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조선읿보 2

[남성욱의 한반도 워치] OECD 38국 중에서 '적국'에만 간첩죄 적용하는 나라는 한국뿐

오피니언 전문가칼럼​[남성욱의 한반도 워치] OECD 38국 중에서 '적국'에만 간첩죄 적용하는 나라는 한국뿐​중국은 국가를 배신하는 선동, 유혹, 매수 행위까지도 처벌美 정보 무단 공개도 범죄로… 日·獨도 적국·외국 구분 없어야당은 침대 축구… 간첩법 개정 반대하는 자가 간첩 아닌가​남성욱 숙명여대 석좌교수·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입력 2025.03.25. 23:58업데이트 2025.03.26. 07:53남성욱 숙명여대 석좌교수,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지난 1993년 시노하라(篠原) 사건은 간첩법 개정을 촉발한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진다. 일본 후지TV 서울지국장이었던 시노하라는 국방정보본부 소속 고영철 해군 소령을 포섭했다. 진급 누락에 불만을 가진 고 소령과 시노하라는 본격적인 스파이 활동을 전개했다..

[단독] “2012년 北공작원 대거 남한행… 합참·미군 기밀 건당 1만5000불에 넘어가”

[단독] “2012년 北공작원 대거 남한행… 합참·미군 기밀 건당 1만5000불에 넘어가” [주간조선] 북한 정찰총국 前 대좌 증언 이동훈 기자 입력 2022.06.19 05:30 지난 6월 13일 주간조선과 인터뷰를 한 전 북한 정찰총국 대좌 김국성(가명)씨. photo 양수열 영상미디어 기자 지난해 10월 영국 BBC방송과 인터뷰에서 “1990년대 청와대 내 북한 간첩이 암약했다”는 주장을 내놔 파장을 일으킨 전 북한 정찰총국 대좌 김국성(가명)씨가 지난 6월 13일 주간조선과 만나 “구(舊)소련이 해체될 무렵 조선노동당 대외연락부가 사할린에 소련과 합작법인을 세웠고 이를 공작거점으로 사할린에 거주하고 있는 남한 동포들의 고국방문을 이용해 남한 적화를 위한 공작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일본의 ..

人物情報 參考 2022.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