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의 軍史世界
총통의 소방수 [ 2 ]
조약에서 살아남은 자
발터 모델은 1891년 1월 24일 독일 Saxony-Anhalt 의 Genthin 라는 소도시에서 교사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어려서부터 군인을 동경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군인의 길을 꿈꾸던 그는 18살이 되던 해 사병으로 자원입대를 하였는데, 사병 시절부터 뛰어난 자질을 보여 장교후보로 발탁되었고 이듬해 중위로 임명됨으로써 본격적인 직업군인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 제1차 대전이 발발하자 징집되는 동원 자원들의 모습 ]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소대장으로 참전하여 서부전선에서 복무를 하였는데 1915년 철십자 훈장 1급 기장 Iron Cross 1st Class 을 수여 받았던 것으로 보아 훌륭한 전공을 세웠던 것으로 짐작됩니다. 또한 그는 중대장이던 1917년 심각한 부상을 입는 위기를 당하기도 하였을 만큼 최전선에서 전쟁을 직접 경험하였습니다.
[ 모델은 지옥의 서부전선을 경험하였습니다 ]
종전 후 패전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에 의거 군비보유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병력은 총수에서 10만 명 이하여야 하고 장교는 4,000 명으로 제한하라는 규정이 있었습니다. 때문에 수많은 직업군인들이 타의에 의해 군복을 벗을 수밖에 없었는데 이러한 제한은 오히려 이후 독일군이 정예화 되는 이유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 종전 직후 연합군 감시단의 사찰을 받는 독일군의 모습 전쟁터에서 살아남은 행운이 있었지만 대부분이 군무를 박탈당합니다 ]
상대적으로 참전 경험도 풍부하고 자질이 뛰어난 장교들과 하사관들만이 선별되어 군에 남게 되는데 이들은 히틀러가 집권하여 독일의 재군비를 추진 할 무렵 부대의 핵심 기간요원들이 되면서 급격히 팽창한 독일군의 중추를 담당하는 역할을 맞았기 때문입니다. 모델도 이때 살아남은 군인으로 제1차 대전 후에도 군대에 남아 여러 보직을 거치면서 그 실력을 닦아왔습니다.
[ 나찌가 재군비를 선언하자 독일군은 급팽창하기 시작합니다 ]
그는 1934년 제2연대장을 거치는 등 야전부대의 지휘관으로써의 경험도 쌓았지만 제8관구 참모장을 거쳐 1938년 소장으로 승진하여 제4군단 참모장을 담당하여 주로 브레인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그것은 그의 세심한 성격에 잘 어울리는 보직이기는 하였지만 이후 지휘관이 되었을 때 세세한 작전까지 관여하여 그를 보좌한 참모들로부터는 오히려 평판이 좋지 않는 이유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 마치 독일군의 표본 같은 냉정한 모습의 모델 ]
* 프로이센 군대의 전통을 많이 승계한 독일군은 다른 나라에 비해 참모제도가 잘 발달되어 지휘부의 의사결정과 실행에 있어 기민함을 보인 뛰어난 군대였지만, 참모 생활을 오래 한사람이 지휘관이 되었을 경우는 부대 지휘의 세세한 부분까지 모두 간섭하려는 부작용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제1차 대전 말기의 루덴돌프가 대표적이었고 모델도 그런 경우였습니다.
[ 독일 참모의 전형으로 전쟁 말기에 실질적인 최고 통수권자까지 올랐던 루덴돌프 ]
그는 제1차대전의 참전 경험도 있었고 베르사유 체제의 굴욕도 몸소 겪었기 때문에 독일 국민의 자긍심을 고양하여 정권을 잡은 히틀러에게 열렬한 성원을 보내었습니다. 기록을 살펴보면 그가 나찌당에 가입하였는지의 정확한 여부가 불분명하지만 히틀러에 대한 지지가 강고하였다는 데에는 대부분 일치하고 있습니다.
[ 히틀러와 면담하는 모델 ]
또한 이러한 충성도는 마지막까지 그가 독일군의 최고 지휘관으로 활동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단지 충성심을 보여주고자 엉뚱한 작전을 실행하거나 권력 주변부에 남아 사탕발림이나 하면서 시간이나 보내는 행동은 하지 않았고 자신의 부하들을 보호하고 배려하는 작전을 주로 펼쳐 참모진들의 불만과는 달리 부대원들로부터 평판은 좋았다고 전해집니다. ( 계속 ) [ august 의 軍史世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