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김 부총리가 참여정부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경우 향후 노 대통령의 인사스타일과 내각운용 등 국정운영 방식에서 다소의 변화가 동반되지 않느냐는 관측이 나돈다.
|
노 대통령은 여당의 입장을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 여당의 협조를 바탕으로 북핵문제 등 외교안보 현안 해결과 주요 국정과제 마무리에 전념할 것이란 분석이 중론이다.
정치적 고비에서 ‘정면돌파’를 선호했던 노 대통령으로서 일종의 ‘승부수’의 유혹도 없지 않겠지만 청와대 참모들은 “앞으로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하고 있다.
하지만 참여정부의 지역균형 개발정책이나 부동산 정책 등 각종 개혁정책은 큰 기조 변화가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열린우리당이 ‘민심 잡기’ 차원에서 일부 개혁 정책의 완화를 촉구하고 있어 ‘일부 수정’의 가능성은 상존해 있다.
김 부총리의 ‘컴백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쳐지고 있다. 청와대가 1일 청문회 직후 “도덕성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한 대목이 의미 심장하다. 노 대통령과 청와대측이 김 부총리의 낙마를 ‘정치적 희생’으로 간주하는 분위기다. 적절한 시점을 택해 김 부총리를 ‘국무위원’이 아닌, 다른 직함으로 후반기 국정운영에 활용하기 위한 포석이란 분석이다. 교육개혁과 지금까지 추구해온 각종 개혁정책의 마무리 작업과 대통령의 레임덕 방지에 힘을 보탤 것이란 의미다.
청와대가 이번 파문에서 가장 우려했던 것은 노 대통령의 레임덕 현상의 조기 가시화였다. 따라서 향후 교육부총리 후임과 법무장관 인사에서 ‘김병준 파문’이 재현될 경우 레임덕 현상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현재 후임 교육 부총리로 거론되는 당내 인물 가운데 이미경 의원이 ‘1순위’에 오른다. 매번 교육 부총리 하마평에 꾸준히 거론됐다는 차원에서다. 이외에 부산시교육감 출신인 설동근 교육혁신위원장과 김대중 정부 시절 교육부 차관을 지낸 김신복 서울대 부총장도 자천타천으로 이름이 오르내린다. 여당인 열린우리당까지 ‘코드 인사’ 탈피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노 대통령이 고집을 꺾지 않으면 당·청 갈등은 ‘임계점’으로 향할 가능성이 크다.
오일만 황장석기자 oilm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