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칼럼 The Column] 대한민국이 꿈을 잃었다
김영수 영남대 교수
입력 2021.02.16 03:20 | 수정 2021.02.16 03:20
123층의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서울의 야경. 한강이 서울을 가로질러 유유히 흐르고있다./박상훈 기자
전 세계 인구의 9.4%는 하루 1.9달러(약 2000원)로 산다. 작년 세계은행(World Bank)이 추산한 수치다. 코로나19 유행으로 형편이 더 나빠졌다. 인류의 빈곤은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하지만 현장을 직접 눈으로 보면 끔찍하고 슬프다. 아프리카 나라 콩고민주공화국은 지금 코로나19와 에볼라 감염에 떨고 있다. 여러 해 전 출장으로 들렀던 은질리 공항에서 수도 킨샤사로 가는 길거리는 온통 쓰레기로 덮여 있었다. 짓다 만 앙상한 콘크리트 건물 위로 철근이 을씨년스럽게 삐죽 솟아 있었고, 폐허 같은 건물 담벼락에 젊은이들이 줄 지어 기대 멍하니 하늘만 쳐다보았다. 너무 충격적이어서 현실 같지 않았다. 6·25전쟁 직후 딱 우리 모습이라고 동행자 한 분이 말했다.
모든 가난한 나라는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 바로 부패다. “가난한 나라는 자원이 없어서 가난한 게 아니라, 효과적인 정치 제도가 없어 가난하다.” 정치학자 프랜시스 후쿠야마가 ‘정치 질서의 기원’에서 밝힌 통찰이다. 우리도 다르지 않았다. 조선 헌종 때인 1845년부터 22년간 포교하다 순교한 다블뤼 주교가 파리 본부에 보낸 편지에서 “조선의 양반들은 평민에게 지독한 폭정을 가한다. 평민을 착취, 약탈, 불법 구금한다. 아무도 제지하지 못한다”고 썼다. 한국은 기적적으로 이 구덩이에서 벗어났다. 새 나라를 꿈꾸고 헌신한 사람들 때문이다.
1888년 박영효는 망명지 일본에서 고종에게 건백서(建白書)를 올렸다. 그는 백성의 고혈을 빨고 나라 재산을 도둑질하며, 뇌물을 공개적으로 주고받고 관직을 공개적으로 파는 행위 때문에 나라가 위기에 빠졌다고 개탄했다. 그리고 사람이 생명을 보존하고 자유를 구해 행복을 바라는 것은 천하의 통의(通義)로서 정부의 목적은 이것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갑오개혁으로 과거제가 폐지되자 스물한 살 이승만은 영어를 배우려고 배재학당에 입학했다. 그러나 의사이자 선교사인 에비슨에게 “기독교 국가에서 백성들이 통치자의 독재에 항거하여 자신을 지켜냈다는 이야기”를 듣고 정치적으로 개종했다. 이승만은 “이런 정치 원리를 알게 된 것만으로도 우리같이 짓밟혀 사는 백성들에겐 큰 복”이라고 생각했다. “민주 정부와 개인 자유라는 것들의 신기한 존재”는 그의 가슴에 불을 붙였다. 1899년 공화정부를 모의한 죄로 체포된 이승만은 사형선고를 받았다. 목에 칼을 쓰고 손발이 묶인 채 빨리 죽어 고통에서 벗어나기만 바랐다. 깜깜한 어둠 속, 배재학당 예배당에서 들은 설교가 떠올랐다. 그는 칼 위에 머리를 숙이고 기도했다. “오, 하느님. 내 영혼과 내 나라를 구해주소서.”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나라의 운명에 가슴을 치며 ‘독립정신’을 썼다. 자주독립과 입헌정치를 향한 간절한 꿈이 거기 다 들어있다.
1911년 동아시아를 여행한 영국의 페이비언사회주의자 비어트리스 웨브는 한국인을 “호모 사피엔스가 진화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비천한 척추동물”로 멸시했다. 하지만 1919년 3월 한국인은 척추가 바로 선 종족임을 입증했다. 양반, 상놈, 천대받는 기생까지 독립 만세를 외쳤다. 망국이 다 나의 책임이라고 고백한 민족적 고해성사였다. 한국인이 죽은 데서 살아난 날이었다.
이제 한국은 풍요와 자유가 넘치는 나라가 되었다. 한국이 이룬 기적을 말하면 이제는 진부한 이야기라고 한다. 하지만 그것은 놀랍게도 한국인에게만 그렇다. 가난한 인류에게 한국은 여전히 경이로운 대상이며, 그들도 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다. 2011년 이명박 대통령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했을 때, 멜레스 총리는 개발협력회의를 개최했다. 그는 온종일 자리에서 꼼짝도 않고 수첩에 까맣게 메모를 했고, 진심으로 한국의 성공 비결을 알고 싶어 했다. 한국인 참석자가 모두 감동했다. 에티오피아를 돕고 싶다는 마음이 가슴 깊은 곳에서 솟아올랐다. 그리고 고통 받는 인류를 위해 한국이 할 수 있고, 해야 할 소명이 있다는 것을 생생히 깨달았다.
그런 한국이 꿈을 잃었다. 날마다 분노와 안타까움, 탄식 소리를 듣는다. 우리의 지난 역사에 침을 뱉고, 위선으로 상식을 덮고, 공짜의 유혹으로 국민을 타락시키는 사람들 때문이다. 3·1절이 다가온다. 어떻게 만든 나라인가. 눈을 돌려 세계를 보자. 한국의 성공은 고통 받는 인류의 꿈이 되어야 한다. 그게 한국이 지닌 세계사적 의미이자 소명이라 믿는다.
'Free Opin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열·갈등이란 망령이 한국을 배회하는 이유 ┃ 한국인, 너는 누구인가 시즌2 - 19편 ┃ 함재봉·김용삼 (0) | 2021.02.21 |
---|---|
[이춘근의 국제정치 181회] 한국, 국가 멸망의 우를 범하지 말라 (前 주한미군사령관의 경고) (0) | 2021.02.20 |
이춘근TV✏️?[전쟁과 국제정치 12강] 전쟁의 원인: 전쟁과 철학 (0) | 2021.02.14 |
[성창경TV] 조국의 "검찰 보충수사권" 은 중국 공안제도 베낀 것 이라고 김웅의원 직격 (0) | 2021.02.14 |
권력은 칼날...세게 쥐고 휘두르다 스스로를 벤다 (0) | 2021.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