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2. 5. 15 충북 옥천~? 이름 : 정지용 아명은 지용(池龍). 출생/사망 : 1902년 5월 15일/ 1950년 9월 25일 학력 : 도시샤대학교 영문학 직업 : 시인 데뷔 : 1926년 학조 창간호 '카페 프란스' 경력 : 1950년 납북 1946년 경향신문 주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특이사항 : 2005년 5월 정지용 문학관 개관 1989년 5월 정지용 문학상 재정 대표작 : 백록담, 향수, 고향 홈페이지 : http://www.jiyong.or.kr/ 저서 : 문학독본, 산문 주요작품 및 저서 대표시로 「고향」「바다 2」「백록담」「유리창」「장수산」「조찬」「춘설」「향수」등이 있으며, 시집『정지용시집』(1935)『백록담』(1941) 등이 있다. --------------------------------------------------------^^ [생애와 활동] 정지용 정지용 생가, 충북 옥천군 옥천읍 하계리 한의사인 아버지 태국(泰國)과 어머니 정미하(鄭美河)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12세 때 송재숙(宋在淑)과 결혼했으며, 1914년 아버지의 영향으로 가톨릭에 입문했다. 옥천공립보통학교를 마치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서 박종화·홍사용·정백 등과 사귀었고,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을 펴내기도 했으며, 신석우 등과 문우회(文友會) 활동에 참가하여 이병기·이일·이윤주 등의 지도를 받았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선근과 함께 '학교를 잘 만드는 운동'으로 반일(半日)수업제를 요구하는 학생대회를 열었고, 이로 인해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가 박종화·홍사용 등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다. 1923년 4월 도쿄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입학했으며, 유학시절인 1926년 6월 유학생 잡지인 〈학조 學潮〉에 시 〈카페 프란스〉 등을 발표했다. 1929년 졸업과 함께 귀국하여 이후 8·15해방 때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했고, 독립운동가 김도태, 평론가 이헌구, 시조시인 이병기 등과 사귀었다. 1930년 김영랑과 박용철이 창간한 〈시문학〉의 동인으로 참가했으며, 1933년 〈가톨릭 청년〉 편집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상(李箱)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 같은 해 모더니즘 운동의 산실이었던 구인회(九人會)에 가담하여 문학 공개강좌 개최와 기관지 〈시와 소설〉 간행에 참여했다. 1939년에는 〈문장〉의 시 추천위원으로 있으면서 박목월·조지훈·박두진 등의 청록파 시인을 등단시켰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이화여자대학으로 옮겨 교수 및 문과과장이 되었고,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의 중앙집행위원 및 가톨릭계 신문인 〈경향신문〉 주간이 되어 고정란인 '여적'(餘適)과 사설을 맡아보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했던 이유로 보도연맹에 가입하여 전향강연에 종사했다. 1950년 6·25전쟁 이후의 행적에는 여러 설이 있으나 월북했다가 1953년경 북한에서 사망한 것이 통설로 알려져 있다. [문학세계] 그의 문학세계는 대략 3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섬세한 이미지 구사와 언어에 대한 각별한 배려를 보여준 것이 특징이다. 첫째는 1926~33년으로, 이미지를 중시하면서도 향토적 정서를 보인 모더니즘 계열의 시이다. 그가 시를 쓰기 시작한 것은 1923년경이었다고 하나, 발표되기는 1926년 〈학조〉 6월호에 실린 시 〈카페 프란스〉·〈마음의 일기에서〉 등에서 시작된다. 이어 이미지 시의 면모를 보여준 〈바다〉(조선지광, 1927. 2)와 〈향수〉(조선지광, 1927. 3) 등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했다. 이런 경향은 〈시문학〉의 향토적 정서, 섬세한 이미지 표현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이 시기의 시들은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면서도 순수 서정시의 가능성을 아울러 보여준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나가고/얼룩백이 황소가/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그곳이 참아 꿈엔들 잊힐 리야"(〈향수〉 1연)와 같이 곱게 다듬어진 우리말의 언어적 세련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감각적 이미지를 적절히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는 〈가톨릭 청년〉에 관여하던 1933~35년에 보여준 종교적인 시이다. 이 시기에는 절대적인 신에게 관심을 갖고 시대적 상황에 무력한 자신의 정신적 허기와 갈증을 신앙을 통해 메우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갈수록 열악해지는 현실에 대한 절망과 이로부터 벗어나려는 시인의 정신적 방황을 드러내는 것이며, 특히 〈나무〉(가톨릭 청년, 1934. 3)의 "얼굴이 바로 푸른 하늘을 우러렀기에/발이 항상 검은 흙을 향하기 욕되지 않도다"라는 표현에서 보이듯이, 한갖 나무만도 못한 욕되고 부끄러운 삶을 살고 있는 자신에 대한 참회와 나라를 잃은 민족의 정신적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는 1941년까지 발표한 동양적 전통과 정신에 바탕을 둔 산수시이다. 이 시기에 그는 동양적 정신과 산수의 풍경을 그리는 여행을 떠남으로써, 시적 소재가 〈바다〉(시원, 1935. 12)를 거쳐 〈옥류동〉(조광, 1937. 11)·〈비로봉〉(청색지, 1938. 8)·〈장수산〉(문장, 1939. 3)·〈백록담〉(문장, 1939. 4)으로 바뀐다. 바다를 거쳐 산으로 오르는 이런 시세계의 변모는 즉 일제강점기 말의 암울한 현실에 구애됨이 없이 자연에 몰입하고자 하는 시인의 정신세계를 대변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자연을 대상으로 삼아 시어의 조탁(彫琢)과 섬세하고 선명한 이미지로 독특한 시세계를 표현했는데, 이러한 성격은 한국의 서정시를 계승한 것으로서 이후 제자격인 청록파의 시세계로 이어졌다. 100여 편이 넘는 시 외에도 소설 〈3인 三人〉(서광, 1919. 11)과 평론 〈조선시의 반성〉(문장, 1948. 10)·〈문학으로 사는 길〉(세계일보, 1949. 1. 5) 등을 발표했다. 시집으로 〈정지용시집〉(1935)·〈백록담〉(1941)·〈지용시선〉(1946)과, 이론서로 〈문학독본 文學讀本〉(1948)·〈산문 散文〉(1949) 등이 있고, 1988년 민음사에서 〈정지용선집〉을 펴냈다. -------------------------------------------------------------------^^ 작가소개 1902년 5월 15일(음력) 충북 옥천군 옥천면 하계리 40번지에서 아버지 정태국과 어머니 정미하 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젊어서 중국에서 배운 한의술로 약재상을 경영하였으며, 그 덕택으로 어릴 때는 비교적 부유한 생활을 하였다. 그런데 어느 해 여름에 갑자기 밀어닥친 홍수로 집과 재산을 잃어버리고 한동안 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아홉 살 때 인근의 옥천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열세 살에 졸업하였다. 졸업하기 일년 전에 충북 영동에 살던 송재숙과 혼례를 올렸다. 열일곱 살에 서울의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학교성적은 전체 수석을 할 정도로 좋았으며, 이때까지도 집안 형편이 그리 나아지지 않아서 교비장학생으로 학교를 다녔다. 같이 문학에 뜻을 둔 동급생 박팔양 등 8명이 모여서 ‘요람’ 동인을 결성하고 동인지 《요람》을 등사하여 10여 호까지 만들었다. 휘문고보 2학년 때 3 ․ 1운동이 일어나서 가을까지 수업을 받지 못했으며, 교내문제로 시작된 휘문사태의 주동으로 지목받아서 무기정학 처분을 받기도 하였다. 1919년 12월에 《서광》 창간호에 소설 「삼인」을 투고하여 실렸다. 1922년 휘문고보를 졸업한 뒤 1923년 4월에 일본 교토(京都)의 동지사대학(同志社大學)에 입학하였다. 그의 대학 학비는 휘문고보에서 부담했다고 한다. 대학에 다니면서 계속 시를 쓰다가 1926년부터 《학조》 창간호와 《신민》, 《문예시대》에 본격적으로 시를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조선지광》 등에 주로 시를 발표하였다. 1929년에 동지사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한 뒤 귀국하여 휘문고보의 영어과 교사가 되었다. 학생들 사이에서 시인으로 인기가 높았다고 한다. 1930년 박용철, 김영랑, 이하윤 등과 ‘시문학’ 동인을 결성하고 《시문학》지를 발간하였다. 1933년에 이태준, 이무영, 유치진, 김기림, 조용만 등과 ‘구인회’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그해 6월부터 《가톨릭청년》의 편집을 맡았다. 1935년에 첫 시집 『정지용시집』을 발간하였다. 1939년에 이태준과 함께 《문장》의 편집과 독자추천시의 심사위원을 맡았다. 그의 손을 거쳐 박두진, 박목월, 조지훈, 이한직, 박남수, 김종한 등의 신인들이 《문장》의 추천으로 등단하였다. 1941년에 두 번째 시집 『백록담』을 발간하였다. 해방 후 1945년 10월에 이화여자전문학교 문과대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1946〜47년에 〈경향신문〉 주필을 맡아서 당시의 현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1948년에는 은거하여 서예를 하면서 지냈다. 1950년 전쟁이 일어나자 정치 보위대로 끌려가서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이후 정지용의 행방은 공식적인 기록과 자료에서 사라졌다. 그런데 전쟁 후 정지용이 월북했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한국 근대시문학사에서 그의 이름은 지워져야 했으며, 그의 가족들도 월북자의 가족으로 분류되어 많은 고통을 겪었다. 1988년 정부의 납 ․ 월북 문인에 대한 해금조치와 함께 정지용의 이름과 문학도 복권되었지만 그의 월북과 사망 대해서는 지금까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남한에 살고 있는 정지용의 가족들은 그의 월북설이 허위기사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2005년 3월 11일 방영된 KBS 1TV ‘인물 현대사 : 시대에 갇힌 천재시인 ― 정지용’에서 정지용의 장남 정구관씨가 월북설이 어떻게 조작된 것인지를 실증자료를 들어서 밝히고 있다. 실제로 2001년 3차 이산가족 상봉 때 북한에 살던 정지용의 셋째아들이 상봉대상자에 아버지를 포함시킴으로써 그의 월북설에 대한 의혹을 더해주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한국 전쟁 때 서대문형무소에 갇혀 있다가 평양감옥으로 이감된 후 1950년에 폭사(爆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문장》 http://cafe.naver.com/sjchung/21122 |
'人物情報 參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지문덕 (0) | 2006.09.02 |
---|---|
양의·한의·중의·약학박사 `의학 그랜드슬램` 딴 의사 (0) | 2006.08.22 |
첫 여성 국회의장 비서실장 박금옥씨 (0) | 2006.07.13 |
에두와르 마네 [Edouard Manet] (0) | 2006.07.11 |
[人物 들여다 보기] 박태준 (0) | 2006.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