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軍事 資料 綜合

인민군이 사용하는 AN-2.

鶴山 徐 仁 2006. 6. 15. 13:41

출처 유용원의 군사세계 - 북한사진 자료실

 

인민군이 사용하는 AN-2.
인민군 저격부대의 침투용으로 사용하는 안-2기는 뚜꺼운 군용천막천같은걸 압착한 재질로 날개와 동체를 만들었습니다. 소련에서 수입한후에 개량을 하였습니다. 북한에서 개량후 여러가지 테스트를 거쳤는데 레이더에 걸릴 확율이 거의 없거나 대단히 낮았다고 합니다.

안-2호기는 교도지도국산하 저격여단 11저격여단. 12저격여단..기타 군단급 저격여단병들의 한국의 후방침투를 위한 수단으로서 대략 휴전선 북쪽 상공지역에서 엔진을 끄고 산지형을 이용하여 낮게 활공으로 1시간이상을 비행할수 있게 되여잇습니다.
안-2기에는 두개의 엔진이 장착되여 있으며 비행기 한대에 8명부터 최대 12명까지 승선할수잇으나 최대 전투중량의 장비를 장착한 저격대원들은 8명을 기준으로 하고잇습니다.

저격여단은 1980년대 말부터 기존의 800미터 낙하방법을 바꾸어 200미터에서 강하하는것으로 되여잇습니다.
낙하산을 저고도 낙하산이라는걸 개발하였으며 이유는 기존의 저격중대 100명을 800미터의 고도에서 낙하시켰을때 살아남아 땅에 도착할 인원을 40%으로 북한군은 판단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살아남을 확율의 40%으로 맏겨진 대상물습격을 원만히 하기에는 부족함이 잇었나 봅니다.
때문에 초기 침투시 현지에 도착할수 있는 대원들의 생존력을 최대한 높일 필요가 잇었습니다. 오랜기간의 연구와 개발끝에 1986~87년경에 저고도낙하산이란 물건이 개발되고 인차 인민군 저격여단들에 지급되였습니다. 실험결과 200미터 상공에서 낙하하엿을경우 기존의 생존율 40%에서 60%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중대병력 100명에서 생존자 60명 정도이면 기습대상물습격에 충분하다고 판단한거죠.
일단 다른 외국에서 가지고 있는 안-2기와 외형상 비슷하지만 완전히 개량햇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격여단과는 별도로 교도지도국 산하의 38-48-58 등 경보병여단은 낙하산을 이용한 침투와 함께
구소련제 mi-2 헬레콥터를 침투장비로 사용하고 잇습니다.

적어도 일개 대대를 침투시키려면 대대병력 500명 정도로 보고 헬기 한대당 12~15명으로 볼때 헬기 댓수를 짐작하실겁니다.

* 저격여단은 1개중대가 100명가량 됩니다. 전투단위는 조별로 진행됩니다. 중대에 1조 2조 형식으로 6개의 조가 편성되여 있고 포병조(60밀리 육공포) 가 배속됩니다. 1개조는 12명 입니다. 조장은 특무상사입니다.
저격조원들은 1개조 12명중 9명은 노동 당원이여야 합니다.

* 반면에 경보병여단은 6개 대대. 1개 대대에 6개 중대로 되여잇습니다. 1개중대는 120명 편제이며 중대에는 2개의 전투대로 나뉘여 집니다. 1개 전투대는 58명~60명입니다. 경보병 중대에는 중대장. 정치지도원. 군사부 중대장이 있고 그 믿에 각 전투대의 대장들이 군관으로 잇습니다.
전투대에는 60미리 육공포3문. 휴대용 미사일( 레이더. 통신기지 파괴용) 휴대용대공미사일(대헬기용)

저격. 경보병 대원들은 군복무 13년기간을 마치면 (공산대학 졸업증)을 수여합니다.
위 복무기간을 대학졸업으로 인정해준다는 겁니다...공산대학은 일종의 정치간부양성 기관과 흡사하며 이 졸업증을 받으면 제대후 공장. 기업소. 사회단체. 등에서 간부등용을 합니다.

그러나 간부로 배치는 해주지만 2~3년 지나면 실무능력이 뒤쳐짐에 따라 자연히 그자리에서 나오는 현상도 많습니다. 군대에서 어렵고 힘든 특수부대에서 근무했지만 사회적응능력은 별개의 문제죠.

 

 

첨부사진출처: 유용원의 군사세계 - 북한사진방: 브리츠오이겐님/ Airliners.net

 

 

an2_1.jpg

 

 

Google_an2.jpg

 

 

an-2russia.jpg

 

 

An2_2.gif

 

an-2russia2.jpg

 

 

 

AN-2

Specifications
Country of Origin USSR, Poland
Builder  
Role Light-transport (10 equipped troops), general utility
Similar Aircraft U-6A Beaver, OV-1 Mohawk, OV-10 Bronco
Wing Span 59 ft, 8 in (18.19 m)
Length 41 ft, 9 in (12.75 m)
Height 4.1 m
Weight   3330 kg - empty
5500 kg - maximum takeoff
5800 kg - maximum takeoff [An-3]
1500 kg - maximum payload
1800 kg - maximum payload [An-3]
Engine 1xASh-62 IR, 985 hp
1xTVD-10B, 959 hp [AN-3]
Maximum speed 250 km/h
Cruising speed 220 km/h / 220-260 km/h [AN-3]
Range   1025 km - with maximum fuel
300 km - with maximum load
Service Ceiling 5000 m
Runway   650 m - dirt takeoff-landing strip
650 m - dirt takeoff-landing strip [An-3]
400 m - surfaced takeoff-landing
Armament Usually none
Crew Two
Cost  
User Countries Afghanistan, Albania (Y-5), Angola, Benin, Bulgaria, Cambodia, CIS, Cuba, Germany, Iraq, Laos, Mali, Mongolia, Nicaragua, North Korea, People’s Republic of China (Y-5), Poland, Romania, Tanzania, Vietnam


 

'軍事 資料 綜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54/55 Tank  (0) 2006.06.15
Mi-2 헬리곱터 2006/03/01 11:49  (0) 2006.06.15
T-62 / 천마호 전차 - 1  (0) 2006.06.15
Type- 59 탱크  (0) 2006.06.15
북한군 T-34/80 탱크  (0) 200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