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實用主義 敎育思想에 관한 硏究

鶴山 徐 仁 2006. 5. 11. 10:49
 
實用主義 敎育思想에 관한 硏究

제어번호 2152821
저자명 김수자
수여대학 淑明女子大學校
자료유형 국내석사
수록면 iv,62장
언어 한국어/Korean
학위수여년도 1992
KDC 370.1
주제어 교육사상 듀이 실용주의
소장기관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도서관(중앙)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경북대학교 도서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대구가톨릭대학교
동아대학교 도서관
세종대학교 도서관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원광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전북대학교 도서관
제주대학교 도서관
청주대학교 도서관
충남대학교 도서관
충북대학교 도서관
한국교육개발원
한남대학교 도서관
초록 社會 전반적으로 民主化를 부르짖으며 政治의 民主化, 敎育의 民主化, 경제의 개방화, 社會의 多元化등 오늘의 추세는 날로 變化하고있다. 최근의 哲學 특히 實用主義(Pragmatism)는 科學의 영향을 받아 社會는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변천하는 人間價値에 따라 늘 변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용주의 교육사상을 계승하여 집대성한 Dewey는 敎育은 경험의 의미를 증가하고 후속 경험의 방향을 결정하는 能力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경험을 재구성하거나 재조직하는것이라 했으며 교육의 목적은 성장에 있고 교육의 내용, 方法도 경험의 同化 또는 創造過程이다 라고 했다. 이러한 의견에 동의한다면 교육은 현존 사회에 도전하여 이를 부단히 재검토하고 재평가함으로써 必要에 따라 이를 수정하도록 피교육자를 지도하는 것으로 그 임무를 삼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실용주의 교육에 관한 문헌연구로서 실용주의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발달, 실용주의 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Dewey의 교육이론에서 考察해 보고 실용주의 교육의 영향이 어떠했으며 이를 비판함으로써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실용주의 근본사상은 변화에 대한 관념에서 출발하여 그 뿌리는 멀리 고대 그리이스로부터 서구의 전통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실용주의는 미국적인 哲學으로 그 自身의 삶과 기질을 반영한 것이지만 영국의 경험론, 공리주의와 독일의 관념철학 Darwin의 進化論이 미친 영향이 매우 크며 프랑스 大草命 以後의 民主主義 思想의 發達과 産業革命, 美國의 社會的 産業的 條件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 철학이라 할 수 있다.
實用主義의 基本原理에 確固한 哲學的 根據를 提供하고 實用主義思想을 敎育理論에 훌륭하게 適用시킨 사람이 J. Dewey이다. 그는 「나의 교육 신조」에서 敎育의 信念을 이야기하였고 「學校와 社會」에서 敎育思想을 전개시켰으며 「民主主義와 敎育」에서 敎育哲學을 천명하였다.
Dewey의 實用主義 敎育理論을 要約하면 生活로서의 敎育, 成長으로서의 교육, 경험으로서의 교육, 사회과정으로서의 교육을 들 수 있다.
寶用主義 敎育思想을 背景으로 하여 진보주의 교육사상이 탄생되었고 Dewey는 그의 敎育理論을 實驗하기 위해 시카고 大學에 附屬實驗學校를 세우고 새교육을 實施하였다.
Dewey의 실험학교는 전통주의교육을 改革하게 되었고 새교육運動의 推進機關으로 1919年 美國에 진보주의교육협회가 創設되었다.
Dewey敎育思想이 우리나라의 學界 및 敎育界에 紹介된 것은 해방직후의 일로 새로운 社會를 건설하는데 硏究되는 敎育으로 「새교육」이라 불렀다. 「새교육」은 生活中心의 교육, 아동중심의 교육, 교육의 社會化, 過程中心의 교육, 과학적 교육을 강조하여 韓國敎育의 民主化에 源泉的인 힘이 되었다. 그러나 韓國의 새교육 운동은 韓國과 美國의 歷史的 傳統, 思想的 背景이 다른점을 고려하지 않고 批判없이 受容하여 몇 가지의 부정적인 요인들이 문제시 되었고 Dewey 사상의 잘못된 理解와 그 思想자체에 대한 問題點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교육이 生活 그 자체이며 經驗이고 成長이라 할때 韓國에 있어서 實用主義敎育은 近代化의 精神的 기초로서 우리敎育의 方向을 提示해 주었다는 점은 인정하여야 할 事實들이다.
實用主義 敎育에서 주장하는 生活中心의 교육, 兒童中心의 교육, 結果보다는 過程을 중시하는 敎育, 교육의 社會化, 科學的 교육의 강조는 現在 우리 교육이 指向하고 있는 길이다. 어떻게 創意的으로 現場에 受容하고 適用시켜 활성화 시키느냐 하는 것이 오늘날 당면한 問題라 생각한다.



Modern day trends of world at large are constantly shifting its shapes as in such forms as political and educational democratization, open-door economic policy, social polycentrism and so forth. Recent philosophy, especially pragmatism, claims that a society does not always dwell itself in the stationary state, but with the affect of science it transforms along with the changing human values day by day. John Dewey, the successor and synthesizer of the pragmatistic educational ideas, postulated that education increases the scope of personal experience, and it rebuilds and reorganizes such experience so as to enhance the capability in deciding the directions of reinforcement (or future experience). He also mentioned that the objective of education depends upon development, and its content and method rely upon creative processes and assimilations of experience. If one agrees with such views, then education should, in a sense of obligation, take aggressive steps toward the present society and continuously re-examine and re-evaluate such stand-points so that it could cultivate learners to modify them in times of necessary.
This inquiry is a documentary research on pragmatistic education and it looks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pragmatism, and studies its basis of theory on education by scrutinizing Dewey's theory. The purpose of this inquiry is to find out how the impact of pragmatistic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and criticize it so that we may detect what it suggests for our education.
The basic idea of pragmatism starts with the concept of change and its roots can be traced back to ancient Greece and it later affected throughout the Western culture. Pragmatism is an American philosophy which reflects its own life and mature. However, the philosophy had been greatly affected by British empricism and utilitarianism, German idealism, and Darwin's doctorine of evolution. After the French Revolution the philosophy formulated with much complexity by democratic idea, technological development, Industrial Revolution, and social and industrial conditions of America.
The person who had given the firm philosophical props of the basic principle of pragmatism and then perfectly applied the idea into the theory of education was John Dewey. In his "My Padagogic Creed" he talked about the certainty of education; and in "The School and Society" he stated the education thoughts; in "Democracy and Education" he postulated the philosophy of education.
In summary Dewey's pragmatistic educational theory focused on education as life, growth, experience, and as social process.
From the foundation of pragmatistic educational thought, progressive educational idea was born, and in order to experiment on his new educational theory, Dewey founded a laboratory school attached to the University of Chicago, performing New Education.
Dewey's laboratory school renovated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in 1919, as a promoting institution for the New Education Movement, Association for Progressiv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America.
Dewey's idea of education was introduced into Korea right after the Independence, naming it the "New Education" for its study was considered to be dealing with constructing new society. The New Education emphasized on practical education, children education, socialization of education, process oriented education. and scientific education. Hence, it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democratizing Korean education. However, Korea's New Education Movement has been criticized for not considering the theory with thorough review, overlook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America in historical traditions and idea backgrounds. The Movement also has been criticized for misconceiving Dewey's idea, and for the inherent problems of idea itself.
Considering that education is life, experience, and growth, a credit should be given to the pragmatistic education in Korea which helped erect the spiritual foundation for modernization which has led our direction of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children education, process-oriented education rather than the result, socialization of education, stresses upon scientific education are some of the things emphasized by the pragmatistic education. And these are the elements that we are heading for. Therefore, it is believed to be our confronting issue to find out the creative way to accepting and applying the theory so that it may be digested without any side effect.

목차 목차
I. 序論 = 1
II. 實用主義의 歷史的 背景과 發達 = 4
1. 實用主義의 歷史的 背景 = 4
2. 實用主義의 發達 = 7
III. 實用主義의 敎育理論과 實際 = 19
1. 實用主義 敎育理論 = 19
2. 實用主義의 敎育觀 = 28
3. 實用主義 敎育의 實際 = 32
IV. 實用主義 敎育과 그 影響 = 35
1. 實用主義 敎育의 영향 = 35
2. 實用主義 敎育이 韓國敎育에 미친 영향 = 38
V. 實用主義 敎育에 대한 비판 = 45
1. 本質主義의 立場 = 45
2. 恒存主義의 立場 = 47
3. 再建主義의 立場 = 50
VI. 要約 및 結論 = 51
參考文獻 = 56
英文抄錄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