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軍事 資料 綜合 2407

[스크랩] 바다에서 튀어나온 미사일

【칭다오=로이터/뉴시스】 23일 중국 동부 산동반도에서 사상 처음의 중-러 합동군사훈련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잠수함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하늘을 향해 오르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이날 '평화임무 2005'의 3단계 마지막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은 8일동안 양국에서 거의 1만명에 가까운 병력이 참여한다.  가져온 곳: [나노식품/나노푸드 (Nanofood)]&nbsp 글쓴이: Truescience 바로 가기

[스크랩] 핵무기 이렇게 생겼다!!

미국의 사진 작가 폴 샘브룸. 그는 유례를 찾기 힘든 행운의 주인공이다. 군으로부터 특별 허가를 맞아 핵무기 기지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는 1992년부터 미국의 20개 주를 돌면서 사진을 촬영했으며, 주요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면서 작품 전시회를 여러 차례 열어 왔다http://nukephoto.com/사이트에서는 핵탄두, 대륙간탄도미사일, 핵잠수함, 핵 투하 폭격기, 핵무기 통제 시설을 촬영한 사진들을 볼 수 있다탄두P{margin-top:2px;margin-bottom:2px;}탄두탄두탄두중재자중재자중재자 Minuteman MinutemanMinuteman미사일발사 통제                        가져온 곳: [나노식품/나노푸드 (Nanofood)]  글쓴이: Tr..

[스크랩] 거북선의 모든 것

거북선은 어떤 기적같은 것에 의한 것이 아니고 신화도 아니며,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전함의 하나이던 판옥선을 개조한 전함으로 판옥선과는 형제지간과 같은 배이다. 거북선은 순수한 우리고유의 조선방식에 의해 건조된 국산전함이다. 거북선에 대한 반응은 다양하다. 일제시대때에는 어떻게 해서든지 그 공적을 격하시키려는 모습을 보였지만 그러나 그 기술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국에서는 넬슨장군에 비교해서 뛰어남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거북선 게시판을 통해서 이 홈페이지에 다 담지 못한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의견교환이 이루어 지길 바랍니다. 지금부터 약 400년전 충무공에 의해 탄생한 거북선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큰 자랑거리로 알고 있으며 외국인들도 격찬하는 전함 이다. 그러나 유명한 이 ..

[스크랩] 오스트레일리아 COLLINS Class

오스트레일리아 COLLINS Class  개요- 영국으로부터 도입한 오베론급 잠수함 6척의 대체 전력으로 신형 잠수함 도입 추진- 1982년 부터 2001년까지 투자, 총 6척 건조 예정(추가 2척 건조 검토중)- 1987년 스웨덴 Kockums社가 Type 17(베스테르 고틀랜드)을 확대, 개량하여 설계한 Collins급 채택 - 선체 건조의 70%, 전투 체계의 경우 1번함 45%, 6번함은 100% 국산화 예정 제원 및 성능- 배수량 : 3,051톤(수상주행시)/3,353톤(잠항시) - 크기 : 77.8m(길이)×7.8m(빔)×7m(흘수선)- 최고속도 : 10kts(수상주행시)/20kts(잠항시)/10kts(스노클) - 항속거리 : 9,000nm(10kts로 스노클주행시)/11,500nm(10kts..

[스크랩] 프랑스 Scorpene급 잠수함

프랑스 Scorpene급 잠수함  개요- 프랑스의 축적도니 잠수함 설계 기술이 집약된 잠수함- 수요자 요구에 맞는 모듈화 및 융통성 있는 설계 개념 도입 - 프랑스 DCNI사가 칠레 해군을 위해 건조중인 잠수함   제원 및 성능- 배수량 : 1,564톤(수상주행시)/1,711톤(잠항시) - 크기 : 66.4m(길이)×9.3m(빔)- 최고속도 : 12kts(수상주행시)/20kts(잠항시)- 승조원(수용능력) : 31명- 최대 잠항 심도 : 300m무장 체계- 어뢰 발사관 6문 × 533mm(21') / 어뢰 및 대함 미사일 최대 18발전투체계- 통합 전투체계(SUBTICS)탑재 소나 체계- 소내체계는 수동 소나및 FAS, TASS, 방수, 능동 소나 등으로 구성 추진 체계- 디젤/전기 추진 체계 및 Mes..

[스크랩] 일본 해상자위대 미사일 고속정 (하야부사 급)

일본 해상자위대 미사일 고속정 (하야부사 급)  일본 해상자위대 최신예 미사일 고속정인 하야부사(Hayabusa)급   이 녀석은 기존의 일본 해상자위대 최초(?)의 비정규전 함선이자, 미사일 고속정이었던 PG-01급 고속정의 빈약한 항속거리, 거주성 열악, 피격시 생존성 부족을 비롯해 수중익선(쉽게 설명해서 선체 밑에 날개(?)가 달려있어 선체와 수면간의 저항을 최소화한 함선) 특성상 동해의 거친 해상환경에 부적합한 이유로 단 3척 밖에 생산되지 못하고, 해상자위대의 신형 미사일 고속정을 요구에 의해 개발되어 오늘날 실전배치에 이르게 되었다.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은 강력한 추진력을 자랑하는 워터제트 방식을 채용하여 최대 44노트라는 고속을 자랑하는 것은 물론, 선체는 첨단 경합금과 경사설계로 레이더 ..

[스크랩] 한국 고속정(PKM) - 참수리급

고속정 (PKM)  참수리급 고속정 고속정(PKM:Patrol Killer Medium)은 우리나라 연안방어 전략의 핵심적인 함정으로 1978년부터 건조되어 현재 총 75척 정도가 운용중이다. 대간첩작전 및 연안작전에 최적의 함정으로 평가되며, 실제로 동급의 배치 이후, 북한의 간첩선 침투는 거의 중단되었다.  연평해전에서 보는 것처럼 북한경비정과 불과 수백미터를 사이에 두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거나, 돌격기동이라 불리우는 전술기동을 통해 적함정과 충돌하므로써 적선체에 손상을 입히고, 북한군의 선제도발 때는 장착된 함포로 적을 일격에 침몰시킬수 있다. 이외에도 평시에는 불법 어로감시, 밀입국감시, 간첩선감시, 인원이송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참수리'급으로 이름지어진 PKM(고속정)은 1970년대에..

[스크랩] 세계의 항공모함 운용-현황

사진은 니미츠급 항공모함 항공모함의 운용제해 임무시. 방공 구축함 2대 , 호위 구축함 4대, 그외 지원함정 8대,  잠수함 2대로 구성된다 일반적 이동시. 방공 구축함 2대, 호위 구축함 4대, 지원함정 6대, 잠수함2대로 구성 위험지역 초계 및 제해시. 방공구축함3대, 호위 구축함 6대, 지원함정6대, 잠수함 3대로 구성핵위험지역 초계및 재해 임무.방공 구축함 2 호위 구축함 6 지원함정7 잠수함 3 그외 기타 사항에 따라 + - 될 수 있습니다 세계의 항모 보유 현황은 미국 12대,  프랑스 2대, 영국 3대대, 러시아 1대, 이탈리아 1대, 스페인 1대, 브라질 1대, 아르헨티나 1대, 태국 1대   가져온 곳: [나노식품/나노푸드 (Nanofood)]&nbsp 글쓴이: Truescience 바로..

[스크랩] 군함의 분류

군함의 분류   1) 수상전투함CV(Aircraft Carrier) : 항공모함 CVN(Nuclear Aircraft Carrier) : 핵추진 항공모함 AVT(Auxility Aircraft Landing Training Ship) : 연습항모 BB(Battleship) : 전함 CA(Gun Cruiser) : 순양함. 대양을 순회하며 장시간, 장거리 작전을 펼 수 있다는 점에서 명칭이 붙었다. CG(Guide Missile Cruiser) : 미사일 순양함 CGN(Nuclear Guided Missile Cruiser) : 원자력 추진 미사일 순양함 CGSN(Strike Nuclear Guided Missile Cruiser) : 원자력 추진 타격 미사일 순양함 DD(Destroyer) : 구축함. ..

[스크랩] 209 장보고급 잠수함

무장: 장보고급은 8문의 표준형 533mm(21인치) 어뢰발사관을 8문 장비하고 있다. 어뢰발사관은 21인치 표준 사이즈의 거의 모든 수중무장을 운영할수 있으며, 유선유도를 위한 설비들을 갖추고 있다.함번 061-067 까지 6척의 잠수함들은  어뢰나 기뢰등의 무장을 자체항주(Swim out)를 통해서만 발사할수 있었으나, 후기 3척인 068-071번함은 하단 4문의 발사관(5, 6, 7, 8번)에 압축공기 발사장비인 WES 킷을 장비하여, 어뢰 등의 강제발사나 자체항주능력이 없는 잠대함 하푼(UGM-84) 등의 운영이 가능해졌다.현재 장보고급은 수상/수중표적 공격용으로 독일  STN-atlas 의 SUT mod2 와 LG 이노텍의 백상어 중어뢰를 운영하고 있다.SUT mod-2는 533mm 표준형 어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