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상을 보시는 많은 분들 중에는 한 조직의 리더도, 직장에 다니는 직장인도 있을 겁니다.
동기를 가지고 열심히 일하는 자신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또, 부하 직원들이 동기부여가 되어 자발적으로 열심히 일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지금까지 인간은 어떻게 동기부여가 되는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었습니다. 그중 가장 쉬운 방법으로 보수(인센티브)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돈' 굉장히 중요한 동기부여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상식이죠. 그런데 여러 심리학자에 의하면 꼭 그런 것만은 아니라고 합니다.
오히려 돈이 동기를 꺾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습니다.
미국에 매일 정원을 예쁘게 가꾸는 것이 취미인 한 할머니가 있었는데, 동네 꼬마들이 놀러 와서 정원을 망쳐 놓았습니다.
아이들에게 오지 말라고 해도 계속 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이들이 놀고 돌아가려고 하자 아이들을 불러서 노느냐고 힘들었다고 10달러씩 줬습니다.
아이들은 웬 떡이냐 싶어서 다음 날 또 놀러 왔습니다. 그날은 물론 매일 아이들에게 10달러씩 줬습니다. 동기부여가 확실히 됐겠죠?
며칠 후 돈이 없다며 아이들에게 5달러씩 줬습니다. 그랬더니 아이들은 표정이 시무룩해지면서 동기가 꺾이기 시작합니다.
또 며칠 후 돈이 없다며 아이들에게 1달러씩 줬습니다. 그랬더니 아이들은 표정이 시무룩해지면서 이렇게 얘기합니다.
"할머니 저희가 얼마나 바쁜데 겨우 1달러씩 받고 놀러 올 줄 아세요?"라며 더 이상 안 왔다는 일화입니다.
물론, 이건 재미있는 일화이긴 하지만, 처음엔 돈이 동기부여를 주는 거 같지만 기대에 못 미치면 동기를 확실히 꺾어 버리는 안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일화를 실제로 실험한 학자가 있습니다. 로체스터 대학의 에드워드 데시 심리학 박사는 이런 실험을 했습니다.
방 두 개를 만들어놓고 양쪽 방에서 퍼즐을 맞추게 합니다.
A 그룹은 퍼즐을 맞추는 사람들에게는 퍼즐을 완성할 때마다 돈을 주기로 했습니다.
B 그룹은 돈은 안 주고 그저 퍼즐이 두뇌 개발에 좋다며 맞추라고 했습니다.
어느 쪽이 열심히 빨리 맞췄을까요? 당연히 돈을 주는 그룹이 더 빨리 열심히 맞췄습니다.
그런데 한참 동안 하다가 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쉬는 시간 동안 맞추는 것에 대해서는 돈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충분히 쉬는 시간 동안 퍼즐 말고도 아주 재미있는 것들을 퍼즐 옆에 준비해놨습니다. TV, 잡지, 게임기 등등...
실험 카메라를 통해서 참가자들을 지켜보니 아주 재미있는 현상이 벌어졌습니다.
A 그룹 사람들은 쉬는 시간이 되니까 퍼즐을 멈추고 다른 것을 합니다. 게임도 하고 잡지도 보고 TV도 보고...
그런데 B 그룹 사람들은 점점 퍼즐의 재미에 빠져들면서 퍼즐에서 손을 떼지 않고 계속 맞췄습니다.
여기서 데시 박사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보수가 꼭 중요한 건 아닌 것 같다. 결국 이 사람들이 재미를 느끼고 열심히 하면서 동기를 부여하는 것 같다."
이 얘기를 들으면 많은 분들이 의아해합니다. '동기부여를 위해서 돈을 안 받아야 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만 해야 하는 것인가?'
물론 그럴 순 없죠. 외적 보상이 중요하긴 합니다.
여기서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내용은 외적 보상도 중요하지만 그것만큼 중요한 게 또 있다는 것입니다. 그건 바로 내적 동기입니다.
이 내적 동기가 충분히 부여되었을 때, 그 상태에서 외적 보상도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이 내적 보상을 어떻게 줄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한 결과 세 가지의 요소를 말합니다.
첫 번째는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 두 번째는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 세 번째는 관계성을 좋게 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 중에서 자율성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내적 보상을 줄 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만큼 중요한 게 없습니다. 자율성 부여는 어떻게 할까요?
바로, 내가 그를 신뢰하는 것입니다. 내가 그 사람을 신뢰해주고 믿어주고 인정해주는 자세를 보여줄 때 그때야 비로소 내적으로 보상이 된다는 것이죠.
그것 때문에 열심히 일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된다는 것이죠.
서로 확실하게 인정해주고 신뢰해주고 믿고 맡길 수 있는 그런 조직이 된다면 충분히 동기부여된 조직으로서 더 발전해 나갈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서로 믿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