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균등할당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교육부의 고등교육 전략적 발전방안 보고회를 겸해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4년제 대학 124곳,전문대 10곳,산업대 11곳,교대 7곳 등 모두 152개교 총장들이 참석했다.
이날 교육부가 보고한 ‘기회균등할당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찬반 의견이 분분했다.박철 한국외대 총장은 “국민 어느 한 사람도 교육균등의 기회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기회균등할당제 도입을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박 총장은 “서울 소재 고교에서 상대적으로 우월한 교육을 받은 학생과 낙후된 지역 학생이 수능에서 동일 등급을 받았다면 잠재력 측면에선 낙후지역 학생이 더 우수하다고 생각한다.”며 “지방이라는 핸디캡 때문에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면 우리 사회는 그만큼 훌륭한 인재를 잃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장무 서울대 총장은 “서울대의 경우 이미 지역균형선발 등으로 소외계층 등 다양한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지만 학생들의 성적이 정시모집 합격자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따라서 이 제도를 급격히 실시하기보다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영산대 부구욱 총장은 “이미 고교 졸업생의 대학 진학률이 82%에 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회균등할당제 도입은 신중하게 검토돼야 한다.”며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
부 총장은 “무엇보다 기회균등할당제 인원을 정원 외로 한 것이 문제다.정원 외 모집이면 학생들은 세칭 일류대로만 지원한다.”며 “정원 외인 농어촌 특별전형을 만들 때도 학생들이 농어촌 대학에 지원하길 기대했지만 오히려 대도시 대학으로 집중되는 결과를 낳지 않았느냐.”고 지적했다.
최근 가장 큰 이슈였던 학생부 반영방법,대학 재정지원 확충 등과 관련한 총장들의 제안도 잇따랐다.박철 한국외대 총장은 “몇몇 대학 입학처장들이 사적으로 논의한 내용이 마치 전체 대학의 입장인 양 확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일부 사립대의 학생부 무력화 시도가 대학 전체의 입장으로 해석되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연세대 정창영 총장은 “턱없이 부족한 정부지원,미흡한 기부문화 등으로 대학은 등록금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며 “100만원 이하 소액기부에 대한 세액공제를 확대하고 대학이 교육연구시설을 지을 때 공사비 10%를 매입세로 내야 하는 규제 등을 완화해 달라.”고 건의했다.
순천향대 서교일 총장은 “과거에는 지방대학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았는데 지금은 ‘누리사업’ 하나로 통합돼 어려워졌다.대학들의 자발적 변화 노력에 인센티브를 주고 좀더 격려하는 형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