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와 손발 안 맞는 각종 특위
현실성 없는 안으로 혼선 초래
청와대, 증세 등 정면 대응하라
논란이 불거지자 청와대는 “기재부가 밝힌 입장이 청와대와 조율을 거친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고 보면 된다”고 진화에 나섰다. 특위는 어디까지나 자문기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물론 청와대 설명대로 특위의 역할은 주요 정책을 권고하는 것으로, 실제 정책의 입안과 실행은 주무 부처인 기재부의 몫이다. 그러나 현 정부 정책 결정에서 차지해 온 대통령 직속 기구의 위상을 생각하면 청와대의 설명은 쉬 납득이 어렵다. 김동연 부총리도 재정개혁특위의 권고안을 바탕으로 해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세제개편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혀온 바 있다.
대통령 직속 기구가 유명무실한 경우는 이번뿐만이 아니다. 교육부가 대입제도 개편 문제를 국가교육회의로 떠넘겼지만 교육회의 산하 대입개편특위는 “전형 비율 결정이 힘들다”고 버텼다. 일자리위원회 산하 ‘범정부 청년 일자리 대책 TF’, 청와대 내 ‘최저 임금 TF’ 등이 구성됐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찾기는 힘들다. ‘위원회 공화국’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노무현 정부의 전철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제구실 못 하는 직속 기구는 정리해야 한다.
차제에 청와대는 증세 같은 부담스러운 문제를 자문기구에 미룰 것이 아니라 정면으로 대응해야 한다. 현 정부는 복지 증대와 재정 역할 확대를 추진하면서도 국민 증세에 대해서는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증세 없는 복지가 가능하겠느냐는 질문이 쏟아지고 있지만 솔직한 답은 해 오지 않았다. 내실 없이 자문기구만 자꾸 만들면 책임 회피라는 비판을 피할 길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