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대학들 ‘해외학위 검증’ 의지가 없다.

鶴山 徐 仁 2007. 8. 20. 08:42

 

가짜 해외 학위 논란에 휩싸인 국내 대학들이 주장해 온 ‘해외 학위는 검증이 힘들다.’는 말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2003년부터 미국 유명 대학에서 학위·논문 검색 업무를 맡으며 미국내 대학간 학위 조회에도 참여해온 A(38)씨는 19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대부분의 미국 대학들은 인터넷을 통한 학위 검증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간단한 인터넷 웹사이트 조회만으로도 학사와 석·박사 학위의 진위를 파악할 수 있다.”면서 “검증이 힘든 것이 아니라 검증을 시도해 보려는 노력이 없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미국 뉴욕에 살고 있는 A씨는 1999년 국내 대학에서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대학원을 졸업한 뒤 대학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미국내 3000여개 학위 검증 가능

미국 비인가 대학 학위 등으로 석·박사 과정에 입학시키거나 가짜 학위를 검증하지 않은 채 대학 교수로 임용한 대학들은 검증 의지가 없었다는 게 A씨의 주장이다.

A씨에 따르면 미국의 비영리 기관인 ‘내셔널 스튜던트 클리어링하우스(National Student Clearinghouse)’는 인터넷 웹사이트(www.nslc.org)를 통해 미국 내 여러 대학의 위임을 받아 졸업생들의 학위를 확인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관과 협약을 맺은 대학은 소규모 단과대부터 프린스턴 대학, 스탠퍼드 대학 등 유명 대학까지 총 3000여개가 넘는다.A씨는 “이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하고 소액을 지불하면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조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 단체와 협약을 맺지 않은 대학들 역시 대학 기록실 홈페이지를 통해 자체적인 ‘학위 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가 졸업했다고 주장한 예일대 등 일부 대학들은 자체 검색 시스템 갖추고 있고, 졸업생들의 동의 없이도 학위 및 논문은 정보 공개가 가능하다.

시스템도 모르는 말뿐인 국제화

가짜 학위 파동 이후에도 각 대학은 팩스와 이메일 또는 우편 등을 통해 학위 확인 절차를 밟고 있다. 또 일부 대학들은 교직원을 직접 해외 대학에 보내 확인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그러나 미국 현지 관계자들은 이같은 대학 측의 대책에 대해 해외 학위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없는 ‘무지의 발로’라고 입을 모은다.

뉴욕에서 도서관학을 전공한 이정준(40)씨는 “대학들이 힘들여서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도 없이 내셔널 스튜던트클리어링 하우스, 대학 기록실 등을 활용하거나 학위를 수여한 대학의 인가 여부만 확인하면 쉽게 검증할 수 있다.”면서 “가짜 학위 사태 이후 일부 대학이 비싼 돈을 주고 전문 업체에 의뢰하고 있다는데 시스템을 활용하면 될 간단한 사항을 의뢰하는 것 자체가 무지 때문에 나온 쓸데없는 비용”이라고 지적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기사일자 : 2007-08-20    1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