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朴槿惠) 대표 주도의 장외투쟁 방식에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알려진 이 원내대표가 당선됨에 따라 한달째 계속되고 있는 사학법 장외투쟁 노선에도 일정 부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오 후보는 이날 오전 국회 본청 246호실에서 한나라당 소속의원 127명중 123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의원총회에서 유효투표의 58.5%인 72표를 얻어 50표를 얻는데 그친 김무성(金武星.3선) 후보를 22표차로 따돌리고 당선됐다. 이에 따라 이재오 후보와 러닝메이트로 출마한 이방호 의원은 자동으로 정책위의장에 선출됐다. 이 신임 원내대표는 앞으로 1년 동안 사학법 재개정 투쟁과 관련한 대여 협상 및 투쟁전략,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 대비한 원내전략 등을 진두지휘하는 중책을 맡게 됐다. 이 원내대표는 우선 사학법 관련 대여투쟁을 위한 내부 전열을 재정비하는 한편, 24일 여당의 새 원내대표가 선출되는 대로 사학법 재개정을 위한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원내대표는 당선 인사말을 통해 "매우 어려운 시기인 만큼 한나라당을 안정되게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당이 먼저 안정돼야 대여투쟁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지금은 당과 나라를 위해 제대로 된 야당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면서 "앞으로 박근혜 대표와 크고 작은 일을 모두 상의해 과거 어느때보다 확고한 당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방호 정책위의장은 "강한 야당을 만들어 나가겠다. 박 대표를 기점을 삼각편대를 만들어 열심해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가 앞서 정견발표회를 통해 장외투쟁과 관련, 사학법 원천무효에 가까운 재개정을 위해 강경투쟁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그가 원내외 병행투쟁론을 지지하는 소장파와 비주류의 전폭적인 지지속에 당선된 것으로 알려져 한나라당의 사학법 장외투쟁 전선에도 다소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원내대표 경선이 마무리됨에 따라 한나라당은 주말께 원내수석부대표를 비롯한 원내부대표단과 정조위원장단을 임명하는 등 당 체제 정비작업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서울=연합뉴스) |
2006.01.12 12:08 입력 / 2006.01.12 12:38 수정 |
한 원내대표 경선 안팎
|
당초 당 안팎의 예상을 깨고 72표를 얻은 이재오 후보가 김무성 후보를 22표라는 ‘넉넉한’ 표차로 따돌리고 승리를 낚궈챘기 때문이었다.
이 신임 원내대표는 수락연설에서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서로 사랑하고 배려, 협조하지 않으면서 국민에게 정권을 달라고 할 수 있느냐”면서 “크고 작은 일들을 박근혜(朴槿惠) 대표와 상의해 과거 어느 체제보다 더 화목하고 단합한 체제로 만들겠다”고 ‘단합과 조화’를 유난히 강조했다.
|
그는 과거 김대중(金大中.DJ) 정부 시절 임동원(林東源) 전 통일부 장관의 해임건의안을 통과시킨 경험을 들어 “무작정 투쟁해도, 여당에 협상을 구걸해도 안된다”, “어느 때보다 강한 대여 투쟁으로 국민을 안심시키고 당의 현 상황을 타개하겠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또 “반대 목소리도 포용하면서 정권 창출에 힘을 기울이겠다. 대선 후보전이 조기에 불거지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자리에 앉아 다소 무표정하게 경청하던 박 대표에 다가가 환한 웃음을 주고 받았다.
박 대표는 경선 직후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새 원내대표단을 중심으로 사학법 투쟁 등 여러 현안을 잘 풀어나가겠다”면서 ‘걱정이 안되냐’는 질문에는 “왜 그렇게 생각하느냐”며 웃음으로 답을 대신했다.
앞서 실시된 합동토론에서는 사학법 투쟁 및 등원 전략 등에 대한 각 후보진영의 의견 개진이 이뤄졌다.
후보별로 상대에게 질문하는 상호토론순서에서 김무성 후보는 “워낙 훌륭한 분이어서 질문을 안하겠다”고 말해 좌중의 폭소를 자아냈고, 이 후보 역시 질문을 생략하겠다고 화답했다.
의총에는 소속 의원 127명 가운데 해외출장 중인 강재섭(姜在涉) 전 원내대표, 안상수(安商守) 주호영(朱豪英) 의원 등 3명과 개인사정을 이유로 불참한 진수희(陳壽姬) 의원을 제외한 123명이 참석했다.
'政治.社會 關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만 경찰이 흔들린다 (0) | 2006.01.14 |
---|---|
천정배 법무장관, 12일 밤 기자간담회후 일부 보수논객 '맹비난' (0) | 2006.01.13 |
“盧정권은 대한민국 생존을 위협”.. 국회 통일문제 세미나, 이종석 비판 봇물 (0) | 2006.01.12 |
"경찰의 명예 반납합니다" (0) | 2006.01.11 |
한국 전자ㆍIT의 힘 빛났다 (0) | 2006.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