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결과 파악된 부동층 규모는 36.3%다. 지난해 연말 19.7%에서 16.7%포인트 상승했다.
|
지난해 연말대비 권역별 부동층 변화추이를 보면 <표 참조> 범여권의 핵심 지지기반인 대전·충청(49.9%-24.7%)과 광주·전라지역(47.6%-24.3%)에서 상승세가 가장 높았다. 각각 25.2%·23.3%포인트에 이른다. 향후 여권의 정계개편 향배에 따라 호남 표심의 ‘전략적 선택’을 가늠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반면, 강원과 부산·경남지역은 각각 7.1%·8.5%포인트 상승하는데 그쳤다.
종합적으로 50대 이상의 고연령층과 중산층, 서울지역, 여성 등의 영역에서 부동층 증가세가 전국 평균치인 16.7%보다 높았다.
이같은 결과는 고건 전 총리의 대선 불출마 선언과 두 유력 후보간의 네거티브성 검증 공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과거 고 전 총리를 지지했다가 최근 지지후보를 변경한 사람들의 규모가 다른 지지후보 변경자들보다 부동층 규모가 가장 큰 23.5%에 이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지난해 연말조사에서 열린우리당 정동영·김근태 전 의장의 지지율은 각각 1.5%,0.8%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각각 2.0%,1.0%로 거의 변동이 없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상대방 흠집내기식 검증공방으로 유권자들이 두 후보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거나 또는 지지를 유보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향후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의 공방이 치열해질수록 부동층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정리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