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직업, 전공] Dental Hygiene : 치위생

鶴山 徐 仁 2006. 2. 1. 13:13
http://blog.naver.com/repose109/20009536644

치위생학도들은 치아건강을 위한 예방법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배우게 되는데 그 기본적인 책무는 환자들이 구강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치아건강과 환자교육에 관련되는 모든 기술을 마스터할 필요가 있다.  주마다 다양하지만, 학생들은 보통 다음과 같은 과목들을 배우게 된다. 먼저 환자진단인데, 이것은 환자의 병력, 혈압, 머리, 목 그리고 입에 대한 검사, 구강암검사이며 다음으로는 치아 X-레이촬영, 치아노폐물 제거 (구강 예방학), 불화물(fluoride)과 틈(fissure)봉합과 같은 치아가 썩는 것을 예방하는 방법, 치아건강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집행하기, 건강한 생활양식을 위한 환자와의 상담 등이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치위생학 프로그램을 수강하기 전 1~2년 동안 수강할 수 있는 일반 교양과목을

개설해 놓고 있다. 치위생 과정은 지역 단과대학이나 4년 제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데 일부과정은 치과대학과 연계되어 있기도 하다. 치위생학은 인체해부학, 병리학, 생리학과 같은 기초과학을 공부함으로써 신체의 기능, 질병의 경과, 그리고 건강에 관한 생물학적 생리학적 근거에 관한 이해를 갖게 한다.

치위생학 강좌는 치위생학적 치료와 실제에 관한 기본교육들로써 학업은 주로 강의실과, 실험실 그리고 임상실습으로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1학년 때부터 모델을 통해 연습하거나 실제환자를 통해서 실습함으로써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치위생 설비의 제공과 다양한 환자들을 접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환자와의 일대일 접촉활동을 하게 되므로 심리학, 언어대화론, 사회학, 환자관리학을 통해서 능숙한 커뮤니케이션과 개인상호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장외실습으로는 공공건강센터, 병원, 어린이 보호시설, 갱생시설에 있는 환자들을 방문하는 것이 포함되며 때로는 보건소, 건강교육발표회 그리고 초등학교 모임 등에 참여하기도 한다.  일부 치위생 프로그램 중에는 학생들이 실습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치과병원에서의 실습시간이 포함돼 있다.

치위생사는 면허증이 필요한 건강치료 직업이다. 면허증은 치위생학 과정을 졸업하고 국가필기 시험과 주 자체의 필기와 실기시험에 통과한 후에 취득할 수 있다.

주요과목


Anatomy
Patient Management
Microbiology
Radiology
Pharmacology
Dental Hygiene Techniques
Chemistry
Preventive Oral Care
Pathology
Health Education
Pain Contral
Dental Materials
Nutrition
Ethics
Infection and Hazard Control

유사전공

 

Medical record administration
Nursing
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Predentistry


장래직업


치위생학 전공자들은 개인병원의 치위생사로 일하기도 하고 공공보건소, 학교기관, 병원, 요양원, 대학, 그리고 건강치료기관에서도 일한다. 교직, 사무요원, 치과상품 판매 등을 하기도 하며

대학원을 마치고 치위생학 프로그램 행정요원, 연구관, 치과의사로 진출할 수도 있다.


우수대학원


IDAHO STATE
INDIANA(BLOOMINGTON)
TEXAS CHRISTIAN
HOUSTON
TEXAS(AUSTIN)
BRIGHAM YOUNG
UTAH
WISCONSIN(MAD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