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우리나라 畵壇

[스크랩] 돌아올 수 없는 강 / 박 창돈 -30-

鶴山 徐 仁 2005. 8. 19. 14:42


"나는 서양의 재료를 이용하여 한국적 회화를 추구한다"




머루 少年(소년)




해돋는 天地(천지)




언덕의 노래




豊饒(풍요)의 江邊(강변)




日出峯(일출봉)




湖心(호심)




추억의 언덕




언덕의 노래




日出(일출)의 노래




少女(소녀)의 꿈




雲海(운해)의 日出峯(일출봉)




日出峯(일출봉)




愛馬(애마)의 노래




白磁頌(백자송)




白馬少年(백마소년)



歸路(귀로)




日出頌(일출송)




강변유정




木花少女(목화소녀)




木花少女(목화소녀)




꽃 바구니




歸路(귀로)




언덕의 노래




靜(정)




土器(토기)의 꿈




江邊(강변)의 오리 家族(가족)




분홍저고리




白磁有情(백자유정)




눈 언덕의 아침




日出(일출)의 노래



박창돈은 해방 후 1949년에 공산치하의 북한에서 예술의 자유를 찾아 남하한 실향의 화가로 남달리 망향감에 밀착된 작품을 추구하여 각별한 표현세계를 성립시켰다. 낭만적인 서도민요 몽금포타령과 명사십리 해수욕장으로 유명한 황해도 장연(長淵)태생으로, 빼어난 자연환경 속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그는 환상적인 향토적 정서와 읽어버린 고향에 대한 추억으로 점철된 화면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는 소재들을 향토적이고 망향적인 정감이 내재하는 상징적이고 환상인 것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시골풍경의 소년과 소녀, 초가집, 닭, 오리, 비둘기, 말, 소 그리고 야산, 바다, 하늘, 달 등의 영원한 자연적 존재 외에 우리 민족의 고대 토기 항아리와 조선시대의 백자(白瓷)항아리 또는 접시 등을 남다른 선택과 정념으로 화면에 도입하여 내밀한 발언을 하게 하고 있다. 추억이 절실하면 할수록 그 모티브들은 설화로 탈바꿈하여 개인의 추억에 머물지 않고 보편적인 고향의 이야기로 설화가 되는데, 이 소재들은 현실 속의 대상이기보다는 시간의 저편에 있는, 이제는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영원히 아름다운 그런 대상들로 표현되고 있다.

그는 화면을 건삽한 마티엘에서 얻어지는 풋풋한 효과로 만들면서, 바닥으로 무한히 침잠하는 내밀한 톤과 정태적인 포름으로 구수한 마른 풀내음과 흙내음이 베인 농가의 토방에 앉아있는, 그런 정감의 세계로 우리를 이끌어가고 있다.





작가의 모습


참조싸이트 : http://www.kcaf.or.kr/art500/parkchangdorn/

1990년대 이후의 그림을 되도록 많이 실으려 노력하였으며
그 이전 작품과 화풍이 달라 소개하고 팠으나 나의 요즘
심리가 격정적인 작품을 좀 피하고 고요를 얻고 싶은 마음에.
작품 모두 캔버스의 유채지만 해드라인의 작가의 말을 존중하여
나도 東洋畵 & 水彩畵 섹션에 스크랲 한다




나 자신에게 강제규정을 대입하려 한다
강물이 흐르는 이치와 같은 지극히 과학적인 이론으로
명분을 세워서 결정에 힘을 싣고 단호함을 택하려 한다
나의 이 역겨운 회귀본능을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함으로써 끊게 하려 한다

두번 다시 너에게 돌아가지 못하게 하리


 
가져온 곳: [..]  글쓴이: 너와집나그네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