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이기론 [理氣論]

鶴山 徐 仁 2006. 12. 6. 19:39
성리학(性理學)에서 이()와 기()의 개념으로
자연·인간·사회의 존재와 운동을 설명하는 기본 이론체계.
 
 
이기론의 성립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기의 개념을 사용하여 사물의 존재와 운동을 설명했다.
 
기라는 포괄적 개념이나 음양(陰陽오행(五行)이라는 좀더 구체적인 개념으로
사물의 발생과 변화를 설명하고, 다양한 사물을 분류·체계화했다.
 
송대(宋代)에 성리학이 성립하면서
이 개념이 이러한 설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이와 기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이기론이 확립되었다.
원래 중국철학에서 이의 개념은 불교적인 것이었는데,
 
특히 화엄(華嚴)사상의 사법계관(四法界觀)에서는 현상계를 가리키는 개념인 사()
본체계를 가리키는 개념인 이의 상호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성리학의 이기론은 이 사법계관을 유교의 관점에서 흡수하여 재구성한 것이며,
그런 점에서 이기론의 성립에는 화엄사상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엄사상에서의 이와
성리학에서의 이는 그 내용에 큰 차이가 있었다.
 
화엄사상에서의 이는 불교의 특징적인 세계관인 공관(空觀)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었으며,
따라서 이의 내용은 공(()였다.
 
이에 반해 성리학에서의 이는 자연과 사회의 계층적인 질서를
근본적 실재로 파악함으로써 불교의 공관과는 대립하는 것이었다.
 
유교적인 관점에서 이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와 기를 결합한 이론체계를 세우기 시작한 인물로는 (周敦)를 들 수 있다.
 
물론 그 자신은 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그의 〈태극도설 太極圖說〉에 보이는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이라는 개념과
우주생성론이 후대에 이기론을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성리학에서 이라는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기론을 체계화한 사람은 이정자(二程子)이다.
 
정호(程顥) '천리'(天理)라는 개념을 통해 한편에서는 이가 자연법칙을 가리키는 것이며,
또 한편에서는 정치적 질서 및 윤리도덕을 가리키는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정이( ) '이일분수'(理一分數), '성즉리'(性卽理) 등의 명제를 통해
이기론적 세계관의 기본틀을 확립했다.
 
주희(朱熹)는 이러한 철학적 성과를 계승하는 한편 장재(張載)의 기()철학과
인성론(人性論)을 재해석하여 이기론에 바탕을 둔 성리학의 이론체계를 완성했다.
 
 
이기론의 구조
 
성리학은 자연·인간·사회의 존재와 운동을
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에 의해 우주 만물이 생성·소멸하며,
그런 점에서 기는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그런데 기는 맑음과 흐림, 무거움과 가벼움 등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기로써 구성되는 우주 만물은 차별성과 등급성을 갖게 된다.
 
한편 이()는 만물 생성의 근원이 되는
정신적 실재로서 기의 존재 근거이며,
 
동시에 만물에 내재하는 원리로서의
기의 운동법칙이 되기도 한다.
 
이일설에 따르면
모든 개개의 사물은 각각 개별의 이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그 개별적 이는
보편적인 하나의 이와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모든 사물은 기에 따른 현상적 차별에도 불구하고
이라는 보편적 원리·법칙에 따라 존재하고 운동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성리학에서
이와 기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명제로
 
'이와 기는 서로 떠날 수 없으나,
서로 섞이지도 않는다'(理氣不相離理氣不相雜)는 말을 들 수 있다.
 
'이기불상리'는 이가 기에 의존하여 존재하고 운동하지만
동시에 기는 이가 있기 때문에 존재할 수 있고 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기불상잡'은 현상적으로 이와 기를 분리할 수 없지만
논리적으로는 분명히 서로 다른 실재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이와 기 가운데서
이가 기의 존재 근거이며 운동원리라는 점에서 논리적으로는 이가 기에 앞서며,
 
가치론적으로 이가 기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표현하는 명제가
'이선기후'(理先氣後)였다.
 
이러한 내용의 이기론은 '성즉리'라는 명제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이
성리학의 심성론(心性論)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나아가 그 심성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정치론으로 직접 이어진다.
이기론에 바탕을 둔 인간 이해는
 
'본연지성'(本然之性) '기질지성'(氣質之性)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심성론으로 체계화되었다.
 
본연지성은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는 천리(天理)로서,
도덕적 본성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기질지성은 인간 형성에 관여하는 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육체와 감각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인간 본능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본연의 성에 따른 행위는 선()하며,
기질의 성에 따른 행위는 인욕(人慾)에 의해 악()으로 흐르는 경향을 갖는다.
 
이때문에 인간은 끊임없는 수양을 통해
인욕을 없애고 천리를 간직하여 잘 기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인간을 이러한 도덕적 실천으로 이끄는 것을
정치의 기본내용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곧 도덕정치론이었다.
 
그런데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이의 구체적 내용은
삼강오륜(三綱五倫)을 비롯한 유교적 윤리도덕이었으며,
 
나아가 관료제나 신분제, 가부장제적·종법제적 가족제도 등의
명분론적(名分論的) 사회질서였다.
 
따라서 이기론은 유교적 윤리도덕과 명분론적 사회질서가
자연적이고 보편적인 것임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면서,
 
그러한 명분론적 사회질서 속에서 유교적 윤리도덕을 실천하는 것이
바로 인간 본래의 모습을 실현하는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한국 성리학의 이기론
 
한국 철학사에서
이기론에 바탕을 둔 견해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고려 말기인 14세기이다.
 
이때의 이기론은 주자성리학에서 확립된 이론에 따라
불교철학을 비판하는 정도였으나 점차 이기론에 대한 이해를 더해갔다.
 
그 후 조선 초기인 15세기경에는
주자성리학이 관학교육의 기본내용으로 확립되면서
 
이기론은
지식인 계층의 보편적인 사고방식으로 자리를 잡았고,
 
15세기 후반 이후에는 이기론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사회적 실천운동이 중요한 역사적 흐름으로 등장했다.
 
이러한 역사적 성과 위에서 16세기에는
서경덕(徐敬德)의 태허설(太虛說)이나 이언적(李彦迪)의 태극설(太極說)과 같이
 
이기론에 근거한 체계적인 이론이 제시되기 시작했는데, 특히 서경덕
주자성리학과는 전혀 달리 기일원론(氣一元論)의 입장에서 이기론을 체계화했다.
 
그후 16세기 후반에는 성리학에 대한 이론적 탐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그때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 것은
 
오상(五常)사단칠정(四端七情)으로 포괄되는
인간의 성정(性情)을 이기론적으로 해명하는 것이었다.
 
한국의 성리학은 심성론, 특히 사단칠정의 문제를
이기론적으로 해명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깊이를 더하게 되었으며,
 
조선 성리학의 특징적인 이론체계를 확립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이황(李滉)의 이기론과 이이(李珥)의 이기론인데,
 
전자를 가리켜 주리론(主理論)이라 하고
후자를 가리켜 주기론(主氣論)이라 한다.
 
주리론과 주기론은 이와 기를 사물의 본체로 인정하며,
이와 기의 상호작용에 의해 만물이 형성된다고 생각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주리론은 이기에 관한 가치론적 설명에서 기보다 이를 중요시한다는 점과,
이기의 상호관계를 설명할 때 '이기불상잡'이라는 분개(分開)의 측면을 강조하는 데 반해,
 
주기론은 이기의 차별성을 인정하면서도
'이기불상리'라는 혼륜(混淪)의 측면을 강조한다.
 
따라서 주리론에서는 이가 명백히 객관적 실재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며
이와 기의 차별성이 선명하게 부각되는 데 반해,
 
주기론에서는 이가 객관적 실재로서의 성격보다는
기의 법칙성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낸다.
 
또 주리론은 '이발설'(理發說)을 통해 이의 능동성을 주장함으로써
이를 형태는 없으나 운동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하고,
 
기와 함께 이에도
동정·운용·조작의 능력을 부여했다.
 
물론 주기론에서는 이의 운동능력을 부정하기 때문에
'이발'은 인정하지 않으며 오직 '기발'(氣發)만 인정한다.
 
심성론의 측면에서는 주리론과 주기론이 모두
'성즉리'를 주장하는 점에서는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그런데 주리론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별개의 존재로 파악하며
또 이의 운동능력을 인정함으로써
 
사단은 본연지성의 이가 발한 것으로,
칠정은 기질지성의 기가 발한 것으로 설명했다.
 
이에 반해 주기론에서는
기질지성 가운데 이의 측면을 가리켜 본연지성이라고 했고,
 
사단이나 칠정은 모두 기인 심()이 발한 것으로
그 가운데 선한 측면만을 가리켜 사단이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기론에서는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로서 이일분수설을 심화하고,
사물의 본체를 일기(一氣), 즉 태허로 파악하는 서경덕의 기일원론을 비판했다.
 
이러한 이황의 주리론과
이이의 주기론은
 
그후에 각각 주리파와 주기파로 불리는 학파에 의해 계승·발전되면서
한국 성리학의 커다란 두 흐름을 형성했다.
 
 
 

'敎育.學事 關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기론 [主氣論]  (0) 2006.12.06
주리론 [主理論]  (0) 2006.12.06
기(氣)  (0) 2006.12.06
리(理)  (0) 2006.12.06
박근혜 의원의 단국대 강의록  (0) 2006.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