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이기심과 당리당략의 禍神들 국회의원, 이기심과 당리당략의 禍神들 대한민국 국회의원 종류= 등신 무뇌 의원, 최루탄. 햄머. 전기톱 국회의원 정청원(토론방) 우리는 당쟁과 부정의 역사로 점철된 우리의 과거사를 일제 침략주의자들의 만행탓으로 돌렸다. 즉 우리는 일제 36년간의 역사를 일본놈들이 창작한 불명예.. 政治.社會 關係 2013.03.17
국보법은 韓國에만 존재하는 후진적 法인가? 국보법은 韓國에만 존재하는 후진적 法인가? 한반도 자유통일을 위해 국보법을 더 강화해야 한다 정리/金泌材 UN 및 국제인권단체의 국보법 개폐 권고의 內幕 UN을 비롯한 국제인권단체들은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한국의 국보법 문제를 지적해왔다. 이는 국내 從北-左派 활동가 및 단.. 政治.社會 關係 2013.03.15
자위적 핵무장론 찬성! 우리의 운명을 우방국에 맡겨놓을 순 없다! 자위적 핵무장론 찬성! 우리의 운명을 우방국에 맡겨놓을 순 없다! 송대성(미래한국) 북한이 3차 핵실험을 실시한 이후 북핵문제 해결 방안을 두고 국내외적으로 많은 의견들이 분분하다. 그 중에 ‘대한민국 핵무장론’이 심각한 주제로 부상되고 있다. 대한민국 핵무장론에 대한 핵심 .. 政治.社會 關係 2013.03.14
정치적 사기꾼들이 자초한 인과응보 정치적 사기꾼들이 자초한 인과응보 김일성-김대중-노무현 일당은 척결의 대상 조영환(올인코리아) 3대 세습독재의 모순이 축적된 김정은 선군집단이 이제 최후의 단말마적 몸부림을 치고 있다. 노자는 “힘이 모자라면 무력이 따른다(Force is followed by loss of strength)”라고 말했다. 자신을.. 政治.社會 關係 2013.03.12
베트남 공산화를 초래한 1973년 '파리 평화협정' 베트남 공산화를 초래한 1973년 '파리 평화협정' 공산세력, 협상과정에서 집요하게 美軍철수 요구 金泌材 1973년 노벨 평화상은 닉슨 대통령의 안보 보좌관이었던 헨리 키신저와 越盟(월맹)의 정치국원 레둑토에게 돌아갔다. 두 사람은 파리 평화협상 때 양국을 대표해 베트남 전쟁의 처리.. 政治.社會 關係 2013.03.11
소위 국회'先進化'법에 포박된 한국의 불쌍한 어린民主主義! 소위 국회'先進化'법에 포박된 한국의 불쌍한 어린民主主義! 누가 MPP[Madam President Park] 위해 政治씨나리오를 쓰고 있나? 이장춘 MPP가 兵曹판서에 金병관을? '可냐 否냐 그것이 문제로다'! 金의 값어치가 과연 2012대선의 '108萬표차' 능가? 金의 인사청문회는 '의혹 난타전'! 허나 그의 '聖恩'.. 政治.社會 關係 2013.03.09
소프라노 노동당과 알토 노동당 2중대의 이중창 소프라노 노동당과 알토 노동당 2중대의 이중창 노동당의 소프라노 멜로디에 맞춰, 노동당 2중대가 금속성 알토로 화음을 넣고 있다. 최성재 여성 저음 알토는 이태리어로 ‘높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라틴어 알투스(altus)에서 유래한 낱말이다. 고도(高度)를 뜻하는 영어 altitude도 alto와.. 政治.社會 關係 2013.03.09
박근혜 대통령의 거수 경례 박근혜 대통령의 거수 경례 朴 대통령의 안보관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하나의 사건 코나스 지난 2월 25일 오전 11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박근혜 대통령은 21발의 예포가 발사되는 가운데 국군의장대의 경례에 거수경례로 답례했다. 군 통수권자로서 군인의 상징이기도 한 거.. 一般的인 news 2013.03.09
北韓과 從北세력이 주장하는 '평화체제-평화협정의 正體' 北韓과 從北세력이 주장하는 '평화체제-평화협정의 正體' 주한미군을 한반도에서 철수시키는 ‘평화협정’을 체결한 뒤, 북한과 남한 내 從北左派 세력이 주도하는 북한식 ‘연방제’ 통일을 이루겠다는 발상 金泌材 한국진보연대 홈페이지 자료 화면 캡쳐 민주당의 文在寅 씨는 18대 .. 政治.社會 關係 2013.03.08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만장일치!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만장일치! 군사적 제재 아니지만 강력한 경제적 제재 조영환(올인코리아) 북한이 3차 핵실험으로 점점 더 지구촌의 공적(公敵)이 되어가면서 자멸의 길을 걷고 있다. 유엔은 현지 시간으로 7일 오전 10시 5분(한국시간 8일 새벽 0시 5분)께 유엔본부에서 5개 상.. 對北 관련 자료 2013.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