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만족의 이동과 서로마제국의 멸망
<기본서 참조>
E. M. Burns, I, 제 9 장, pp. 269-286; B. Tierney, pp. 57-78, J. le Goff, 제 1 장
A. 개관
B. 주제에 관한 기본질문
1) 게르만족의 등장
2) 로마제국의 멸망과 서방의 야만화(?)
A. 개관
로마제국이 내부적으로 쇠약해질 무렵 알프스이북의 게르만족이 로마제국을 위협하기 시작
했다. 로마제국은 3세기(Dicletianus)와 4세기(Theodosius) 그들의 침입을 일시 저지하는데
성공하였으나, 결국에는 그들에 의해 마지막 생명을 다 했다.(476) 로마의 舊土에는 일시 여
러 개의 게르만왕국이 흥망을 거듭하면서, 바야흐로 흔히 말하는 "암흑의 시대"가 전개되었
다. 그러나 이 시기에 로마제국의 유산은 게르만족에게 직·간접적으로 계승되었는데, 특히
이 과정에서 기독교 교회는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B. 주제에 관한 기본질문
1. 게르만족은 어떤 존재였는가? 언제 어떤 상태에서 알려지게 되었는가?
2. 게르만족은 로마제국과 어떤 형태로 접촉했는가?
3. 게르만족이 대이동을 하게 된 이유와 그 이동경로는?
4. 로마제국이 멸망한 이후 게르만족에 의해 수립된 국가체제의 성격은?
5. 구 로마제국의 주민과 게르만정복자의 관계는?
1) 게르만족의 등장
A. 게르만족의 사회
게르만족은 기원 전후한 시기부터 로마인에게 그 존재가 알려졌다. 이들의 根據地는 스칸디
나비아 및 북독일지방으로서 대략 기원전(B. C.) 1000년 경부터의 흔적이 고고학적 발굴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은 기원 전후무렵에 로마인에게 그 존재가 알려졌는데, 우리가 이들에
대해 알고 있는 최초의 文獻的 傳承은 극소수의 그리스인 作家의 언급과, 로마인 Caesar와
Tacitus의 언급이다.
일찍이 Caesar는 갈리아를 정복하면서 라인강 以東의 게르만인과 접촉하였다. Caesar는 이
들의 낙후한 의, 식, 주생활에 대한 근소한 報告를 그의 "갈리아戰記(De Bello Gallico)"에
전했다. 로마제국은 최초의 황제 Augustus 시대(9년)에 게르만정복을 시도하였으나, 라인강
넘어 베저(Weser)江 유역에서 3 개 군단(legion: 1 개 군단은 重武裝병사 3000, 輕武裝병사
1200, 騎兵 300 으로 편성)이 전멸하는 대패를 당한 후, 더 이상의 정복을 포기하고, 라인강
과 도나우강을 연결하는 방어선 리메스(Limes)를 구축하였다. -> 중국의 만리장성을 연상
하라!
리메스長城이 구축되던 기원 100 년경 로마의 역사가 Tacitus는 게르만족에 대한 보고를 작
성했다. 그는 지중해연안지방의 인간과 구별되는 그들의 외관과 관습에 대해 비교적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푸른 눈, 날카로운 눈매, 금발과 강건한 신체 등등..."] Tacitus는 게르만족
의 습속을 묘사하여, 세계를 정복한 뒤 사치와 향락에 젖어 나약해진 로마인을 경고하려는
의도에서 이 기록을 작성하였기에, 그의 묘사는 다소 과장되고 미화된 서술이 섞여 있었다.
어쨌든 그의 서술은 초기 게르만족의 상태에 대해 거의 유일하게 상세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Caesar와 Tacitus가 전한 게르만족은 아직도 통합된 정치조직을 이루지 못하여, 여러 개의
씨족 및 부족단위(clan, Stamm, G.)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들의 수장은 기록상에 王(rex),
公(dux, 이 라틴어에서 영어의 duke가 유래, 公이라는 말 보다 首長, 즉 우두머리라는 말이
더 타당하다. 대개의 경우 군사적 지휘관을 의미한다.) 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들은 사실
상 귀족들이 선출하는 아직 강력한 정치적 지도권을 발휘하는 존재는 아니었던 것으로 추측
된다.
게르만의 사회는 한 때, 자유로운 농민들의 결합체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결
국 귀족이 지배하고 있던 사회로 파악하게 되었다. 부족이나 씨족의 首長을 비롯하여 이들
귀족들은 게르만의 民會(Thing) - 여기에서 王의 선출이나 和·戰과 같은 주요 사안이 의
결된다 - 를 사실상 통제하고 있었으며, 주변에 힘깨나 쓰는 下手人(Gefolge, G.)을 결집하
여, 하나의 전사공동체를 결성하여 전쟁과 약탈을 지휘하고 이들에게 戰利品을 분배하였다.
물론 이들 귀족은 이와 같은 무력수단을 배경으로 토지와 예속농민을 지배하였다. 이 수장
과 하수인의 관계를 흔히들 從士制度(comitatus, L; Gefolgschaft, G.)라고 하는데, 중세유럽
봉건제도의 한 기원을 이루는 사회관계로 여겨진다.
B. 게르만족의 이동
2세기부터 5세기 사이에 게르만족의 정치, 사회조직이 변동하여 여러 씨족 및 부족단위의
구성이 부족연맹체tribal confederation로 발전하였다. 게르만의 부족장들은 종교적인 행위와
전사공동체 - comitatus - 를 통해서 집단적 연대를 조직하려고 하였다. comitatus는 가끔
새로운 부족연맹체를 구성하는 토대로 작용하였다.
로마제국과 접촉하면서 - 리메스長城을 경계로 交易이나 군단병사들과의 通婚등 평화적인
관계가 오랫동안 지속된 적도 있었다. - 여러 게르만 부족들 사이의 세력균형이 깨져 이들
은 보다 큰 정치, 사회조직으로 재편되어갔다. 일부의 부족장들을 필두로 게르만인들은 로마
제국의 용병으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와 같이 교역, 통혼, 용병근무를 통해 게르만
족은 로마의 선진문명과 접촉하면서, 그 혜택을 일부 입기 시작하였다.
게르만족 일부의 세력이 강대해지자, 이들은 제국의 약세를 틈타 로마의 권위에 도전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 ex) 2 세기말 Marcomanni 족이 일으킨 전쟁, 고트족의 反로마동맹.
4 세기말 동방의 훈족Huns이 고트족을 압박하자, 고트족의 이동을 필두로 허다한 게르만족
이 로마제국의 영토로 보호를 구하여 대이동을 개시하였다. 로마제국은 게르만인의 이동을
막으려 했으나, 결국 성공하지 못한 채 이동의 물결은 로마제국의 멸망으로 이어지게 되었
다.
378년 흑해연안 Adrianople에서 서고트족Visigoths의 침입을 막으려다 로마군이 대패했는데,
이 전투의 지휘관이었던 로마황제 Valens가 전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410년 서고트족은 마침내 이탈리아반도로 진주, 로마를 약탈하고 파괴했다. 이 사건은 당시
의 로마제국과 지중해 세계에 일대 충격을 주었는데, 이러한 배경에서 Augustinus의 저작
"civitas dei"가 출현했다. 즉 "인류의 구세주 Christ를 모든 로마제국의 주민에 믿게 되었는
데 왜 이런 재앙이 닥쳐오는가"라는 회의와 의심에 대한 기독교측의 반론.
2) 로마제국의 멸망과 서방의 야만화(?)
A. 로마제국의 멸망
로마제국의 군대는 서고트족이 도래하기 훨씬 이전부터 게르만족의 용병으로 충원되어, 그
방비력은 이미 현저히 약화되었었다. 서고트족은 보다 완성된 정치, 사회조직을 갖춘 새로운
형태의 침입으로 이전에 있었던 게르만족의 산발적인 침입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약탈이 목적이 아니라 결국 로마제국의 영토(종국에는 스페인)에 정착, 나름의 왕국
을 건설.
로마제국의 마지막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Romulus Augustulus: 작은 Augustus라
는 戱畵的인 의미를 내포)는 외부의 적이 아니라, 로마제국에 용병으로 복무하고 있던 게르
만족의 용병대장 Odoacer에 의해 폐위되었다. 그러나 Odoacer는 스스로를 로마황제라고 칭
하지 않고, 로마王이라는 애매한 지위를 유지하였다. 즉 정복자 게르만족으로서도 "영원한
로마(Roma aeterna)"라는 개념은 대단한 권위를 행사했었고, 로마제국의 멸망이라는 사태는
감당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참고 지도에서 보듯이 수많은 게르만족은 로마제국의 舊土 일부
를 점령하여, 왕국을 건설하였으나, 옛 로마제국의 틀을 복구할 능력은 없었다.
B. 서방의 야만화(?)
제국의 멸망과 더불어 서방에는 로마제국의 유산이 부분적으로 잔존하지만 - 지역에 따라
그 정도는 다양하였다. - 대개의 경우 현저한 문명의 퇴화를 겪게 되었다. -> 고대의 종말
476년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뒤 이태리반도는 한동안 Odoacer를 제거한 동고트왕 테오도릭
(Theodoric)의 지배하였고, 옛 로마제국의 영토에는 허다한 群小의 게르만 왕국이 수립되었
다. 알프스 이북에서는 라인강 하류지방에 가장 강대한 게르만족의 왕국으로 프랑크왕국이
등장했다. 로마제국의 체질이 강력히 남아있던 갈리아(Gallia)에서는 로마제국의 변방사령관
이었던 플라비우스 에티우스(Flavius Aetius)와 시아그리우스(Syagrius)가 세느(Seine)강과
르와르(Loire) 강 사이에 독립적인 왕국을 건설하여 로마적인 정치체제와 문화체질이 일시
존속했다.
동고트왕 테오도릭(Theodoric)은 首都를 라벤나(Ravenna)에 두었는데 약 15만의 고트족 인
구로 이태리반도에 거주하고 있던 약 600만의 로마인을 지배, 로마王의 지위로서 이태리반
도를 다스렸다. 그는 청소년기에 인질로서 동로마에 머물면서 동로마의 고도문명을 체득한
경험이 있어 로마제국의 통치술, 행정기법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 know-how를 채용하여
그의 왕국을 비교적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행정과 司法에서는 로마인 관리가 계속 활
동하고 있었으며, 수공업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영업활동, 상업도 로마인이 관장하고 있었
다. (고트족은 이런 경험이 부족한 전사부족임을 상기하라!)
동고트족은 로마인으로부터 토지의 약 1/3을 비롯하여 住居와 노예, 가축을 획득했다. 그 반
대급부로 로마인들은 軍備를 위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었다. 테오도릭의 지배은 이탈리아
반도에 일정한 기간 평화와 보호, 경제적 번영을 가져왔다. 그는 현명하고 용감하였으며, 이
와 같은 질서와 평화의 수호자로서 로마인에게서도 환영을 받았었다. 로마의 名望家들은 테
오도릭의 지배하에서 高官으로 출세하기도 하였으며, 여전히 로마적인 생활양식을 지속했다.
문화와 지식활동도 활발했다. (例: Cassiodorus, Boethius의 저작활동, 물론 Boethius는 미묘
한 정치적 음모사태로 死刑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러나 동고트왕국에도 결정적인 약점이 있었다. 대개의 게르만족은 異敎徒에서 이미 기독
교로 개종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기독교는 로마인과 같은 아타나시우스 (Athanasius)
派의 정통 카톨릭이 아니라, 異端으로 선고된 아리우스(Arius)파의 종지를 따르고 있었다.
아리우스파는 삼위일체설을 부인하여 예수를 인간으로 보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종교적 차
이는 결국 주민들 간에 갈등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로마의 유일한 후계자로 자처하는 동
로마(비잔틴)의 황제들은 끊임없이 고트왕국, 즉 테오도릭의 세력을 약화하려고 노력했다.
테오도릭의 사후 결국 동고트왕국은 장기간의 전쟁 끝에 동로마에 의해 멸망했다. -> 유스
티니아누스(Justinianus) 황제의 로마제국 수복정책
여러 게르만족의 왕국들은 단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요인은 피정복민을 體制內化하는데
실패한 데서 찾을 수 있다. 앞에 말한 종교적인 차이 - 로마카톨릭 (Roman Catholic)과 아
리우스의 異端 - 외에 현저한 문화적 차이를 들 수 있다. 문화적으로 열등한 정복자를 로마
인은 심중에서 무시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와 같은 내면적 갈등이 양자간의 화합에는 큰 장
애로 작용.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게르만왕국의 법제는 이원적인 屬人主義의 원리를 취하
고 있었다. 즉
게르만인의 事案(casus, L; case, E.)은 게르만法으로 로마인의 事案은 로마法으로 재판하는
식으로... 이와 같은 법적 불일치 역시 허다한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었다.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인한 로마제국의 멸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나왔다. 전통적으
로 이 과정을 문명의 큰 단절로 보아왔음에 대해 20세기 초 벨기에의 역사가 앙리 피렌느
(Henri Pirenne)는 5,6세기에도 지중해의 경제적 통일은 여전히 지속되었으며, 오히려 7세기
이슬람세력이 북아프리카를 석권하면서 비로소 고대에서 중세로의 완전한 전환이 이루어 졌
다는 주장을 제시하였다. (Pirenne Thesis)
출처: Kyungpook University 史學科
'歷史. 文化參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綠野]한恨 맺힌 한(하나)민족民族 역사歷史 (0) | 2005.08.07 |
---|---|
[스크랩] [綠野]시지프스의 神話 The Sisyphus myth, Le Mythe de Sisyphe (0) | 2005.08.07 |
[스크랩] 고적 재독하기- ‘논어’‘맹자’서 미래의 길을 본다 (0) | 2005.08.06 |
[스크랩] 북한의 고구려 무덤을 찾아서 (0) | 2005.08.06 |
[스크랩] 근대세계 ‘건설자’ 칭기스칸 (0) | 2005.08.06 |