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對北 관련 자료

北 225국, 대기업 S사 전산망 1년간 해킹…"IT기업 우회로 삼아 국가전산망 장악 기도"/ 조선일보

鶴山 徐 仁 2013. 10. 16. 18:15

北 225국, 대기업 S사 전산망 1년간 해킹…"IT기업 우회로 삼아 국가전산망 장악 기도"

  • 조선닷컴
  •  

     

    입력 : 2013.10.16 14:00 | 수정 : 2013.10.16 15:20

     

    북한의 대남 공작부서인 225국(구 대외연락부)이 중국에서 국내 대기업 S사 현지법인 직원을 포섭, 지난 1년동안 S사 전산망에 200여 차례나 접속하는 등 ‘사이버 침투’를 시도한 사실이 밝혀졌다고 문화일보가 16일 보도했다.

    북한 공작조직이 직접 대기업 전산망에 접속한 사실이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이 다양한 방식으로 국내 굴지의 대기업 전산망에까지 침투할 수 있을 정도로 고도화·전문화됐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 “북한 공작조직이 사실상 S사 본사 전산망 점거”

    보도에 따르면 국가정보원과 검찰은 북한 225국이 중국에 위장무역업체 ‘북성무역’을 설립해 우리나라 대기업 전산망에 1년 이상 ‘사이버 침투’를 시도했다고 밝혔다.

    검찰 조사결과, 북한 225국 소속 공작원이자 북성무역 대표인 채모씨가 S사 중국 현지 법인 직원 위모(여) 씨를 포섭, 그로부터 S사 본사 및 지사 전산망에 접속할 수 있는 SVPN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통째로 넘겨 받았다. 북한 공작조직은 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지난 1년 동안 200여 회나 S사 본사 전산망에 접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 관계자는 “북한 공작조직이 사실상 S사의 본사 전산망을 점거했던 상황”이라고 밝혔다.

    국정원과 검찰은 또 위씨가 업무용 PC의 외부 상시 반출입 권한을 회사로부터 부여받고, PC를 상시적으로 북한 공작원 채씨에게 넘긴 사실도 밝혀냈다. 검찰 관계자는 “위씨가 자신의 PC에 보관 중인 비밀 자료 수백 건도 북한 공작조직에 넘긴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S사는 청와대와 국방부의 민감한 정보체계를 만든 소프트웨어 업체여서 북한이 최종적으로 정부 전산망 침투를 노린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수사당국은 이번 사이버 침투가 북한 공작 조직원이 대기업 현지인을 포섭해 국가 및 산업 기밀을 빼돌리고 본사 전산망까지 침투한 최초의 사건이라고 밝혔다.

    수사당국은 위씨 부부에 관한 범죄 자료를 중국 공안에 넘겨 공조 수사를 벌일 방침이다.

    ◆北, 南 IT 핵심기업 ‘우회로’삼아 국가전산망 장악 기도

    국가정보원과 검찰이 16일 적발한 ‘북한 공작조직의 대기업 전산망 침투사건’은 북한이 해외 현지 법인을 통해 정부에 전산체계를 제공하는 정보기술(IT) 민간기업에 침투, 남측 국가전산망에 접근하는 ‘우회로’를 확보하는 고도로 지능화된 방식이라고 문화일보는 전했다.

    이번에 북한의 사이버 침투 대상이 된 대기업 S사는 정부에 각종 전산망 서비스를 해온 국내 IT 서비스업계의 최대 기업이다.

    S사는 상당수의 정부전산망 구축·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북한이 전력·통신·수도·금융 등 국가기간시설 전산망을 일시에 공격하는 ‘사이버 테러’를 감행할 수 있는 ‘통로’로 악용되면서 위험천만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국정원 등은 다른 대기업 전산망도 북한 사이버전의 표적이 됐을 수 있다고 판단, 대대적인 점검과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 공작조직이 이런 기업의 내부정보망에 접근한다는 것은 단순히 기업의 정보유출에 국한되는 게 아니라 국가기간망까지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굳이 S사 전산망을 표적으로 삼은 데 주목하고 있다. 정부기관에 대한 단순한 사이버공격·해킹을 넘어서 민간기업·개인에까지 무차별적 침투를 통해 남한사회 전반을 흔들려는 시도로 풀이될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이번에 북한이 S사 전산망에 침투하면서 해외지사 현지 직원을 활용한 수법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IT 기업 상당수가 인건비 문제 등으로 중국행을 택하면서 현지직원 고용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런 사업 관행이 역으로 국내 사이버보안에는 ‘독’으로 돌아온 형국이 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