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비교. 통계자료

‘아름다운 제주’ 사라지나

鶴山 徐 仁 2007. 7. 11. 22:14

“아열대 기후로 변해 금세기 말에는 아름다운 제주를 잃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한라산 국립공원 중턱 북서부 지역은 세계적인 구상나무 천연보호림이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구상나무들이 산기슭에 살던 온대성 식물인 소나무들에게 삶의 터전을 내주면서 앙상하게 말라죽고 있다. 한대성 고산 식물들이 자라야 할 땅에 온대성 식물이 북상하면서 서식지가 파괴된 대표적인 현장이다.

지구 온난화로 제주도 자연 생태계 이곳 저곳에 빨간불이 켜졌다.

11일 환경부에 따르면 제주도 연평균 기온은 1924년부터 2004년까지 81년 동안 1.6도 상승했다. 지난 30년간 겨울은 24일이나 줄어들었다.2004년 8월 서귀포 주민들은 27일간 이어진 열대야로 잠을 설쳤다.

비오는 날은 줄어든 대신 호우(80㎜)는 크게 늘었다. 기온 상승으로 해수면 높이도 지난 30여년간 22㎝ 상승했다. 기온 상승과 강수량 변화는 식생대 변화로 이어졌다. 제주 한라산 조릿대(산죽)는 20여년 전 해발 600∼1400m에서 자생했으나 지금은 거의 정상까지 북상, 한대성 고산식물인 시로미를 밀어내고 있다.

온대성 식물인 참억새도 1400∼1700m까지 올라와 한대성 식물인 검의털ㆍ검정겨이삭 자리를 파고들고 있다. 금세기 말에는 백록담 정상 부근 철쭉도 모두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

식생 변화는 곧 곤충과 동물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열대성 식물이 늘어나면 동물의 생활상도 변하게 마련이다. 아열대 어류와 철새도 증가했다. 난대성 고기가 자주 잡히는 반면 바다 밑이 석회조류로 덮이면서 소라, 성게, 전복은 크게 감소했다.

제주 류찬희기자 chani@seoul.co.kr

기사일자 : 2007-07-12    2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