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스크랩] 초중고 40만명 엘리트 교육

鶴山 徐 仁 2006. 6. 4. 16:28
초중고 40만명 엘리트 교육
내년부터 단계 도입…교육부 평준화 보완 종합대책
8만명은 특목고·영재학교 등서 교육
32만명은 수준별 수업 등으로 차별화
 평준화 제도의 틀은 유지하면서도 잠재력 있는 우수 학생을 발굴해 가르치는 '수월성(秀越性) 교육'이 2010년까지 전체 초.중.고생의 5%(40만명)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이를 위해 2010년까지 영재학교 2개와 영재교육원 58개가 새로 생긴다. 2007년부터는 절반 이상의 중.고교가 수준별 이동수업을 하게 된다. 영재교육 전문교사도 늘리고 소외계층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이 새로 생긴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한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을 22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2010년까지 모두 2087억원이 투입된다.

특목고.영재학교.영재학급.영재교육원 등에서 전체 초.중.고교생의 1%(8만명)를 대상으로 영재교육을 하고 일반 학교에선 수준별 이동수업, 집중이수과정, AP(Advanced Placement, 고교.대학에 개설된 전문심화교과 과정을 밟으면 이를 대학 학점으로 인정)제도 등을 통해 4%(32만명)의 학생에게 차별화 교육을 하게 된다.

현재는 모든 영재교육기관에서 전체 학생의 0.3%(약 2만5000명)만 영재 교육을 받고 있으며 일반 학교에는 차별화 교육 프로그램이 없다. 지금 한 곳(과학영재학교인 부산과학고)뿐인 영재학교도 늘린다. 예술.정보 분야에서 영재학교를 한 곳씩 새로 설립한다.

교육청.대학 등에서 운영하는 영재교육원은 지금의 192개에서 250개로 늘리면서 기존의 수학.과학 위주에서 예체능, 정보, 언어.창작 등으로 교육 범위를 넓힌다. 주요 교과목의 수준별 이동수업을 늘려 2007년까지는 전체 중.고교의 절반에서 이를 실시하게 할 계획이다.

영어.수학의 경우 난이도와 적성에 따라 여러개의 과정을 만들고 학생들이 자기에게 맞는 과정을 이수하는 '트래킹'(tracking) 제도를 2007년에 도입하기로 했다.

영재교육의 성패는 이를 담당할 교사의 능력에 달려 있다고 보고 현재 5000명인 전문교사를 2010년까지 1만10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가난하거나 외진 곳에 사는 학생 등을 위해 영재교육기관이 직접 해당 지역에서 영재 발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리치 아웃(Reach Out)'제도도 운영된다.

이승녕 기자
'수월성 교육 대책' 의미와 문제점
평준화 틀 속 '우수학생 차별화' 시도
교육인적자원부가 22일 내놓은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은 30년간 지속돼 온 고교 평준화 제도의 틀을 깨지 않으면서도 재능 있는 우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교육을 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통해 창의적 인재를 발굴.양성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질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안병영 교육부총리는 "교육의 보편성과 수월성(秀越性)의 조화를 통해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교육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평준화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육부가 추진하려는 수월성 교육은 먼저 우수 학생을 제대로 가르칠 영재교육 전문교사 확보가 전제돼야 성공할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자칫 '둔재가 영재를 가르치는 형국'이 돼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들에 대한 평가방식이 앞으로 내신 위주 전형으로 바뀌는 대입제도와 적절하게 연계돼 이들 학생이 입시에서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도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우수학생 대상 차별화 교육 강화=교육부의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대책은 영재교육 기회 확대와 일반학교의 수월성 교육 기회 확대를 두 축으로 하고 있다.

우선 분야별로 뛰어난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따로 모아 가르치는 영재교육기관을 확대해 2010년까지 전체 초.중.고 학생의 1%인 8만명이 혜택을 받게 할 계획이다. 영재교육 영역도 수학.과학 중심에서 예체능, 정보, 언어.창작 분야로 확대된다.

일반학교의 수월성 교육 기회 확대는 수준별 이동수업의 내실화가 핵심이다. 이를 위해 영어.수학 교과를 수준별로 학생이 선택해 공부할 수 있는 트래킹(Tracking)제도를 전체 중.고교의 절반 학교에 도입할 계획이다.

◆ 영재교육 전문교사 확보가 관건=영재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담당교사들의 자질이 관건이다. 그러나 현재의 미흡한 양성체제로는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교육부는 2010년까지 영재교육 전문교사를 현재의 5000명에서 1만100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그러나 기존 교사를 직무연수를 통해 영재교육 전문교사로 활용하는 방안만으로는 전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다.

영재교육기관과 학교의 문을 개방해 교원 자격이 없더라도 관련 분야 전문가를 영재교육 전문교사로 임용하는 등 우수 인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얘기다. 대학 시간강사들을 영재교육 교사로 활용하는 방안도 그 중 하나다.

◆ 대학 입시제도와의 연계도 중요=영재교육을 받은 학생에 대한 평가를 대학입시와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도 교육부가 고심하는 부분이다.

내신 비중이 커지는 앞으로의 대입에서 차별화된 교육을 받은 영재 학생들이 집단 내 비교평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내신이 불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 대학들이 특정 분야에 탁월한 우수 학생 선발을 위한 특기자 전형을 확대하도록 유도한다는 게 교육부의 복안이다. 또 동일한 과목이라도 어떤 수준을 이수했는지를 전형에서 반영할 수 있게 대학들이 전형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

교육부 하연섭 정책보좌관은 "2008학년도 새 대입제도와 함께 각 대학에 도입을 권장하고 있는 입학 사정관제가 정착되면 대학별로 영재교육 등 수월성 교육을 받은 우수 인재들을 뽑는 방안이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나노식품/나노푸드 (Nanofood)
글쓴이 : Truescienc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