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精神修養 마당

[스크랩] 공자의 후회

鶴山 徐 仁 2006. 12. 10. 10:48

 

공자의 후회



공자가 제자들과 채(蔡)나라로 갈 때의 이야기이다.

도중에 양식이 다하여 채소만 먹으며 일주일을 버텼다.

그들은 모두 기진맥진한 상태가 되었다.

공자도 힘이 없어 잠시 잠이 들었다.

공자가 아끼는 제자 중에

안회(顔回)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어디선가 쌀을 조금 얻어왔다.

그는 빨리 밥을 지어 선생님께 드리고 싶었다.

밥이 익어갔다. 그때 공자도 잠을 깼는데

마침 밥냄새가 코끝에 스쳤다.

공자는 웬일인가 하여 부엌을 들여다 보았다.

마침 안회는 솥뚜껑을 열고 있다가

밥을 한 움큼 꺼내어 자기 입에 넣는 중이었다.

공자는 생각했다.

‘안회는 평시에 내가 밥을 다 먹은 후에야

자기도 먹었고 내가 먹지 않은 음식이면

수저도 대지 않았는데 이것이 웬일일까?

평시의 모습이 거짓이었을까? 다시 가르쳐야 되겠구나.’

그때 안회가 밥상을 차려 공자에게 가지고 왔다.

공자가 어떻게 안회를 가르칠까 생각하다가

기지를 발휘하여 이렇게 말했다.

“안회야, 내가 방금 꿈속에서 선친을 뵈었는데

밥이 되거든 먼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라고 하시더구나.”

공자는, 제사 음식이야말로 깨끗해야하며

누구도 미리 손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안회도 알기 때문에 그가 먼저 먹은 것을

뉘우치리라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안회의 대답은 달랐다.

“선생님, 이 밥으로는 제사를 지낼 수 없습니다.”

공자가 놀라서 물었다. “왜 그런가?”

“이 밥은 깨끗하지 않습니다.

제가 조금 전 뚜껑을 열었을 때

천장의 먼지가 내려앉았습니다.

선생님께 드리자니 어렵고 그렇다고

밥을 버리자니 너무 아까워서 제가

그 부분을 덜어 내어 먹었습니다.”

공자는 이 말을 듣고 안회를 의심한 것이 부끄러웠다.

공자는 곧 제자들을 모아놓고 말했다.

“예전에 나는 나의 눈을 믿었다.

그러나 나의 눈도 완전히 믿을 것이 못 되는구나.

예전에 나는 나의 머리를 믿었다.

그러나 나의 머리도 완전히 믿을 것이 못 되는구나.

너희들은 알아두거라.

한 사람을 진정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사람의 눈과 머리는 너무 믿을 것이 못된다.

그러므로 이에 따라 함부로 다른 사람을

단정해서는 안 된다.

사람을 판단하는 일에 관한 한 성인

공자도 자기의 눈과 머리를 믿지 않았다.

독선과 오해는 자신의 눈과 머리를 너무 믿는 데서 생긴다.

 

마치 No씨처럼~~~


 

< 출처 : 원정연의 여씨춘추 인터넷에서 >

출처 : 경대사대 부중고1215회 재경동기회
글쓴이 : 카페지기(여정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