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비교. 통계자료

여론조사냐 여론조작이냐

鶴山 徐 仁 2005. 12. 29. 20:52
27일 대구에선 사학법 원천무효 투쟁을 위한 한나라당 장외집회가 있었습니다. 박근혜 대표는 사학법과 관련해 열린우리당이 네 가지 거짓말로 국민을 속였다고 말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넷째, 여론조사를 조작했습니다. 다행히 우리 한나라당에 적발되었는데, 어떻게 국민들에게 여론조사까지 조작해서 말하라고 하는지 놀라울 뿐입니다.”

이에 대해 28일 정세균 열린우리당 당의장 겸 원내대표는 의원총회 모두 발언에서 다음과 같이 반박했습니다. “참 기가 막힐 노릇인 것은 박근혜 대표가 그 자리에서 우리당이 여론조사를 조작했다는 주장을 했다고 한다. 이제는 색깔론을 하다못해 허위사실 유포까지 한다. 답답하고 화가 나는 것을 뛰어넘어 한나라당의 그런 태도와 모양이 애처롭기까지 하다. 저는 분명히 말씀드린다. 이는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이다. 어떤 식으로 어떻게 여론을 조작할 수 있는지, 어떻게 우리당이 여론을 조작했는지 그 내용을 명백히 대라, 아니면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

한나라당 박 대표가 “여론조사까지 조작해서 말하라고 하는지...”라고 했는데, 열린우리당 정 의장 겸 대표는 “어떻게 여론을 조작했는지...”라고 다소 빗나간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박 대표가 언급한 내용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이미 지난 일로 더 이상 논란거리가 될 수 없습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4일 연합뉴스는 다음과 같이 보도하고 있습니다.

'한나라당 나경원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열린우리당이 사학법 통과 직후 실시한 ARS 조사결과를 입수했다”면서, “사학법 찬성률이 40%대에 불과한데도 우리당 지도부는 소속 의원들에게 60-70% 찬성률이 나온 것으로 포괄 인용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 의원이 우리당 문서라고 공개한 자료는 겉표지 1장과 ARS 조사결과를 담은 5-6쪽의 첨부문서로 구성돼 있으며, 겉표지에는 ‘중앙당 자체 ARS 데이터입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전체적으로 60-70% 찬성이라고 포괄적으로 인용했으면 합니다’라는 당부의 글이 적혀 있다.'

'정밀보도'로서의 여론조사 기능 약화

2005년 올해도 수많은 여론조사가 실시 발표됐습니다. 대부분이 여론을 정확하게 포착 수렴해 보도하는 기능, 즉 정밀보도(Precision Journalism)에 충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기능, 즉 정치보도(Political Journalism)에 치중한 여론조사도 적지 않았습니다. 결국 여론조사의 탈을 쓴 여론조작인 셈이죠.

여론조사는 크게 조사기획, 조사실행, 보도 및 활용이란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 단계별로 여론조작의 여지가 있음은 물론입니다.

조사기획 단계부터 살펴볼까요. 누군가 조사를 의뢰해야 하고 또 돈을 대야 조사가 이루어집니다. 아무리 긴급하고 중요한 주제라 하더라도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별로 중요하지 않은 주제의 조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조사경비를 감당할 수 있는 의뢰자에 달려 있는 것이죠. 꼭 여론조작이라고 볼 순 없지만, 자신에게 불리한 여론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조사를 의뢰하지 않으면 그런 여론이 있는지 아무도 모르게 됩니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가 20%대로 떨어진 2005년 중반 이후 청와대는 관련 조사결과를 발표하지 않고 있습니다. 청와대가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를 스스로 발표하는 것도 좀 어색하지만, 지지도가 높으면 결과를 발표하고 지지도가 낮으면 발표하지 않습니다.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고 하면 그만입니다. 참고로 작년 연말엔 30%대 후반, 금년 5월 재보선 직전엔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가 50%를 넘었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비슷한 사례로 황우석 교수 대 MBC PD수첩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MBC PD수첩이 일방적으로 당하고 있을 때는 평소 여론조사를 심심치 않게 발표하던 MBC가 전혀 여론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황우석 신화가 무너진 지금은 거꾸로 황 교수를 영웅시하던 일부 언론에서 전혀 여론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무 책임 없는 인터넷 여론조사만 횡행하고 있을 뿐이죠.

여론조작은 주로 조사 실행 및 보도 단계에서

실질적인 여론조작은 조사실행 단계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가장 많습니다. 조사기관의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인 경우도 있지만, 실사(Fieldwork) 및 질문지 작성 과정에서 조사자 혹은 의뢰자의 의도가 담기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제 블로그 6월 9일자 ‘돌이킬 수 없는 여론, 고건 1위’, 12월 1일자 ‘과거사 정리 대신 안정이라고요’, 12월 16일자 ‘사학법 개정 찬성 유도하는 방법’, 한나라당 40%대 지지도를 다루고 있는 11월 3일자, 9일자, 26일자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 단계인 조사보도 및 활용 과정에서도 여론조작의 여지가 많습니다. 알고도 모른 척 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아예 모르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오차범위를 무시하고 조사결과 제목을 뽑는 보도가 대표적입니다. 12월 15일자 ‘이명박 시장 1위 아닙니다’를 참고하십시오. 국무총리 산하 광복60년 기념사업추진위의 11월 29일 조사결과를 ‘과거사 정리 대신 안정’이란 제목으로 보도한 언론은 결과적으로 여론조작을 한 셈입니다. 9월 20일자 ‘류근일 칼럼 79.4%의 오해’ 등 더 많은 사례가 있지만 이만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여론조사 전문기자가 여론조작을 말하는 것이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염려스럽습니다. 여론조작 사례를 소개하는 것도 조심스럽고요. 제도적 방지책을 마련해야 하지만 선뜻 나서는 곳이 없습니다. 그런 역할을 수행해야 할 단체나 기관이 없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당장은 여론조사와 여론조작을 구별하는 안목을 기를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론조작이 더욱 더 기승을 부릴 것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