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비교. 통계자료

25년간 초등교 3곳중 1곳 문 닫아

鶴山 徐 仁 2007. 12. 14. 08:27

 

지난 25년 동안 초등학교 3개 중 1개가 문을 닫은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전국의 초등학교는 1982년 9174개에 달했으나, 올 3월 현재 6246개교로 31.9%(2928개교) 감소했다. 폐교된 초교 2928개교는 전국적으로 문을 닫은 초·중·고교 3016개의 97%에 해당한다. 이같은 초교 폐교사태는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현상 및 농촌 공동화에 따른 것으로,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지역별 폐교현황을 보면 ▲전남 593개교 ▲경북 558개교 ▲경남 490개교 ▲강원 388개교 ▲전북 309개교 ▲충남 235개교 ▲충북 214개교 ▲경기 101개교 ▲인천 42개교 ▲대구 25개교 ▲울산 21개교 ▲대전 7개교 ▲광주 6개교 ▲부산 5개교 ▲서울 1개교 등이다.

특히 전북·경북 등 군지역은 향후 10년간 초등생 수가 5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폐교사태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 도시지역도 공동화 현상과 출산율 저하 등으로 폐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획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600여개 학교를 통폐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폐교여부는 지방 교육청과 지역주민들이 협의해 결정하게 된다.”면서 “앞으로도 인구감소 등에 따라 폐교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현재 3016개 폐교 시설 대부분은 민간에 매각 또는 임대돼 활용되고 559개교는 재활용처를 찾지 못해 방치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미활용 폐교를 주민복지·문화시설 등 공공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기사일자 : 2007-12-13    8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