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詩仙) 이백 贈內(증내 아내에게....)자 태백(太白). 호 청련거사(靑蓮居士).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이라 불린다. 1,100여 편의 작품이 현존한다. 그의 생애는 분명하지 못한 점이 많아, 생년을 비롯하여 상당한 부분이 추정에 의존하고 있다. 그의 집안은 간쑤성[甘肅省] 룽시현[짱西縣]에 살았으며, 아버지는 서역(西域)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쓰촨성[四川省]인 촉(蜀)나라의 장밍현[彰明縣]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남성적이고 용감한 것을 좋아한 그는 25세 때 촉나라를 떠나 양쯔강[揚子江]을 따라서 장난[江南] ·산둥[山東] ·산시[山西] 등지를 편력하며 한평생을 보냈다. 젊어서 도교(道敎)에 심취했던 그는 산중에서 지낸 적도 많았다. 그의 시의 환상성은 대부분 도교적 발상에 의한 것이며, 산중은 그의 시적 세계의 중요한 무대이기도 하였다. 안릉(安陵:湖南省) ·남릉(南陵:安徽省) 동로(東魯:山東省)의 땅에 체류한 적도 있으나, 가정에 정착한 적은 드물었다. 맹호연(孟浩然) ·원단구(元丹邱) ·두보 등 많은 시인과 교류하며, 그의 발자취는 중국 각지에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이다. 불우한 생애를 보내었으나 43세경 현종(玄宗)의 부름을 받아 창안[長安]에 들어가 환대를 받고, 한림공봉(翰林供奉)이 되었던 1, 2년이 그의 영광의 시기였다. 도사(道士) 오균(吳筠)의 천거로 궁정에 들어간 그는 자신의 정치적 포부의 실현을 기대하였으나, 한낱 궁정시인으로서 지위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의 《청평조사(淸平調詞)》 3수는 궁정시인으로서의 그가 현종 ·양귀비의 모란 향연에서 지은 시이다. 이것으로 그의 시명(詩名)은 장안을 떨쳤으나, 그의 분방한 성격은 결국 궁정 분위기와는 맞지 않았다. 이백은 그를 ‘적선인(謫仙人)’이라 평한 하지장(賀知章) 등과 술에 빠져 ‘술 속의 팔선(八仙)’으로 불렸고, 방약무인한 태도 때문에 현종의 총신 고력사(高力士)의 미움을 받아 마침내 궁정을 쫓겨나 창안을 떠났다. 창안을 떠난 그는 허난[河南]으로 향하여 뤄양[洛陽] ·카이펑[開封] 사이를 유력하고, 뤄양에서는 두보와, 카이펑에서는 고적(高適)과 지기지교를 맺었다. 두보와 석문(石門:陝西省)에서 헤어진 그는 산시[山西] ·허베이[河北]의 각지를 방랑하고, 더 남하하여 광릉(廣陵:현재의 揚州) ·금릉(金陵:南京)에서 노닐고, 다시 회계(會稽:紹興)를 찾았으며, 55세 때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났을 때는 쉬안청[宣城:安徽]에 있었다. 적군에 쫓긴 현종이 촉나라로 도망하고 그의 황자(皇子) 영왕(永王) 인(璘)이 거병, 동쪽으로 향하자 그의 막료로 발탁되었으나 새로 즉위한 황자 숙종과 대립하여 싸움에 패하였으므로 그도 심양(尋陽:江西省九江縣)의 옥중에 갇히었다. 뒤이어 야랑(夜郞:貴州)으로 유배되었으나 도중에서 곽자의(郭子義)에 의하여 구명, 사면되었다(59세). 그 후 그는 금릉 ·쉬안청 사이를 방랑하였으나 노쇠한 탓으로 당도(當塗:安徽)의 친척 이양빙(李陽氷)에게 몸을 의지하다가 그 곳에서 병사하였다. 이백의 생애는 방랑으로 시작하여 방랑으로 끝났다. 청소년 시절에는 독서와 검술에 정진하고, 때로는 유협(遊俠)의 무리들과 어울리기도 하였다. 쓰촨성 각지의 산천을 유력(遊歷)하기도 하였으며, 민산(岷山)에 숨어 선술(仙術)을 닦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방랑은 단순한 방랑이 아니고, 정신의 자유를 찾는 ‘대붕(大鵬)의 비상(飛翔)’이었다. 그의 본질은 세속을 높이 비상하는 대붕, 꿈과 정열에 사는 늠름한 로맨티시스트에 있었다. 또한 술에 취하여 강물 속의 달을 잡으려다가 익사하였다는 전설도 있다. 그에게도 현실 사회나 국가에 관한 강한 관심이 있고, 인생의 우수와 적막에 대한 절실한 응시가 있었다. 그러나 관심을 가지는 방식과 응시의 양태는 두보와는 크게 달랐다. 두보가 언제나 인간으로서 성실하게 살고 인간 속에 침잠하는 방향을 취한 데 대하여, 이백은 오히려 인간을 초월하고 인간의 자유를 비상하는 방향을 취하였다. 그는 인생의 고통이나 비수(悲愁)까지도 그것을 혼돈화(混沌化)하여, 그 곳으로부터 비상하려 하였다. 술이 그 혼돈화와 비상의 실천수단이었던 것은 말할것도 없다.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다.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다. 두보의 시가 퇴고를 극하는 데 대하여, 이백의 시는 흘러나오는 말이 바로 시가 되는 시풍(詩風)이다. 두보의 오언율시(五言律詩)에 대하여, 악부(樂府)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장기로 한다. ‘성당(盛唐)의 기상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의 이백은 한편으로 인간 ·시대 ·자기에 대한 커다란 기개 ·자부에 불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기개는 차츰 전제와 독재 아래의 부패 ·오탁의 현실에 젖어들어, 사는 기쁨에 정면으로 대하는 시인은 동시에 ‘만고(萬古)의 우수’를 언제나 마음속에 품지 않을 수 없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그의 시문집은 송대(宋代)에 편집된 것이며, 주석으로는 원대(元代) 소사빈(蕭士??)의 《분류보주 이태백시(分類補註李太白詩)》, 청대(淸代) 왕기(王琦)의 《이태백전집(李太白全集)》 등이 있다. 쓸쓸한밤에 읊을만한 시...... 玉壺繫靑絲 .옥호계청사 .술병에 청실을 매어 보냈거늘 沽酒來何遲 .고주래하지 .술 사오는 게 어찌 이리 더딜꼬 山花向我笑 .산화향아소 .산꽃이 나를 보고 자꾸만 웃으니 正好銜杯時 .정호함배시 .정말 한 잔 하기 참 좋은 때일세 晩酌淸風裏 .만작청풍리 .늦게사 잔 드는데 산들바람 불고 流鶯復在玆 .류앵복재자 .날아간 꾀꼬리 다시 와 노래하네 明月與醉客 .명월여취객 .밝은 달과 얼큰하게 취한 사람 今夕乃相宜 .금석내상의 .오늘 저녁은 사이도 좋네그려 舍人之江東(사인지강동) [절친한 친구와의 애타는 이별] 張翰江東去 . (나의 친구) 장한,그대가 강동으로 떠나 가다니! 正値秋風時 . 철 마저 가을(이라) 바람(또한) 싸늘 한 (이)때 天晴一雁遠 . 맑은 하늘(에는) (외로운)외기러기 멀리 날아가고 海闊孤帆遲 . 넓은바다에 외로운 돗단배(이별을 못해)못내 떠 있네 白日行欲暮 . 밝은 해는 (벌써)뒤엇 뉘엇 저물어가고 滄波杳難期 . 푸른 물결(은) 돌아올 기약(마저)아득하네 吳洲如見月 . (나의 친구 그대가)吳洲 땅에서 저 달 보거던 千里幸相思 . 천리 먼 곳(에 있는)이 몸, 생각 해 주오! 落花에 묻혀서....... 對 酒 不 覺 暝 . 대주불각명 . 술을 마시다보니 어느듯 날이 어둡고 落 花 盈 我 衣 . 낙화영아의 . 옷자락에 수북히 쌓인 낙화여! 醉 起 步 溪 月 . 취기보계월 . 취한 걸음, 시냇물의 달 밟고 돌아갈제 鳥 還 人 亦 稀 . 조환인역희 . 새도 사람도 없이 나 혼자로다. 靑天有月來幾時 (청천유월래기시) 하늘에 달이 떠 있기 몇몇 해던고, 我今停盃一問之 (아금정배일문지) 내 이제 술잔 들고 물어 보노라. 人攀明月不可得 (인반명월불가득) 사람이 달에는 오를 수 없으나, 明行却興人相隨 (명행각흥인상수) 달은 저절로 사람을 따라오네. 雲間月(운간월) 極目琉璃一璧寒 (극목유리일벽한) 半生雲外半雲間 (반생운외반운간) 況如西子新粧罷 (황여서자신장파) 嬌把輕紈掩玉顔 (교파경환엄옥안) 구름속의 달 한없이 맑은 유리알, 싸늘한 구슬 하나 구름 속에서 반은 내밀고 반은 숨었네 어여쁘게 새 단장 끝낸 서시와도 같고 교태로이 비단결 잡고 옥 같은 얼굴 가리네 採蓮曲(채련곡 : 연밥 따는 처녀) 若耶溪傍採蓮女 약야계방채련녀 笑隔荷花共人語 소격하화공인어 日照新粧水底明 일조신장수저명 風飄香袖空中擧 풍표향수공중거 岸上誰家遊冶郞 안상수가유야랑 三三五五映垂楊 삼삼오오영수양 紫류嘶入落花去 자류시입낙화거 見此躊躇空斷腸 견차주저공단장 약야계 주변에서 연밥 따는 아가씨는 연꽃 사이로 미소 머금고 벗과 속삭이는데 햇볕은 고운 얼굴을 물 밑까지 비추고 향기로운 소맷자락 바람에 휘날리니 뉘 집 젊은 공자들인지 연밭 기슭 수양버들 사이로 삼삼오오 어른거리다 날리는 꽃잎 속 말 울리며 사라지니 이를 보고 설레다 공연히 가슴만 아프다. 夏日山中 ( 하일산중 ) 懶搖白羽扇 ( 란요백우선 ) 裸袒靑林中 ( 라단청림중 ) 脫巾掛石壁 ( 탈건괘석벽 ) 露頂灑松風 ( 로정쇄송풍 ) 백우선 흔들기도 귀찮다 웃통 벗어 버리고 청림속으로 가자 건은 벗어 석벽 위에 걸어 두니 맨머리에 솔바람이 솔솔 뿌려지누나 獨坐敬亭山 ( 독좌경정산 ) 衆鳥高飛盡 ( 중조고비진 ) 孤雲獨去閒 ( 고운독거한 ) 相看兩不厭 ( 상간양불염 ) 只有敬亭山 ( 지유경정산 ) 새들은 하늘 높이 다 날아가고 구름 한점 한가로이 떠내려간다. 마주 보아도 서로 싫어하지 않나니 다만 경정산만 남아 있을 뿐 秋浦歌(추포가) - 李白 白髮三千丈(백발삼천장) 緣愁似箇長(연수사개장) 不知明鏡裏(부지명경리) 何處得秋霜(하처득추상) 흰 머리털이 삼천장이나 긴 것은, 근심으로 인하여 그와 같이 길어진 것이다. 알지 못하겠구나 밝은 거울속에 비친모습, 어느 곳에서 가을 서리 같은 흰 머리털을 얻어 왔는가? [해설] 이 시는 만년에 귀양에서 풀려난 이백이 추포(秋浦:안휘성 내)에 와서 거울을 보고 이미 늙어 버린 자기 모습에 놀라서 지은 연작(連作) 중 한 수이다. 이 유명한 '백발의 길이가 삼천 길'이란 표현은 중국 문학의 과장적 표현으로 널리 인용되는 문구인데 요즈음에는 '과장된 것을 비웃는 말'로 흔히 쓰이고 있다 月下獨酌(월하독작) 花間一壺酒 獨酌無相親 (화간일호주 독작무상친) 擧杯邀明月 對影成三人 (거배요명월 대영성삼인) 月旣不解飮 影徒隨我身 (월기불해음 영도수아신) 暫伴月將影 行樂須及春 (잠반월장영 행락수급춘) 我歌月徘徊 我舞影凌亂 (아가월배회 아무영능란) 醒時同交歡 醉後各分散 (성시동교환 취후각분산) 永結無情遊 相期邈雲漢 (영결무정유 상기막운한) 꽃 속에 술 한 병이 있어 친구도 없이 혼자 술을 마신다. 잔을 들어 밝을 달을 맞이하여 그림자를 대하니 셋이 되었네. 달은 원래 술을 마실 줄 모르고 그림자는 내 몸을 따라 다닌다. 달과 그림자를 잠시 벗하여 마땅히 이 봄을 즐겨보리라. 내가 노래하니 달은 노닐고 내가 춤추면 그림자도 어지러이 춤춘다. 깨어있을 때는 같이 기뻐하고 취한 후에는 각기 흩어진다. 시름없는 이 정을 길이 맺어 먼 은하수에서 만나기를 기약하노라. 산중문답(山中問答) 문여하사서벽산 (問余何事棲碧山) 왜 푸른 산중에 사느냐고 물어봐도 소이부답심자한 (笑而不答心自閑) 대답없이 빙그레 웃으니 마음이 한가롭다. 도화유수묘연거 (桃花流水杳然去) 복숭아꽃 흐르는 물따라 묘연히 떠나가니 별유천지비인간 (別有天地非人間) 인간세상이 아닌 별천지에 있다네. 山中與幽人對酌(산중여유인대작) - 이백 兩人對酌山花開 양인대작산화개 (둘이 마주 앉아 대작하니 산에는 꽃이 피었고) 一杯一杯復一杯 일배일배부일배 (한잔 한잔, 연거푸 다시 한잔) 我醉欲眠君且去 아취욕면군차거 (나는 취하여 졸리니 그대는 그만 가게) 明朝有意抱琴來 명조유의포금래 (내일 아침 술 생각 있으면 거문고 안고 오게.) 望廬山瀑布(망여산 폭포) 日 照 香 爐 生 紫 烟 한데 햇빛 받아 향로봉 붉은 구름 피어나고 遙 看 瀑 布 掛 前 川 이라 멀리 폭포는 산 앞 시내에 걸려 있네. 飛 流 直 下 三 千 尺 하니 날아 흘러 곧장 삼천 척을 떨어지니 疑 是 銀 河 落 九 天 가 아마도 은하수가 하늘에서 쏟아졌나. 玉階怨(옥계원) - 옥섬돌의 슬픔 玉階生白露 夜久侵羅襪 (옥계생백로 야구침라말) 却下水精簾 玲瓏望秋月 (각하수정렴 영롱망추월) 옥섬돌에 흰 이슬이 내리고 밤이 깊어 비단 버선에 스며든다. 방에 들어와 수정발을 내리고 영롱한 가을달을 바라다본다. **옥계란 대리석으로 만든 궁전의 계단을 말함. 형문부주망촉강(荊門浮舟望蜀江) 春水月峽來(춘수월협내) : 봄물에 월협에 와서 浮舟望安極(부주망안극) : 한없이 너른 물에 배 띄웠다 正是桃花流(정시도화류) : 바로 이것이 도화류이니 依然錦江色(의연금강색) : 금강의 물결은 의연하도다 江色綠且明(강색녹차명) : 강빛은 맑고도 밝은데 茫茫與天平(망망여천평) : 하늘처럼 평평하여 망망하다 ??巴山盡(위이파산진) : 꾸불꾸불 파산은 끝나고 搖曳楚雲行(요예초운항) : 흔들흔들 초 땅의 구름이 간다 雪照聚沙雁(설조취사안) : 백설은 쌓인 모래 위의 기러기 비추고 花飛出谷鶯(화비출곡앵) : 꽃들은 골짝기 벗어난 꾀꼬리에 난다 芳洲?已轉(방주각이전) : 방초우거진 섬에서 도리어 굽어 碧樹森森迎(벽수삼삼영) : 빽빽한 푸른 나무숲으로 들어간다 流目浦煙夕(유목포연석) : 눈들어 보니 포구에는 저녁연기 揚帆海月生(양범해월생) : 돛을 올리니 바닷달이 떠오른다 江陵識遙火(강능식요화) : 멀리 보이는 불빛으로 강릉임을 알았으니 應到渚宮城(응도저궁성) : 반드시 법궁성에 도달하게 되리라 三百六十日(삼백육십일) 삼백육십일을 日日醉如泥(일일취여니) 날마다 잔뜩 취해 있다오. 雖爲李白婦(수위이백부) 비록 이백의 아내가 되었지만 何異太常妻(하이태상처) 어찌 태상의 처와 다르겠소. * 醉如泥(취여니) : 술에 잔뜩 취하다. * 太常妻(태상처) : 태상의 처. 후한(後漢) 때 태상시(太常寺)의 장관으로 있던 주택(周澤)의 아내를 말한다. 태상시는 천자의 종묘를 관리하던 관청이었다. 당시 태상시의 장관이었던 주택은 1년 360일 중 359일을 날마다 재계를 하고 종묘에 나가 정무를 보았다. 가족들에게 소홀한 주택에게 화가 난 아내가 하소연을 하니, 주택은 재계를 방해했다는 죄목으로 아내를 고발해서 옥에 갇히게 만들었다고 한다. "불행한 여자"의 대명사처럼 쓰였다. 이 시는 이백이 26세로 결혼할 때 그 아내에게 준 시로 알려져 있다. 1년 360일을 날마다 술에 취해 사는 자신의 이야기를 마치 다른 사람의 이야기처럼 하고 있다. 작가는 이야기한다. "이백의 아내가 되었으니 이제 고생문이 훤하다."라고... 자신의 주벽(酒癖)을 간결하면서도 위트있게 표현하는 이백의 호방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시이다. 送友人(송우인. 친구를 보내며.....) 靑山橫北郭(청산횡북곽) 푸른 산은 북쪽 성곽을 가로지르고 白水?東城(백수요동성) 맑은 물은 동쪽 성을 둘렀구나. 此地一爲別(차지일위별) 이곳에서 한번 이별하게 되면 孤蓬萬里征(고봉만리정) 외로운 쑥 만리를 가겠구나. 浮雲游子意(부운유자의) 나그네의 뜻, 뜬구른 같아 정처가 없고 落日故人情(낙일고인정) 친구의 정, 지는 해 같아 잡을 수가 없구나. 揮手自玆去(휘수자자거) 손을 흔들며 이제 떠나가니 蕭蕭班馬鳴(소소반마명) 소소...... 말도 무리 떠나 슬피 운다. * 孤蓬(고봉) : 바람에 날리는 마른 쑥. * 浮雲游子意 落日故人情(부운유자의 낙일고인정) : 이는 도치된 구(句)이다. 곧 유자(游子)의 뜻은 부운(浮雲)과 비슷하고, 고인(故人)의 정은 낙일(落日)과 같다는 것이다. 이는 진후주(陳後主)의 악부시구(樂府詩句) "自君之出矣 塵網暗羅? 思君如落日 無有暫還時(그대가 떠나고부터, 티끌의 그물(속세)은 비단 장막을 어둡게 하는구나. 그대를 생각하면 지는 해와 같아, 잠시도 돌아올 때가 없구나)"를 답습하여 썼다. 이 양구(兩句)는, 나그네의 정의(情意)는 뜬구름과 같아서 정(定)한 곳을 가지기 어렵고, 친구간의 이별하는 정은 지는 해와 같아서 만류하기가 어렵다는 말이다. * 蕭蕭班馬鳴(소소반마명) : 소소(蕭蕭)는 말의 울음소리. 반마(班馬)는 무리를 떠난 말. 이 시는 벗을 멀리 떠나보내는 시이다. 먼저 떠나가는 지점을 지적해 내고, 이어서 미리 이별 후의 상상으로 연결시켰다. '孤蓬' '浮雲' '落日'은 비록 경(景)을 그렸지만, 또한 나그네의 심정을 은유하여 떠나는 사람이 멀리 가는 것은 지는 해와 같아서 붙잡을 수가 없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휘수일별(揮手一別)은 비록 떠나는 사람의 눈물은 말하지 않았지만, 도리어 무르릴 이별하는 말의 울음을 말하여 깊은 정이 이미 드러나게 하였다. 望天門山 천문산을 바라보며 天門中斷楚江開 천문산 허리 질러 초강이 흐르니 碧水東流至此廻 푸른 물 동으로 흘러 여기서 구비치네 兩岸靑山相對出 초강 양쪽 푸른 산 마주 우뚝 솟았는데 孤帆一片日邊來 을 편 배 한 척 하늘가에서 내려오네 * 천문산 : 중국 양자강 가에 있는 산. 박망산(博望山)과 양산(梁山)이 마주보고 문처럼 서 있기 때문에 함께 천문산이라고 부름. * 중단 : 가운데를 자름. 즉 박망산과 양산 사이로 양자강이 흐르고 있음을 말함. * 지차 : 여기에 이르러. 차는 천문산을 가리킴. * 초강 : 양자강. * 일변 : 해 주변, 하늘 가. 박망산과 양산 사이로 멀리 아득히 보이는 양자강 상류쪽은 하늘과 맞닿아 있고, 그쪽에서 범선 한 척이 물따라 흘러 내려오고 있음. |
출처 : 블로그 >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문보기]
'文學산책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허난설헌의 시와 그림 (0) | 2005.11.20 |
---|---|
[스크랩] 對 酒 ( 대 주 ) (0) | 2005.11.20 |
[스크랩] 시성(詩聖)두보(杜甫) (0) | 2005.11.20 |
[스크랩] 오늘도 가을빛이 저물면 (0) | 2005.11.19 |
[스크랩] 세상 속에서 만난 인연 (0) | 200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