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아이에게 ‘콩글리시’ 가르치기

鶴山 徐 仁 2007. 11. 19. 17:09
조선닷컴에 가입하신 현명한 사람(Wise People) 회원님께 드리는 '와플레터(WapleLetter)' 서비스 입니다

  • 아이에게 ‘콩글리시’ 가르치기    

       


  • 미국에서 1년간 연수를 마치고 최근 귀국한 뒤 아이가 다닐 동네 영어 학원을 물색했다. 아이는 초등학교 2학년인 지난해 이맘때쯤 미국에 갔으며 영어 공부를 꽤 열심히 했다. 1년이 지났을 즈음에는 ‘해리 포터’ 같은 영화를 자막 없이 보고, 미국 아이들과 전화로 20~30분씩 수다를 떨 수 있게 됐다.

    돌아온 동네에서 비교적 평판이 좋은 학원을 방문했다. 친절한 학원 여선생은 아이의 실력을 측정해야 한다면서 시험지와 OMR카드 답안지를 내밀었다. 그림을 본 뒤 적절하게 영어로 묘사한 문장을 고르거나 읽어주는 영어 문장을 들은 뒤 ‘다음 중 옳은(혹은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따위의 문제에 답하는 테스트였다. 토익(TOEIC)과 비슷했다.

    아이는 이날 태어나서 처음 OMR카드라는 것을 봤다. 그리고 ‘옳지 않은 것을 고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헷갈려 했다. 여선생은 곧 녹음기를 틀어놓고 방을 비웠다. 아빠가 같이 있어도 좋다고 하기에 아이가 OMR카드에 어설프게 색칠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아이는 당황한 표정이 역력했다. 2번 문제부터 곧바로 답을 밀려 색칠하기 시작했다. 보다 못해 바로잡아 주었다.

    시험을 끝낸 아이에게 “잘 알아들었니?” 하고 물었더니 “거의 다 알아들을 수 있었어. 하지만 색칠은 잘 못했어”라고 했다. 시험 성적을 보니 100점 만점에 60점 정도가 나와 있었다. 만약 2번부터 밀려 쓴 답을 내버려 뒀다면 0점 가까운 점수를 받았을 것이다.

    여자 선생님은 “아이에게 다른 종류의 공부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녀는 “한국에서 영어를 배우려면 어떤 학원을 가든 이런 식의 배정시험을 쳐야 하며, 지금 같으면 계속 낮은 레벨을 배정받게 될 것”이라고 일러줬다. OMR카드를 정확하고 빠르게 칠하는 테크닉, 문법문제의 함정을 재빨리 알아채는 능력 등이 실력을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잣대라는 얘기였다. 그렇다면 아이에게 필요한 것은 잉글리시가 아니라 콩글리시, 즉 한국식 ‘수험 영어’가 되는 셈이었다.

    아이가 미국에서 다니던 학원의 영어 선생은 처음에 아이 실력을 알아보려고 “이름이 뭐니” “학교는 재미있니” 등의 질문을 했다. 유일한 테스트는 1부터 20까지를 영어로 말해보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 선생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지금 나이는 자연스러운 듣고 말하기를 통해 저절로 언어를 배우는 시기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문법과 작문 등은 듣기와 말하기를 우선 익힌 후에 해도 된다”고 했다.

    우리는 단 한마디의 영어도 하지 못하는 토익, 토플 고득점자를 주변에서 많이 본다. 토익 만점짜리 신입사원이 외국에서 걸려온 전화 한 통을 못 받아 쩔쩔매는 모습을 본 뒤 속았다고 한탄했다는 회사 임원들의 이야기도 들었다. 문법문제는 귀신같이 풀지만 말은 한마디도 못하는 ‘콩글리시의 제왕’들이 주변에 널려 있다.

    이런 건 다 옛날식 교육 탓이고 요즘 한국 아이들은 ‘진짜 영어’를 배우고 있을 것이라고 믿었는데, 착각이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모든 능력을 점수로 환산해야 직성이 풀리는 한국식 풍토에서 살아 남기 위해 아이는 우선 ‘콩글리시 테크닉’ ‘정확하게 찍는 법’부터 익혀야 했다. 이런 훈련을 받은 아이들이 진짜 영어를 써야 할 때 어떤 모습을 보일지, 혹시 지금의 우리 세대처럼 제대로 말도 못하고 헤매는 건 아닐지, 문득 갑갑해졌다.


                                                                            김동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