은 앞다퉈 중도우파인 집권당 대중운동연합의 니콜라 사르코지 후보를 지지하고 나섰다.

최근 정치풍자 전문지 ‘카나르 앙세네’가 좌파 철학자로 분류되던 알랭 핀키엘크라우트를 겨냥,‘사르코지 주의자의 커밍 아웃’이라고 보도해 논란이 벌어진 것이 대표적인 예다. 핀키엘크라우트는 현실성이 희박하다며 강력 부인했다. 그러나 이틀 뒤 일간 리베라시옹과의 인터뷰에서 어조를 누그러뜨리며 묘한 여운을 남겼다.

68혁명 세대인 앙드레 글뤽스만은 아예 지난달 말 사르코지를 공개 지지하는 기고문을 일간 르몽드에 실었다. 그의 논거는 좌파가 중대한 사회 이슈들에 대해 입장을 정립하지 못해 우파에 의제를 선점당했다는 것.

비슷한 대열에서 1980년대 사회당 정권에서 장관을 지낸 역사학자 막스 갈로의 이름을 만날 수 있다. 이밖에 작가 파스칼 브루크너와 마르크 바이츠만, 사회학자 티에리 페쉬 등도 사르코지를 지지하고 나섰다. 이들의 공통점은 사회당 후보인 세골렌 루아얄이 몰고온 이른바 ‘루아얄 현상’에 대해 냉소적이거나 회의적이라는 것이다.

이쯤되면 ‘프랑스적인 것’ 가운데 하나인 지식인의 앙가주망(현실 참여)이란 표현이 무색하다. 철학자 볼테르-작가 에밀 졸라-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로 이어지는 ‘도도한 흐름’은 이제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형국이다.

이런 변화는 어느 정도는 예견된 것이다. 특히 진보 진영의 ‘마지막 기둥’이었던 부르디외의 사망 이후 좌파 지식인은 구심점을 잃고 뿔뿔이 흩어진 게 사실이다. 여기에 정치권이 실용이나 민생해결 등의 어젠다 경쟁에 몰두하면서 이데올로기 색채가 옅어진 것도 이들의 ‘우향우’ 걸음을 가볍게 해준 요인으로 풀이된다. 물론 여전히 좌파를 고수하는 지식인도 있다. 농민운동가로 ‘반 세계화’의 기수인 주제 보베의 브레인인 철학자 미셀 옹프레, 좌파 지식인인 루이 알튀세 진영에서 활동한 자크 랑시에르 등이다.

지식인 혹은 좌파 진영의 우경화 자체를 비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의 정치 참여가 어떤 원칙 혹은 일관성을 갖는가라는 점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이는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프랑스 좌파 지식인 대부분은 68혁명의 세례를 받은 이들이다. 기성 체제를 전복하는 데 실패한 이들은 차츰 시니컬한 눈으로 사회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민중문제 대신에 환경·여성 문제 등으로 눈을 돌렸다.

한국 사회로 눈을 돌려 보자.87년 시민항쟁을 겪은 뒤 진보 진영의 주요 담론도 민중 대신에 시민·녹색 등으로 바뀌었다. 정작 프롤레타리아 혹은 민중을 억압하는 구조는 엄존한다. 그런데 은근 슬쩍 주요 타깃을 바꿔버렸다.

이런 변신이 지식인의 현실 정치 참여 혹은 우경화와 맥이 닿는다고 말하는 것은 논리적 과장일까? 두 나라 지식인의 이 기막힌 ‘닮은꼴’은 잇단 궁금함을 낳는다.“68혁명 혹은 87항쟁 당시 그들이 보여준 ‘뜨거운 가슴’은 어디에 있는가? 지식인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종수 파리특파원 vielee@seoul.co.kr

기사일자 : 2007-02-24    22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