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원高·엔低 시대] 반도체등 45개 품목 가격경쟁력 약화

鶴山 徐 仁 2006. 10. 17. 22:35

원·엔 환율 하락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원·달러 환율 하락과 엔·달러 상승에 대한 이중고(二重苦)의 성격의 크기 때문이다.17일 외환시장에서 원·엔 환율은 100엔당 802원으로 3.30원 오르는 데 그쳐 원·엔 환율 하락세라는 큰 흐름은 계속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원·엔 환율은 원·달러 환율과 엔·달러 환율을 역산해 산출한다. 이를 재정환율이라고 하는데, 원화가 국제시장에서 통용되는 (기축)통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원·엔 환율은 우리나라와 일본이 비슷한 제품을 같은 가격으로 미국 등 제3국에 수출할 경우 환율에 따른 가격 차이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950원에서 940원으로 하락했다면 우리 제품이 제3국에서 팔릴때 1.06%가량 비싸진다. 반면 엔·달러 환율이 100엔당 115달러에서 117달러로 올랐다면 일본 제품은 1.7%가량 싸지는 효과가 생긴다.

이를 원·엔 환율로 교차 환산하면 가격대가 같은 제품의 경우 우리나라 물건이 일본 물건보다 2.76% 비싸게 팔린다는 얘기가 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3개국이 공통적으로 수출을 많이 하는 100대 품목 가운데 우리나라와 일본이 경합하는 품목은 지난해 기준으로 45개에 달해 절반에 이른다. 경합품목에는 컴퓨터 부품, 디지털 반도체,TV 부품, 승용차 등 우리나라 주력 수출 상품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국내 수출기업으로서는 당연히 수출 채산성이 떨어진다.

최근 들어 제3국에서 우리나라의 경쟁력 있는 제품들이 일본산 제품에 밀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수출 채산성 악화는 또 대일 무역수지 적자 폭 확대로 이어진다. 지난 2004년 240억달러로 늘어난 무역수지 적자가 올해는 25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올들어 1∼8월까지 무역수지 적자는 166억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원화 강세는 주식시장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환율 하락은 수출 채산성 악화와 자본유출 등을 촉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역연구소 신승관 박사는 “원·엔 환율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이 수출 상품가격까지 인하·조정한다면 우리나라의 수출업체 등이 받을 타격은 더 클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원화 강세는 일본 제품을 싸게 살 수 있고, 수출 위축에 따라 기업들이 국내시장으로 눈을 돌릴 경우 치열한 경쟁으로 소비자 가격이 낮아지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 일정 부분 소비자들에게는 유리한 점도 있다는 얘기다.

주병철기자 bcjoo@seoul.co.kr

기사일자 : 2006-10-18    6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